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대학생의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 거부민감성과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 = The effect of evaluative concern perfectionism on interpersonal problems in university students : the mediating effects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emotional clarity / 박하서 ; 이상희 1

요약 1

Abstract 1

I. 서론 2

II. 연구방법 5

1. 연구대상 5

2. 측정도구 5

3. 자료분석 7

III. 연구결과 7

1. 주요 변인들의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7

2. 주요 변인들 간의 영향관계 검증 8

IV. 논의 및 결론 10

참고문헌 12

논문저자 15

초록보기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거 부민감성과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가 나타나는지 검증하였다. 국내 대학생 352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염려 완벽주의, 거부민감성, 정서인식명확성 및 대인관계문제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주요 변인 간의 상관이 모두 유의미 하였다. 둘째,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과 정서인식 명확성은 모두 유의미한 부분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대인관계문제의 관계 에서 거부민감성과 정서인식 명확성의 이중매개 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는 평가염려 완벽주의를 가진 대학생들의 대인관계문제에 대해 도움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마지막 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추후 연구 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α파와 SMR파 강화 뉴로피드백 훈련이 정상노인의 인지기능 및 정서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α and SMR enhancing neurofeedback training on cognitive function and emotion in a normal elderly population 류윤지, 홍창희, 신서원 p. 7-28

보기
사관생도의 진로정체감, 의사소통능력, 회복탄력성이 생도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career identity, communication ability, and resilience of cadets on cadet life satisfaction : focusing on cadets at air force academy / 공군사관학교 생도를 중심으로 박수훈, 장성화 p. 29-47

보기
교육 혁신을 위한 대학 규제요인 분석모형 연구 = A study on the analysis model of university regulatory factors for educational innovation 한지원 p. 49-63

보기
학교폭력 가해 학생의 특별교육 경험이 자아존중감, 공격성, 학교생활적응, 우울에 미치는 효과 = A study on the effect of special education experience for school violence offending students on self-esteem, aggressiveness, school life adaptation, and change in depression 이호숙 p. 65-77

보기
유아교사의 전문적 학습환경, 교사효능감, 교사역량 간의 관계 = The relationships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teacher efficacy, and teacher competency 김영희 p. 79-93

보기
상담자 연구 수행과 상담실무 간의 관련 경험에 대한 탐색적연구 : An exploratory study on counselors' experienc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unseling practice and research performance : focused on dissertation experience / 박사학위논문 작성 경험을 중심으로 정혜인 p. 95-120

보기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기반 외상 후 성장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post-traumatic growth program : based on the cognitive emotional control strategies 장혁란, 금명자 p. 121-145

보기
코로나-19 대응인력 간접 외상 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안전기반 집단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검증 =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verification of seeking safety group program for managing the indirect trauma of COVID-19 response staff 윤영숙, 이나빈 p. 147-161

보기
중년기 여성의 자기효능감과 노후준비의 관계에서 사회적자본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ocial capita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retirement preparation among middle-aged women 이소윤, 황인옥 p. 179-191

보기
대학생의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evaluative concern perfectionism on interpersonal problems in university students : the mediating effects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emotional clarity / 거부민감성과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 박하서, 이상희 p. 163-177

보기

참고문헌 (5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수정, 유금란(2016). 대학생의 정서지능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적응적 유머스타일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7(4), 275-294. 미소장
2 곽지현(2017). 대학생의 공적자의식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사회불안과 대인관계문제의매개효과.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 권보정(2021). 대학생의 대인관계유능성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 정서인식명확성의 조절효과. 상담심리교육복지, 8(2), 55-67. 미소장
4 권희정(2013). 대학생의 완벽성향과 부모와의 의사소통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5 교육부(2020). 대학기본역량진단 보고서. 세종: 교육부 미소장
6 김나영(2009).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이 대인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중재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7 김다민, 이혜란.(2020).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평가염려 완벽주의의 관계: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2(4), 1669-1694. 미소장
8 김보미, 유성은(2012). 대인관계 외상 경험자들의 사회적 유대감, 정서 조절과 자살 생각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1(3), 731-748. 미소장
9 김선은(2010). 남녀 고등학생의 평가염려 완벽주의와사회불안의 관계: 자기비난의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0 김아름, 이지연(2011). 완벽주의와 정서강도, 정서 인식 명확성에 따른 하위집단과 정신건강. 열린교육연구, 19(1), 197-218. 미소장
11 김영환, 진유경, 조용래, 권정혜, 홍상황, 박은영(2002). 한국형 대인관계문제 검사의 타당화:KIIP-C와 KIIP-PD의 신뢰도와 타당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1(2), 391-411. 미소장
12 김희경, 심혜숙, 이동훈(2012). 대학생의 성인애착이이성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서인식 명확성과 정서표현역제의 매개효과. 한국게슈탈트치료연구, 2(2), 1-21. 미소장
13 문은미, 이주희(2016). 사회초년생이 직업적응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 중소기업에 취업한 대학졸업자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8(3), 743-775. 미소장
14 박경선, 문혁준(2013). 중학생의 완벽주의, 가족건강성, 학교생활만족도가 분노표현방식에 미치는 영향. 인간발달연구, 20(1), 57-80. 미소장
15 박경옥(2006). 정서강도와 정서인식의 명확성, 정서조절양식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 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6 박경희(2009). 대학생용 대인관계조화 프로그램 개발.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7 박명진, 양난미(2017). 대학생 거부민감성척도 개발및 타당화. 한국심리 학회 학술지. 29(1), 103-127. 미소장
18 배서윤(2018). 거부민감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자기침묵과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 광운대학교 상담복지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9 서은혜(2005). 초등학교 아동의 정서인시명확성, 정서조절양식 및 사회성과의 관계.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0 설보경(2017). 거절민감성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유능성의 매개효과. 동신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1 심혜숙, 왕정희(2001). 초등학생의 정서지능과 사회적능력 및 대인 문제해결력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3(1), 163-175. 미소장
22 안수진(2016).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애착과 대인관계문제와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과 정서자각의매개효과.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3 유유리, 이아라(2021). 대학생의 유기불안이 대인관계문제에미치는 영향. 상담심리교육복지, 8(6), 137-158. 미소장
24 윤영준(2013). 정서인식 명확성이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로 인한 우울에 미치는 영향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5 이미정(2014).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우울간의 관계 :반추적 반응양식의 매개효과.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미소장
26 이수정, 이훈구(1997). Trait Meta-Mood Scale의 타당화에관한 연구: 정서지능의 하위 요인에 대한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1(1), 95-116. 미소장
27 이해령(2019). 대학생의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자기낙담과 정서표현양가성의 이중매개효과.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8 이혜미, 김유미(2015). 초등학생의 거부민감성과 교우관계의 관계에서 정서지능과 사회적 지지의매개효과. 한국아동교육학회, 24(4), 253-271. 미소장
29 임윤선(2013). 성인애착이 대인관계 능력에 미치는영향: 존재감과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0 정소현(2018). 대학생의 거부민감성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 자기침묵과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1 정옥경(2001). 완벽주의 성향이 불안과 대인관계문제에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2 지명원, 이주연(2020). 대학생의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우울과의 관계: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 상담심리교육복지, 7(4), 127-140. 미소장
33 최인영, 김은하, 신희천(2018).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대인관계만족에 미치는 영향: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거절민감성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학교 15(2), 133-153. 미소장
34 한국대학교육협의회(2018). 대학생의 심리적 위기 극복 및 인성계발 지원사업 설계연구: 고등교육미래인재(Homo Futurus) 양성을 위한 심리적강인성 및 인성 계발의 지원 기반 설계. 서울:경성문화사 미소장
35 한기백, 홍진이(2015).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애착이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내면화된 수치심과거절민감성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2(5), 367-389. 미소장
36 한기연(1993). 다차원적 완벽성: 개념, 측정 및 부적응과의 관련성.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37 현진원(1992). 완벽주의 성향과 평가수준이 과제수행에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38 Alden, L. E., Wiggins, J. S., & Pincus, A. L. (1990). Construction of circumplex scales for the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55(3-4), 521-536. 미소장
39 Arnett, J. J. (2000). Emerging adulthood: A theory of development from the late through the twenties. Journal of American Psychologist, 55(5), 469-480. 미소장
40 Ayduk, O., Downey, G., & Kim, M. (2001). Rejection sensitivity and Depressive symptoms in wome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27(9), 868-877. 미소장
41 Burns, D. D. & Beck, A. T. (1978). Cognitive behavior modification of mood disorders. In Cognitive behavior therapy (pp. 109-134). Springer, Boston, MA 미소장
42 Blatt S. J. (1995). The destructiveness of perfectionism: Implications for the treatment of depression. Journal of American Psychologist, 50(12), 1003-1020. 미소장
43 Ciarrochi, J., Deane, F. P., & Anderson S. (2002). Emotional intelligence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mental health.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2(2), 197-209. 미소장
44 Dunkley, D. M., & Blankstein, K. R. (2000). Self-critical perfectionism, coping, hassles, and current distress: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24(6), 713-730. 미소장
45 Downey, G., & Feldman, S. I. (1996). Implications of rejection sensitivity for intimate relationship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6), 1327-1343. 미소장
46 Frost, R .O, Marten, P., Lahart, C, & Rosenblate, R(1990). The dimensions of perfectionism.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14(5), 449-468. 미소장
47 Flett, G. L., Besser, A., & Hewitt, P. L. (2014). Perfectionism and interpersonal orientations in depression: an analysis of validation seeking and rejection sensitivity in a community sample of young adults. Psychiatry, 77(1), 67-85. 미소장
48 Habke, A. M., & Flynn, C. A. (2002). Interpersonal aspects of trait perfectionism. In G. L. Flett &P. L. Hewitt (Eds.), Perfectionism: Theory, research, and treatment.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p151–180. 미소장
49 Hamachek, D. E. (1978). Psychodynamics of normal and neurotic perfectionism. Psychology, 15(2), 27-33. 미소장
50 Hayes, A. F., Montoya, A. K., & Rockwood, N. J. (2017). The analysis of mechanisms and their contingencies: PROCESS versu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ustralasian Marketing Journal(AMJ), 25(1), 76-81. 미소장
51 Hewitt, P. L., & Flett, G. L. (1991). Perfectionism in the self and social contexts: conceptualization, assessment, and association with psychopatholog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0(3), 456-470. 미소장
52 Hewitt, P.L., Flett, G.L, & Turnbull, W.(1995). Perfectionism and suicide potential. British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1(2), 439-460. 미소장
53 Hewitt, P. L., Flett, G. L., Sherry, S. B., Habke, M., Parkin, M., Lam, R. W., McMurtry, B., Ediger, E., Fairlie, P., & Stein, M. B (2003). The interpersonal expression of perfection: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psychological distr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4(6), 1303-1325. 미소장
54 Levy, S. R., Ayduk, O., & Downey, G. (2001). Interpersonal Rejection: The Role of Rejection Sensitivity in people's Relationships with Significant Others and Valued Social Groups. Oxford University Press. p251-289. 미소장
55 Salovey, P, Mayer, J, D, Goldman, S, L, Turney, C & Palfai, P. (1995). Emotional attention, clarity, and repair: exploring emotional intelligence using the trait meta-mood scale. Emotion, disclosure, & health (pp. 125–154).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미소장
56 Salovey, P, Mayer, J. D. (1990). Emotional intelligence. Imagination, Cognition, and Personality, 9(3), 185-211. 미소장
57 Weisinger, H., & Lobsenz, N. (1981). Nobody's perfect: How to give criticism and get results. New York: Warner Books. p237-250.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