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싱어는 이익 평등 고려의 원리를 동물에게까지 일관되게 적용함으로써 육식, 공장식 축산, 동물 실험 등을 종차별주의로 고발하고, 그런 관행으로부터 동물 해방을 촉구한다. 그리고 그러한 동물 해방의 실천 방안의 하나로서 윤리적 채식주의를 옹호한다. 싱어의 동물 윤리는 유정성 기준, 복지 중심 동물 윤리, 완전 채식주의에 대해서 비판받아왔다. 도덕적 지위의 기준으로서 유정성은 인간중심주의로부터는 넓다고 비판받고, 생명중심주의로부터는 좁다고 비판받는다. 그러나 유정성 기준은 인간 아닌 동물들을 도덕적 고려의 범위에 포함하는 장점이 있고, 모든 생명을 도덕적으로 고려하는 데 따르는 복잡함과 갈등을 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싱어의 동물 복지론은 동물 권리론으로부터 동물의 권리를 존중하고 보호하지 못한다고 비판받고, 완전 채식주의는 부분 채식주의보다 종차별주의적 관행을 개혁하는 데 덜 효과적이라고 비판받는다. 이론적인 논란에도 불구하고 싱어의 동물 윤리는 동물에 관한 비윤리적 관행을 개혁하는 윤리적 실천에 지대한 영향을 미쳐왔다.
By consistently applying the principle of equal consideration of interests to animals, Singer denounces meat-eating, factory farming, and animal experiments as speciesism and calls for the liberation of animals from such practices. And he advocates ethical veganism as one of the practical measures for animal liberation. Singer's animal ethics have been criticized for sentience criterion, welfare-centered animal ethics, and veganism. As a criterion of moral status, sentience has been criticized as broad from anthropocentrism and as narrow from biocentrism. However, on the one hand, the sentience criterion has the advantage of both including non-human animals in moral considerations and on the other hand, avoiding the complexities and conflicts involved with considering all forms of life. Singer's animal welfare theory also has been criticized for failing to respect and protect animal rights from animal rights theory, and veganism has been criticized as being less effective at reforming speciesist practices than demi-vegetarianism. Despite theoretical controversies, Singer's animal ethics has profoundly impacted ethical movements that reform unethical practices regarding animals.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류지한(2004), “두 수준 공리주의에 관한 연구”, 『윤리연구』, 55. | 미소장 |
2 | 류지한(2012), “도덕적 사유의 두 수준 모델과 심리적 현실주의”, 『윤리연구』, 84. | 미소장 |
3 | 조제프 R. 데자르댕, 김명식·김완구 옮김(2017), 『환경윤리』, 연암서가. | 미소장 |
4 | 카타르지나 드 라자리-라덱·피터 싱어, 류지한 옮김(2019), 『공리주의 입문』, 울력. | 미소장 |
5 | 피터 싱어, 김성한 옮김(2012), 『동물해방』, 연암서가, | 미소장 |
6 | 피터 싱어, 황경식, 김성동 옮김(2013), 『실천윤리학』, 연암서가. | 미소장 |
7 | 피터 싱어, 박세연 옮김(2017), 『더 나은 세상』, 예문아카이브. | 미소장 |
8 | Bentham, J.(1988), Introduction to the Principles of Morals and Legislation, New York: Prometheus Books. | 미소장 |
9 | Goodpaster, K. E.(1993), “On Being Morally Considerable” In Environmental Philosophy, ed. M. E. Zimmerman, New Jersey: Prentice Hall. | 미소장 |
10 | Hare, R. M.(1993). “Why am I only a Demi-vegetarian”, Essays on Bioethics, Oxford: Oxford Clarendon Press. | 미소장 |
11 | Regan, T.(1983), The Case for Animal Right, Berkeley: Univ. of California Press. | 미소장 |
12 | Regan, T.(2017), “The Radical Egalitarian Case for Animal Rights” in Food Ethics, ed. P. Pojman & K. McShane, Boston: Cengage Learning. | 미소장 |
13 | Sidgwick, H.(1962), The Methods of Ethics 7th ed., London: Palgrave Macmillan. | 미소장 |
14 | Singer, P.(1999), "A Response", Singer and His Critics, ed. D. Jamieson, Blackwell Publishers. | 미소장 |
15 | Singer, P.(2016), Ethics in Real World: 82 Brief Essays on Things That Matter, New Jersey: Princeton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16 | Singer, P.(2017), “A Utilitarian Defense of Animal Liberation” in Food Ethics, ed. P. Pojman & K. McShane, Boston: Cengage Learning. | 미소장 |
17 | Taylor, P. W.(1986), Respect for Nature: A Theory of Environmental Ethics,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8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