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광고의 표현에 있어서 비주얼은 소비자의 시선을 빼앗는데 필수불가결한 요소로 그 자체만으로도 강력한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이 되며, 광고 카피는 광고가 전달하고자 하는 바를 간결하게 요약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차원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유머소구를 모바일 배너광고에 활용하여 표현유형(비주얼, 카피)과 제품유형(고관여-이성제품, 고관여-감성제품, 저관여-이성제품, 저관여-감성제품)에 따른 소비자태도(브랜드태도, 브랜드신뢰, 브랜드충성도)를 집단간 요인설계(Between Subject Factorial Design)를 통해 규명하였다. 연구결과, 유머를 활용한 모바일 배너광고의 표현유형과 제품유형에 따른 소비자태도에서 고관여-이성제품(카메라)의 경우, 비주얼중심 광고보다 카피중심 광고에 노출된 집단이 브랜드태도, 브랜드신뢰와 브랜드충성도가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관여-감성제품(고급화장품) 또한 비주얼중심 광고보다 카피중심 광고에 노출된 집단이 브랜드태도, 브랜드신뢰와 브랜드충성도가 더욱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저관여-이성제품(주방용 랩)과 저관여-감성제품(다이어트 음료)의 경우 표현유형에 따른 브랜드태도, 브랜드신뢰와 브랜드충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표현유형에 따른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이론의 외연 확장과 모바일 광고 크리에이티브 전략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병서, 「행렬과 SPSS/PC 이용 다변량 통계분석」, 학현사, 1997. | 미소장 |
2 | 채서일, 「마케팅 조사론」, 학현사, 1997. | 미소장 |
3 | 김호성, 호텔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따른 기업 명성이 브랜드 일체감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박사학위논문, 2014. | 미소장 |
4 | 박수현, 경험가치가 브랜드태도, 브랜드신뢰와 브랜드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7 No.4,2019. | 미소장 |
5 | 박수현, 서비스체험이 브랜드신뢰, 고객만족 및 브랜드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4 No.4, 2016. | 미소장 |
6 | 유영진․송정선, 외식업체의 광고가 브랜드 가치와 브랜드 태도, 브랜드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 Vol.2No.5, 2010. | 미소장 |
7 | 이세진․추동엽․이재영, 모바일 배너광고의 맥락효과와 메시지 표현유형에 따른 광고효과 연구, 광고학연구,Vol.26 No.1, 2015. | 미소장 |
8 | 이재영ㆍ이종민, 모바일 배너 광고의 메시지 표현유형과수사적 표현 방식에 따른 광고효과 연구, 한국광고홍보학보, Vol.18 No.3, 2016. | 미소장 |
9 | 전근영․이정교, 국내 유머 광고에 대한 메타 분석, 한국언론학보, Vol.59 No.6, 2015. | 미소장 |
10 | 조수영․김선정, 기업 이미지, 제품 특성과 CSR유형의일치/불일치에 따른 수용자 설득효과, 광고홍보학보, Vol.13 No.3, 2011. | 미소장 |
11 | 홍영일, 유머를 활용한 광고 크리에이티브 표현이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 미소장 |
12 | 홍영일, FCB Grid 모델에 따른 모바일 배너광고의 유머소구 효과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Vol.21 No.6, 2020. | 미소장 |
13 | Bloemer, J. M. & Kasper, H., The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and brand loyalty. Journal of Economic Psychology, 16, 1995. | 미소장 |
14 | Chattopadhyay, A., & Basu, K., Humor in Advertising : the Moderating Role of Prior Brand Evaluation.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7(November), 1990. | 미소장 |
15 | Chaudhuri, A. & Holbrook, M. B., The Chain of Effects from Brand Trust and Brand Affect to Brand Performance, Journal of Marketing, 65(2), 2001. | 미소장 |
16 | Cline, Thomas W., & James, J., Kellaris., The Joint Impact of Humor and Argument Strength in a Print Advertising Context : A Case for Weaker Arguments. Psychology & Marketing, 16(1), 1999. | 미소장 |
17 | Desai, K. K., & Keller, K. L., The effects of ingredient branding strategies on host brand extendibility. Journal of marketing, 66(1), 2002. | 미소장 |
18 | Erdem, T. & Swait, J., Brand Equity as a Signaling Phenomenon,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7(2), 1998. | 미소장 |
19 | Fornell, C., A National Customer Satisfaction Barometer, Journal of Marketing, 56(1), 1992. | 미소장 |
20 | Gelb, B. D., & Pickett, C. M., Attitude-Toward-the-Ad : Links of Humor and to Advertising Effectiveness. Journal of Advertising, 12(2), 1983. | 미소장 |
21 | Kannan, P. K., Chang, Ai-Mei, & Whinston, Andrew., Electronic Communities in E-Business : Their Role and Issues Information System Frontier, 1(4), 2001. | 미소장 |
22 | Low, G. & Lamb, C., The Measurement and Dimensionality of Brand Associations, Journal of Product & Brand Management, 9(6), 2000. | 미소장 |
23 | Lyubomirsky, S., King, L., & Diener, E., The Benefits of Frequent Positive Affect : Does Happiness Lead to Success?. Psychological Bulletin, 131(6), 2005. | 미소장 |
24 | McQuarrie, E. F., & Philips, B. J., Indirect Persuasion in Advertising. Journal of Advertising, 34(2), 2005. | 미소장 |
25 | Oliver, R. L., Whence Consumer Loyalty, Journal of Marketing, 63(special), 1999. | 미소장 |
26 | Scott, C., Klein, D. M., & Bryant, J., Consumer Response to Humor in Advertising : A Series of Field Studies Using Behavioral Observation.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6(4), 1990.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5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