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서울 백제역사유적지 관리를 위한 현존식생과 과거 대상식생 비교 연구 : 풍납토성(風納土城)과 몽촌토성(夢村土城)을 중심으로 = Comparative study of actual vegetation and past substitutional vegetation to Baekje historic site in Seoul : focusing on Pungnaptoseong(風納土城) and Mongchontoseong(夢村土城) / 차두원 ; 오충현 1
ABSTRACT 1
국문초록 2
I. 서론 2
II. 연구방법 2
1. 연구대상지 2
2. 조사방법 및 분석 3
III. 결과 및 고찰 3
1. 연구대상지의 입지 특성 3
2. 연구대상지의 현존식생 특성 3
3. 유사지역의 현존식생 특성 4
4. 과거 대상식생 특성 4
IV. 결론 6
REFERENCES 7
유적지의 식생은 일부 과거부터 잔존하는 식생형태이지만 근․현대 이르러 산업화에 따른 도시개발로 인해 식생과 지형이 변형되거나훼손이 많아졌다. 이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유적지 내 잔존하는 식생과 경관을 지표로 참고하여 복원 및 관리를 위한 계획을 수립하는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서울 백제역사유적지인 풍납토성과 몽촌토성을 대상으로 입지 특성, 현존식생, 과거 대상식생의 잔존식생을 비교․분석하여 서울 백제역사유적지 식생 및 경관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풍납토성과 몽촌토성의 입지 특성은 한강 본류 부근에 위치하며 풍납토성은 자연제방과 범람원으로 구성된 평지에, 몽촌토성은 구릉지에 입지하고 있다. 현존식생의 경우, 풍납토성은 조경수목식재지가 주로 나타나는 반면 몽촌토성은 마을과 구릉저지대에 생육하는 과거의 잔존수종이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과거 풍납토성과 몽촌토성 주민들에 의해 관리된 대상식생은입지 특성과 현존식생을 바탕으로 종합한 결과 구릉지에는 갈참나무, 신갈나무 등, 건조지에는 소나무, 하천 및 지류에는 버드나무, 가래나무, 오리나무, 산림 주연부에는 상수리나무, 마을 초입에는 신목으로 소나무, 버드나무, 느티나무 등이 분포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1960년대 이후 풍납토성과 몽촌토성 내에 외래수종의 도입과 시가지 조성 등으로 과거의 대상식생은 모두 사라졌으며 경관 또한 훼손되었다. 다행히도 성벽을 따라 일부 분포하는 잔존수종과 기후, 입지 특성, 시대상을 고려하여 대상식생을 추정하였으나 본 연구는문헌과 현존식생 조사를 중심으로 진행된 연구이므로 향후 식물 유체 분석 등 정량적인 실험을 통해 서울 백제역사유적지 내 과거의 대상식생을 보완하는 과정이 필요하다.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최기룡(1988). 화분분석. 국립문화재연구소. 46-56. | 미소장 |
2 | 김주용, 양동윤, 봉필윤, 이융조, 박지훈(2001). 청원 옥산 소로리 유적지 일대 유기질 니층의 화분분석에 의한 식생변천사에 관한 연구. 제4기학회지. 75-81. | 미소장 |
3 | 서광수, 이명석(2003a). 천안시 백석동 유적지의 고식물학적 연구. 문화재과학기술. 21-27. | 미소장 |
4 | 서광수, 이명석(2003b). 충남 공주시 탄천면 안영리 유적지의 화분분석 연구. 문화재과학기술. 29-35. | 미소장 |
5 | 박지훈, 오규진(2004). 천안 운전리 일대 유기질 점토층의 화분분석 연구. 한국지형학회지. 11(2): 105-112. | 미소장 |
6 | 정철환, 이헌종, 임현수, 김정빈(2005). 전라남도 무안군 피서리지역후기 제4기 퇴적층에서 산출된 포자․화분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26(6): 597-602. | 미소장 |
7 | 박지훈(2005). 부여 궁남지 유적 및 인근 지역에 대한 화분분석.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 미소장 |
8 | 박지훈, 장동호, 김찬수(2010). 인천 운서동유적의 주거지 퇴적층에 관한 화분분석.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0(1): 71-78. | 미소장 |
9 | 박지훈(2011). 부여 가탑리 가탑들 유적의 자연과학적 연구. (재)금강문화유산연구원. | 미소장 |
10 | 박지훈(2012). 송산리 고분군 일대 고환경 복원 연구. 국립공주박물관. | 미소장 |
11 | 박지훈(2013a). 공주 제민천 유역 백제시대 고환경 복원 연구. 공주시청. | 미소장 |
12 | 박지훈(2013b). 공주 공산성 성안마을 저수시설 퇴적토 화분분석 연구. 공주시청. | 미소장 |
13 | 박지훈(2013c). 익산 왕궁리유적의 백제정원 화분분석.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 미소장 |
14 | 서울시(2017). 서울 백제역사유적 유네스코 세계유산 잠정목록 등재추진 연구. 14-73. | 미소장 |
15 | 서울역사박물관(2002). 풍납토성, 잃어버린 왕도를 찾아서. 14-17. | 미소장 |
16 | 이홍종(2015). 한성 백제기 도성권의 지형경관. 중부고고학회. 14(1):45-67. | 미소장 |
17 | 이학기(2012). 남한산성 소나무림 식생구조변화 및 관리방안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조경학석사학위논문. 65. | 미소장 |
18 | 정용문, 권용호, 이상화, 최재용, 송호경(2007). 공주시 공산성의 산림식생구조.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10(2): 16-25. | 미소장 |
19 | 정용문, 김동석, 김광동, 이상화, 송호경(2006). 부여시 부소산의 산림군락구조.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9(1): 55-63. | 미소장 |
20 | 임경빈, 이경준(2002). 임학개론. 향문사. | 미소장 |
21 | 송호경, 신창남(1985). 계룡산 삼림군집형과 그의 구조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환경연구보고. 3(1): 19-58. | 미소장 |
22 | 이현숙(2016). 화분분석으로 본 신라 통일기의 소나무. 생태환경과역사 제2권. 115-152. | 미소장 |
23 | 고려대학교 고고환경연구소(2007). 牙山 葛梅里(Ⅲ地域) 遺蹟 -分析·考察-. | 미소장 |
24 | 황보경(2016). 삼국시대 목책에 대한 고찰. 백산학회 제106호. 169-195. | 미소장 |
25 | 최종현(2002). 고문헌에 나타난 숭목사상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37(2): 7-23. | 미소장 |
26 | 안승모(2012). 식물유체로 본 선사 고대 견과류 이용의 변화 -도토리·참나무와 밤·밤나무를 중심으로-. 호남고고학회 제40권. 5-47.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