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적: 아래눈꺼풀의 무통성 종괴를 주소로 내원한 환자에서 원발점액샘암종을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62세 남자 환자가 내원 2개월 전부터 발생한 왼쪽 아래눈꺼풀의 크기가 증가하는 무통성 종괴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전산화 단층촬영과 안와 자기공명영상검사에서 왼쪽 눈꺼풀에 약 2 cm 크기의 경계가 명확한 원형의 균일하게 조영되는 종괴가 확인되었다. 정확한 진단 및 치료를 위하여 전신마취하 종양 절제생검을 시행하였고 병리조직검사에서 점액샘암종으로 확진되었다. 몸통 양전자 방출단층촬영 및 전산화단층촬영에서 이상 소견을 발견할 수 없어 원발점액샘암종으로 최종 진단하였고 종양의 완전 절제를 위해 광범위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결론: 눈꺼풀에 발생하는 원발점액샘암종은 매우 드물게 발생하는 악성 종양으로, 전이 여부를 감별하기 위한 전신적인 검사가 반드시 필요하며, 국소 재발률이 높기 때문에 광범위 절제 후 정기적인 추적 관찰이 요구된다.
Purpose: We report a case of a primary mucinous adenocarcinoma of the lower eyelid diagnosed in patient with a painless mass.
Case summary: A 62-year-old male visited our clinic with a painless mass of the left lower eyelid of increasing the size for 2 months. Orbital computed tomography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revealed an approximately 2 cm well-defined ovoid, homogeneous enhancing mass in the left lower eyelid. A biopsy was performed under general anesthesia, and histopathologic examination confirmed mucinous adenocarcinoma. Final diagnosis was made as primary mucinous adenocarcinoma since torso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and computed tomography found no abnormal findings and extensive resection was performed for complete resection of the tumor.
Conclusions: Primary mucinous adenocarcinoma that occurs in the eyelid is a very rare malignant tumor, and a systemic examination to determine whether it is metastatic is essential, and due to its high local recurrence, regular follow-up after extensive resection is required.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Lennox B, Pearse AG, Richards HG. Mucin-secreting tumours of the skin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so-called mixed-salivary tumour of the skin and its relation to hidradenoma. J Pathol Bacteriol 1952;64:865-80. | 미소장 |
2 | Mendoza S, Helwig EB. Mucinous (adenocystic) carcinoma of the skin. Arch Dermatol 1971;103:68-78. | 미소장 |
3 | Headington JT. Primary mucinous carcinoma of skin: histochemistry and electron microscopy. Cancer 1977;39:1055-63. | 미소장 |
4 | Weber PJ, Hevia O, Gretzula JC, Rabinovitz HC. Primary mucinous carcinoma. J Dermatol Surg Oncol 1988;14:170-2. | 미소장 |
5 | Wright JD, Font RL. Mucinous sweat gland adenocarcinoma of eyelid: a clinicopathologic study of 21 cases with histochemical and electron microscopic observations. Cancer 1979;44:1757-68. | 미소장 |
6 | Segal A, Segal N, Gal A, Tumuluri K. Mucinous sweat gland adenocarcinoma of the eyelid-current knowledge of a rare tumor. Orbit 2010;29:334-40. | 미소장 |
7 | Tak MS, Cho SE, Kang SG, et al. Primary cutaneous mucinous carcinoma of the eyelid. Arch Craniofac Surg 2016;17:176-9. | 미소장 |
8 | Bertagnoli R, Cook DL, Goldman GD. Bilateral primary mucinous carcinoma of the eyelid treated with Mohs surgery. Dermatol Surg 1999;25:566-8. | 미소장 |
9 | Chauhan A, Ganguly M, Takkar P, Dutta V. Primary mucinous carcinoma of eyelid: a rare clinical entity. Indian J Ophthalmol 2009;57:150-2. | 미소장 |
10 | Snow SN, Reizner GT. Mucinous eccrine carcinoma of the eyelid. Cancer 1992;70:2099-104. | 미소장 |
11 | Karimipour DJ, Johnson TM, Kang S, et al. Mucinous carcinoma of the skin. J Am Acad Dermatol 1997;36(2 Pt 2):323-6. | 미소장 |
12 | Seo HC, Ahn M, Cho NC, Lee DO. A case of primary mucinous adenocarcinoma of the upper eyelid. J Korean Ophthalmol Soc 2007;48:599-603. | 미소장 |
13 | Hong SM, Kim SD, Yun KJ. A case of primary mucinous adenocarcinoma on skin of the lateral canthus. J Korean Ophthalmol Soc 2009;50:1582-5. | 미소장 |
14 | Park JM, Kim SS. A case of primary mucinous adenocarcinoma of the lower eyelid. J Korean Ophthalmol Soc 2018;59:176-80. | 미소장 |
15 | Xie GD, Liu YR, Jiang YZ, Shao ZM. Epidemiology and survival outcomes of mucinous adenocarcinomas: a SEER population-based study. Sci Rep 2018;8:6117. | 미소장 |
16 | Mekenkamp LJ, Heesterbeek KJ, Koopman M, et al. Mucinous adenocarcinomas:poor prognosis in metastatic colorectal cancer. Eur J Cancer 2012;48:501-9.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