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최소의 투입으로 최대의 이윤을 창출하는 것이야말로 기업이 끊임없이 추구해야 하는 전략이자 목표인 것이다ㆍ본 연구의 목적은 급격히 성장하고 있는 베트남 시장을 중심으로 환율 변동성과 시장경제 변화에 따른 한국 유통기업의 가격전략을 제시하였다ㆍG2는 물론이고 유럽과 전 세계에서 베트남으로 경제 활동을 이동시키고 있고, 미래 성장잠재력이 풍부한 베트남 시장을 중심으로 유통기업의 가격전략을 연구하였다ㆍ수익 창출에 있어서 가격이 마케팅 믹스 중에서도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환율 변동성에 대한 통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IMF 외환위기와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그리고 COVID-19 팬데믹과 오미크론 같은 변이 바이러스로 인한 사례연구와 환율변동 통계를 통하여 베트남 시장경제에 대한 30년간의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였다ㆍ베트남 경제시장은 ASEAN 국가 중 이례적으로 최근 10년 동안 GDP 성장을 지속하고 있고, 2022년 또한 년간 7%의 성장을 기대하고 있으며 성장의 핵심요인은 환율 흐름의 안정과 밀접한 관계에 있다ㆍ베트남의 유통시장은 동 화폐의 기축통화 안정을 통하여 해외의 많은 기업이 자국으로 유입되도록 적극적인 FDI 확산 정책을 구사하고 있다ㆍ

본 논문은 마케팅 믹스 요인 중 수익과 직결되는 직접적 가격전략과 간접적인 가격전략으로 가격을 책정하지 않았음에도 그대로 가격을 유지하면서 소비자를 유입시키게 되는 비 가격전략을 위주로 연구하였다ㆍ베트남 시장은 전통시장 유통채널에서 현대시장 유통채널로 이동하고 있는 교차점에 있고, 한국 유통기업에서는 소비자들 대다수가 현금을 사용하는 베트남 현지의 특성을 반영한 가격전략을 구사해야 한다ㆍ

본 연구에서는 미 연준 금리변화에 따른 소비자물가지수와 베트남의 환율변동을 통한 한국 유통업체의 대 베트남 시장에 대한 가격전략을 제시하였다. 환율변동성은 결국 가계와 소비자의 구매력을 향상시키고 더 나아가 유통기업의 합리적인 가격기준을 결정하는 토대가 될 뿐만 아니라, 최종적으로 한국유통업체가 베트남 시장경제에서 명확한 가격전략을 수립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공적개발원조(ODA)가 경제성장과 소득불평등에 미치는 영향 = Impact of ODA on economic growth and income inequality 최정인, 문명재 p. 333-346
Long-term protests in Hong Kong (1840-2019) and their historical backgrounds : 장기 홍콩의 저항운동 (1840-2019)과 역사적 배경 : 세계체제분석 / a world-systems analysis Ru Sung Hee p. 137-157

중국의 외국인직접투자가 중국지역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 Research on the effect of foreign direct investments on China's regional economic growth 한동균 p. 1-21
제주 2030 카본프리(carbon-free) 아일랜드 정책의 성과와 도전과제 : Achievements and challenges in Jeju's pursuit of carbon free island : implications for carbon neutrality of Korea / 한국의 탄소중립 정책에 주는 함의 한희진, 민상오 p. 347-374
试论汉语网络新词中批评性话语的特征 = On the characteristics of critical discourse in Chinese network neologisms 金正勋, 金炫兑 p. 159-171
지역의 고도화(upgrading)와 하향화(downgrading) : The local upgrading and downgrading : via interactions of the local and transnational corporations in Bac Ninh, Vietnam / 베트남 북부 박닌(Bac Ninh) 지역사회와 초국적기업의 상호작용 사례를 중심으로 육수현, 유민지 p. 227-250
Classical language as a thought's beauty reflection of the old Malay society = 고대 말레이 사회에서 미적 사상으로서의 고전 말레이어 연구 Cho Min Sung, Mat Zaid bin Hussein p. 485-499
Analysis of China's solar power industry development strategy and current issues in the post-corona era : 포스트 코로나 시대 중국의 태양광 산업 발전 전략과 현안 분석 : 중국의 14차 5개년 계획을 중심으로 / focusing on China's 14th five-year plan Yuan-Yuan Hu, Wei-Lun Fu, Yang-Kee Lee p. 115-135

도쿄권 교외화의 형성과 쇠퇴를 넘어서 = Beyond the suburbanization of formation and decline in Tokyo megalopolis region 김은혜 p. 295-314

인도네시아 북부술라웨시 미나하사 태초설화의 그리스도교화 = Christianization of creation myths in Minahasa, North Sulawesi, Indonesia 김예겸 p. 271-294
조선족 '퉁소' 연구 : Research on the Tungso of the Korean nationality-centered on the field investigation of Mijiang Village, Hunchun City / 훈춘시 밀강촌의 현장조사를 중심으로 최옥화, 나선 p. 91-113
한국과 일본의 대 동남아시아 ICT ODA 정책 비교 : Comparative analysis of ICT ODA policies toward Southeast Asia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 focusing on Vietnamese e-government as a case study / 베트남 전자정부에 대한 관여를 사례로 허원영, 김남은 p. 193-210
베트남의 금융시장 유동성과 수출상품 구조변화 = Financial market liquidity and structural changes of export products in Vietnam 이종윤, 이선호 p. 211-226
외국인 유학생 유치 및 관리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way of attract and manage foreign students : focused on the case of C university / C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이길연 p. 375-396
20세기 미국의 전쟁 참여와 경제효과에 관한 연구 = War participation and its economic impact : the cases of US in the 20th century 이충열 p. 397-426
중국 플랫폼노동자의 노동환경 연구 : A study on the working environment of Chinese platform workers : focusing on the food delivery industry / 음식배달산업을 중심으로 김경환, 황선영 p. 43-54

한국의 새로운 對 아세안(ASEAN) 협력 전략 : Korea's new ASEAN cooperation strategy : a minilateral approach by middle power diplomacy / 중견국 외교를 통한 소다자주의적 접근 김동엽 p. 251-269
성역할 태도와 가사분담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A comparative analysis of gender role ideology, division of housework, and marital satisfaction in Korea, Japan, Taiwan, and China / 한국, 일본, 대만, 중국 기혼남녀를 중심으로 송유진 p. 315-332
한국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지역별 성장 격차 : Regional growth difference in Korea's new and renewable energy industry : dynamic shift-share analysis / 동태적 변이할당분석 김완중 p. 427-446
Neoclassical realism and Indian foreign policy : 신고전적 현실주의(Neoclassical Realism)와 인도 외교정책 : 비교 관점에서 본 변화하는 인도의 러시아 관계 / explaining the changing dynamics of India’s Russia relations in comparative perspective Rajiv Kumar p. 467-484

코로나시기 중국 조선족 청소년의 일탈행위 변화 = The transformation of Korean Chinese juvenile delinquency in China in the era of Covid-19 Li Yongri, 최영진 p. 69-89

한중수교 30주년 : The 30th anniversary of the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China : the recollection of Korea-China relationship and its future / 한중관계 회고와 그 미래 구성철 p. 23-41
환율변동성과 시장경제 변화를 통한 한국 유통업체의 대 베트남 가격전략 = Pricing strategy of Korean retailers according to economic environment (exchange rate volatility) : focusing on the Vietnamese economic market 강봉주 p. 173-192
한국전쟁기 피란민의 부산 정착과정과 정부정책 고찰 = A study on the process of settling in Busan and government policy of refugees during the Korean War 공미희 p. 447-466

중국 궈차오(国潮)열풍 : China's Guo Chao craze : focusing on traditional brand consumption and red tourism / 전통브랜드 소비와 홍색관광 사례를 중심으로 오혜정 p. 55-68

참고문헌 (39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봉주. 2021. 유럽과 미중 디지털 표준화 통상마찰에 대한 한국의 국제인증시스템 구축전략 및 확산방안 : 지식기반관점을 중심으로. 전문경영인연구, 24(4) , 85-110 미소장
2 강봉주. 2021. 중소기업의 수출지원을 위한 블록체인 수출인증 시스템의 도입 필요성에 관한 연구. 관세학회지, 22(4) , 231-251 미소장
3 강봉주, & 이양기. 2021. ICQ-MRA 호혜주의 확산을 통한 인정제도의 발전방안: WTO/FTA TBT 와 미중 디지털 표준화 경쟁 가속화를 중심으로. 무역통상학회지, 21(4), 83-100. 미소장
4 강지훈. 2020. 한국 기업의 對베트남 FDI 와 수출 간 인과성 검정. 무역학회지, 45(4), 107-123. 미소장
5 권혁인, 백보현, 안예진, & 이진형. 2020. e-커머스 서비스 혁신을 위한 발전전략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 217-232. 미소장
6 김경환. 2020. 중국기업의 베트남 전자상거래시장 진출요인 연구. 아시아연구, 23(4), 157-168. 미소장
7 김광현, & 송영훈. 2021. K-뷰티 기업의 베트남 시장 진출전략-비엣메이트를 중심으로 [Strategy for K-Beauty Companies to Enter the Vietnamese Market-Based on VIETMATE].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논문지, 16(1), 187-194. 미소장
8 김동수, & 유연우. 2020. 해외역직구에 있어 쇼핑몰의 마케팅 역량이 만족 및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e-비즈니스연구, 21(6), 19-28. 미소장
9 김보영, 김혜인, & 김지수. 2019. 소비자의 브랜드 신뢰, 가치의식, 원산지 중요성 및 한류 제품에 대한 태도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베트남 소비자 연구. 문화산업연구, 19(1), 21-31. 미소장
10 김신엽, 홍다현, & 유승철. 2020. 국내 스마트사이니지 기업의 해외 전략시장 진출을 위한 정부 지원정책 방향 도출에 관한 연구: 중국, 태국, 베트남 진출전략을 중심으로. OOH 광고학연구, 17(4), 51-76. 미소장
11 김용근, & 이정인. 2021. 포스코인터내셔널의 기업시민 경영이념 실천사례 연구: 중소· 벤처기업 글로벌 마케팅 협업포탈 사례를 중심으로. Korea Business Review, 25(신년 특별호), 1-19. 미소장
12 김지현. 2019. 한· 중 반도체 산업의 對베트남 수출경쟁력 변화에 대한 연구. 통상정보연구, 21(1), 83-100. 미소장
13 김진호. 2021. 대학의 국제화 마케팅 전략 연구. 리터러시연구, 12(4), 377-398. 미소장
14 리우지에. 2021. 멀티채널 유통업체의 온·오프라인 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문화와예술연구, 17, 83 - 107 미소장
15 박미정. 2021. 중국 대도시지역 자동차산업시장에 존재하는 친환경정책의 실효성 분석 연구. 아시아연구, 24(3), 1-16. 미소장
16 박정윤, & 남윤미. 2021. 국내 중소기업의 브랜드지향성과 혁신지향성이 문화마케팅 활용과 해외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계 연구. 대한경영학회지, 34(4), 641-661. 미소장
17 배수빈, 이광배, 정윤하, & 김홍영. 2020. 윤리적 마케팅 활동이 소비자의 브랜드 선호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베트남 소비자를 중심으로. 인문사회 21, 11(5), 2601-2614. 미소장
18 보타이, 탄타오, 최은진, 류호균, & 김광용. 2020. 경제 공유에 대한 인식을 통한 고객의 재사용 의도 이해: 베트남의 Grab 에 관한 실증 연구. 한국통신학회논문지, 45(1), 180-190. 미소장
19 안종배. 2020. 현대자동차 사례를 통해 본 성공적 인도 시장 진출을 위한 마케팅 고려 요인에 관한 연구. 경영교육연구, 35(2), 471-488. 미소장
20 양영수, & 이재은. 2020. 광주· 전남지역 중소기업의 기술역량과 국제마케팅역량이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 CEO 위험감수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무역학회지, 45(5), 261-277. 미소장
21 여택동. 2019. 한국의 對베트남 시장진출전략과 유망수출품목 선정. 통상정보연구, 21(2), 95-121. 미소장
22 유승균. 2020. 동남아시아 수출입통관시장 확대를 위한 물류 플랫폼의 성과에 관한 실증연구. 관세학회지, 21(2), 193-207. 미소장
23 윤상필, 정양헌, 한수혁, & 한상준. 2021. 중소· 중견기업 지원형태에 따른 지원 효과 분석: 월드클래스 300 기업을 대상으로. 경영교육연구, 36(3), 29-46. 미소장
24 응웬, & 투안안. 2021. 베트남 온라인 소매유통업의 선진화 방안에 관한 연구. 미소장
25 이양기. 2017. CISG와 인코텀즈 2010의 위험이전 조항 해석 및 적용방안. 무역통상학회지, 19(3), 65-88. 미소장
26 이양기. 2018. 보세판매장 특허제도의 현황과 건전성 확보를 위한 제도적 개선방안. 관세학회지, 19(4), 113-127. 미소장
27 이양기, & 강봉주. 2021. WTO/TBT 제품인증획득이 기업의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 기술동적역량과 마케팅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경제연구, 39(1), 137-160. 미소장
28 이은재. 2020. 4 차 산업혁명 시대의 글로벌 스마트유통시스템 구축과 시사점 연구. e-비즈니스연구, 21(3), 141-153. 미소장
29 이인남. 2020. 현지화된 제품은 소비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까?: 제품 유형과 소비자 제품 경험을 중심으로. 상품학연구, 38(6), 139-145. 미소장
30 이재성, & 한능호. 2021. 아시아 지역경제통합의 진전과 GVC 구도 변화에 따른 국내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지역산업연구, 44(2), 247-268. 미소장
31 이종건. 2019. 글로벌 환경에서 한국 수출제조기업의 베트남 시장진출 전략과 한국 정부의 역할에 관한 연구. e-비즈니스연구, 20(1), 131-145. 미소장
32 이중희. 2021. 중국의 거대 플랫폼에 대한 반독점과 데이터 독점 규제:알리바바 사례를 중심으로. 아시아연구, 24(4), 87-102. 미소장
33 임규채, & 김희호. 2021. 對베트남시장 경쟁력과 교역규모 결정요인 분석. 한국지역경제연구, 19(1), 99-124. 미소장
34 임성수. 2020. 반려동물 사료의 베트남시장 수출 전략. 무역상무연구, 85, 279-298. 미소장
35 장환영, 정원주, & 김종진. 2021. 개발도상국의 스마트시티 수준진단과 시장분류.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4(2), 113-128. 미소장
36 한진아, & 김정연. 2021. COVID-19 에 따른 전자상거래의 경제적 효과에 관한 연구:‘H’쇼핑몰의 마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전자거래학회지, 26(4), 81-93. 미소장
37 Kang, B. J., & Lee, Y. K. 2021. The Effect of Qualification and Certification Which Mediated Dynamic Capability on Export Performance Under the WTO TBT Conformity Assessment System. 경영컨설팅연구, 21(3), 45-60. 미소장
38 Nguyen, T. T., & Park, H. G. 2020. 3PL Selection Criteria for Beverage Industry in FMCG Market Focusing on the North and the South of Vietnam: An Approach by AHP Methodology. 경영경제연구, 42(4), 159-185. 미소장
39 Tranminhquy, 손판도, & Michael Emerson, A. 2020. A study on Problems and Strategic Solutions for Global Companies Entering the Medical Equipment Business Market in Vietnam [글로벌 기업의 베트남 의료기기 시장 진출 문제점과 해결 방안에 관한 연구]. 세계지역연구논총, 38(4), 259-287.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