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권석만 (2012). 현대 심리치료와 상담 이론. 서울: 학지사. | 미소장 |
2 | 권은정, 박경 (2016). 마음챙김과 노인의 자살생각 간의 관계에서 사고억제와 회피적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재활심리연구, 23(1), 187-201. | 미소장 |
3 | 김민정, 김종남 (2018). 소아암 환아 어머니들의 수용전념치료 참여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3(3), 469-498. | 미소장 |
4 | 김유정 (2014). 수용-전념치료 통합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5 | 김중술, 조두영, 홍강의, 조수철, 신민섭, 류인균, 유성진 (2002). 부부치료의 새로운 접근: 관용과 수용. 인지행동치료, 2(1), 1-13. | 미소장 |
6 | 김진아, 최연실 (2020). 가족치료사를 위한 CBFT 기반의 디지털 치료도구로서의 모바일 앱 개발: 탐색적 연구. 가족과 가족치료, 28(4), 471-501. | 미소장 |
7 | 김천수, 강영신, 노안영 (2015). 수용전념치료(ACT)가 주부의 인지적 탈융합 및 수용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통합적 분석: 초기기억을 활용하여. 상담학연구, 16(4), 481- 501. | 미소장 |
8 | 문준희, 김영숙 (2020). 경증 치매 환자를 위한 수용전념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5(3), 21-35. | 미소장 |
9 | 문현미 (2005). 인지행동치료의 제 3 동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1), 15-33. | 미소장 |
10 | 박경 (2015). 화병에 대한 수용․마음챙김 치료의 유용성과 시사점. 한국심리치료학회지, 7(2), 59-68. | 미소장 |
11 | 박주효, 김승환 (2018). 수용전념 집단미술치료가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과 유연성에 미치는 효과. 인문사회21, 9(5), 1241-1256. | 미소장 |
12 | 박지완, 조성근, 유경희, 조강희, 범재원 (2020). 만성통증 환자를 위한 집단 수용전념치료의 효과검증: 치료과정변인의 매개효과. 인지행동치료, 20(4), 445-468. | 미소장 |
13 | 이규복, 손정락 (2019). 수용–전념치료(ACT)가 대인불안이 있는 대학생들의 주장성과 대인불안에 미치는 효과. 디지털융복합연구, 17(4), 345-353. | 미소장 |
14 | 이선영 (2009). 수용-전념치료에서 과정 변인이 불안에 미치는 매개효과.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 미소장 |
15 | 이선영(2017). 꼭 알고 싶은 수용-전념치료의 모든 것. 서울: 소울메이트. | 미소장 |
16 | 이선영, 안창일 (2012). 불안에 대한 수용-전념 치료의 치료과정 변인과 치료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4(2), 223- 254. | 미소장 |
17 | 이선희, 임성문 (2013). 통합적 행동부부치료에 기초한 기혼여성의 결혼만족도 향상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5(3), 449-476. | 미소장 |
18 | 이은경, 송미경 (2018). 메타분석에 기초한 우울과 불안증상에 대한 ACT(수용-전념치료) 기반 집단상담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0(3), 635-661. | 미소장 |
19 | 이지은, 윤호균 (2007). 기혼여성의 마음챙김과 부부의사소통패턴, 결혼만족도의 관련성.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2(3), 331-345. | 미소장 |
20 | 임민경, 이지혜, 이한나, 김태동, 최기홍 (2013). 근거기반실천과 심리치료.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2(1), 251-270. | 미소장 |
21 | 임아영, 이훈진 (2020). IBCT에 기반한 커플관계 다름 수용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9(4), 599-632. | 미소장 |
22 | 정문자, 정혜정, 이선혜, 전영주 (2018). 가족치료의 이해 (제3판). 서울: 학지사. | 미소장 |
23 | 조아라, 김계현, 황매향 (2019). 대학생들이 학습 중 겪는 딴생각에 대한 수용 전략 대 사고억제 전략의 효과 차이. 아시아교육연구, 20(1), 219-250. | 미소장 |
24 | 통계청 (2017). 인구동향조사.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B85004&conn_path=I2 | 미소장 |
25 | 한영애, 양혜정 (2020). 중년부부의 마음챙김과 결혼만족도의 관계에서 의사소통능력의 매개효과: 자기-상대방 상호의존성 모형(APIM)의 적용. 가족과 가족치료, 28(3), 405-425. | 미소장 |
26 | 한지수, 최연실 (2021). 공통요인(common factors)을 통해 본 구조적 가족치료와 통합적 행동부부치료(IBCT)의 통합적 적용 가능성 및 가족치료적 함의. 가족과 가족치료, 29(2), 359-384. | 미소장 |
27 | Barnes, S., Brown, K. W., Krusemark, E., Campbell, W. K., & Rogge, R. D. (2007). The role of mindfulness in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responses to relationship stress.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33(4), 482-500. | 미소장 |
28 | Baucom, D. H., Epstein, N. B., Kirby, J. S., & LaTaillade, J. J. (2015). Cognitive- behavioral couple therapy. In A. S. Gurman, J. J. Lebow, & D. K. Snyder, (Eds.), Clinical handbook of couple therapy (5th ed.) (pp. 23-60). NY: The Guilford Press. | 미소장 |
29 | Christensen, A., Dimidjian, S., & Martell, C. R. (2015). Integrative behavioral couple therapy. In A. S. Gurman, J. J. Lebow, & D. K. Snyder, (Eds.), Clinical handbook of couple therapy (5th ed.) (pp. 61-94). NY: The Guilford Press. | 미소장 |
30 | Christensen, A., Doss, B. D., & Jacobson, N. S. (2020). Integrative behavioral couple therapy. (2nd ed.). NY: W. W. Norton & Company. | 미소장 |
31 | Ciarrochi, J. V., & Bailey, A. (2011). 수용전념치료 임상 가이드 (인경, 김수인 역, 원제: A CBT practitioner's guide to ACT). 서울: 명상상담연구원. (원저 2008년 발행). | 미소장 |
32 | Dattilio, F. M. (2010). Cognitive-behavioral therapy with couples and families: A comprehensive guide for clinicians. NY: The Guilford Press. | 미소장 |
33 | Dattilio, F. M., 권정혜 (2004). 인지행동 부부치료. 인지행동치료, 4(2), 1-25. | 미소장 |
34 | Epstein, N. B., & Dattilio, F. M. (2020). Behavioral and cognitive-behavioral approaches in systemic family therapy. In K. S. Wampler, R. B. Miller, & R. B. Seedall, (Eds.), The handbook of systemic family therapy (Vol. 1) (pp. 365-389). Hoboken, New Jersey: John Wiley and Sons, Inc. | 미소장 |
35 | Gehart, D. R. (2019). 부부․가족 치료를 위한 마음챙김과 수용 (정정화, 이숙자 역, 원제: Mindfulness and acceptance in couple and family therapy). 서울: 학지사. (원저 2012년 발행). | 미소장 |
36 | Gottman, J. M. (1994). What predicts divorce: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processes and marital outcomes. Hillsdale, New Jersey: Lawrence Erlbaum. | 미소장 |
37 | Gottman, J. M., & Gottman, J. S. (2015). Gottman couple therapy. In A. S. Gurman, J. J. Lebow, & D. K. Snyder (Eds.), Clinical handbook of couple therapy (5th ed.) (pp. 129-157). NY: The Guilford Press. | 미소장 |
38 | Gurman, A. S. (2015). Functional analytic couple therapy. In A. S. Gurman, J. J. Lebow, & D. K. Snyder (Eds.), Clinical handbook of couple therapy (5th ed.) (pp. 192-223). NY: The Guilford Press. | 미소장 |
39 | Hayes, S. C. (2004).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relational frame theory, and the third wave of behavioral and cognitive therapies. Behavior Therapy, 35(4), 639-665. | 미소장 |
40 | Hayes, S. C., & Smith, S. (2010). 마음에서 빠져나와 삶 속으로 들어가라 (문현미, 민병배 역, 원제: Get out of your mind & into your life). 서울: 학지사. (원저 2005년 발행). | 미소장 |
41 | Hayes, S. C., & Strosahl, K. D. (2015). 수용전념치료 실무 지침서 (손정락, 이금단 역, 원제: A practical guide to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서울: 학지사. (원저 2004년 발행). | 미소장 |
42 | Hayes, S. C., Strosahl, K. D., & Wilson, K. G. (2016).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The process and practice of mindful change. New York: The Guilford Press. | 미소장 |
43 | Hayes, S. C., Wilson, K. G., Gifford, E. V., Follette, V. M., & Strosahl, K. (1996). Experiential avoidance and behavioral disorders: A functional dimensional approach to diagnosis and treatment.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4(6), 1152-1168. | 미소장 |
44 | Held, D. (1995). Democracy and the Global Order: From modern state to cosmopolitan governance. Cambridge: Polity Press. | 미소장 |
45 | Jacobson, N. S., & Christensen, A. (2012). 부부치료에서의 수용과 변화 (이선희, 고열 역, 원제: Acceptance and change in couple therapy). 서울: 학지사. (원저 1996년 발행). | 미소장 |
46 | Jacobson, N. S., Christensen, A., Prince, S. E., Cordova, J., & Eldridge, K. (2000). Integrative behavioral couple therapy: An acceptance based, promising new treatment for couple discord.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8(2), 351-355. | 미소장 |
47 | Lebow, J. L. (1984). On the value of integrating approaches to family therapy.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10(2), 127-138. | 미소장 |
48 | Lebow, J. L. (1997). The integrative revolution in couple and family therapy. Family Process, 36(1), 1-17. | 미소장 |
49 | Lebow, J. L (2014). Couple and family therapy: An integrative map of the territory. Washington, D. 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 미소장 |
50 | Lebow, J. L (2016). Integrative approaches to couple and family therapy. T. L. Sexton, & J. Lebow (Eds.), Handbook of family therapy. (pp. 205-227). New York: Routledge. | 미소장 |
51 | Lev, A. & McKay, M. (2020). 부부관계 향상을 위한 수용전념치료 (천성문, 조용재, 김정화 역, 원제: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for couples). 서울: 학지사. (원저 2017년 발행). | 미소장 |
52 | Levitt, J. T., Brown, T. A., Orsillo, S. M., & Barlow, D. H. (2004). The effects of acceptance versus suppression of emotion on subjective and psychophysiological response to carbon dioxide challenge in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Behavior Therapy, 35(4), 747-788. | 미소장 |
53 | Luoma, J. B., Hayes, S. C., & Walser, R. D. (2012). 수용전념치료 배우기 (최영희, 유은승, 최지환 역, 원제: Learning ACT: An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skills-training manual for therapists). 서울: 학지사. (원저 2007년 발행). | 미소장 |
54 | Nichols, M. P., & Schwatz, R. C. (2013). 가족치료: 개념과 방법 (제9판) (김영애, 김정택, 송성자, 심혜숙, 정문자, 제석봉 역, 원제: Family therapy: Concepts and methods). 서울: 시그마프레스. (원저 2011년 발행). | 미소장 |
55 | Nielsen, A. C. (2016). A roadmap for couple therapy: Integrating systemic, psychodynamic, and behavioral approaches. New York: Routledge. | 미소장 |
56 | Pinsof, W. M. (1995). Integrative problem-centered therapy: A synthesis of family, individual, and biological therapies. New York: Basic Books. | 미소장 |
57 | Pinsof, W. M., Breunlin, D. C., Russell, W. P., Lebow, J. L. (2017). Integrative systemic therapy: Metaframeworks for problem solving with individuals, couples, and families. Washington, D. 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 미소장 |
58 | Pitta, P., & Datchi, C. C. (2019). Integrative couple and family therapies: Treatment models for complex clinical issues. Washington, D. 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 미소장 |
59 | Polk, K. L., Schoendorff, B., Webster, M., & Olaz, F. O. (2018). 수용전념치료의 혁신, 매트릭스 (곽욱환, 조철래, 김도훈, 김상엽, 이강욱, 전봉희, 정진 역, 원제: The essential guide to the act matrix). 서울: 삶과 지식. (원저 2016년 발행). | 미소장 |
60 | Sprenkle, D. H., Davis, S. D., & Lebow, J. L. (2021). 커플․가족치료애서의 공통요인: 효과적 개입의 토대 (최연실 역, 원제: Common factors in couple and family therapy: The overlooked foundation for effective practice). 서울: 신정 (원저 2009년 발행). | 미소장 |
61 | Wachs, K., & Cordova, J. V. (2007). Mindful relating: Exploring mindfulness and emotion repertoires in intimate relationships.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33(4), 464-481. | 미소장 |
62 | Wegner, D. M., Schneider, D. J., Carter, S. Ⅲ, & White, L. (1987). Paradoxical effects of thought suppress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3(1), 5-13. | 미소장 |
63 | Williams, L., Patterson, J., & Edwards, T. M. (2021). 임상가를 위한 가족치료 연구방법론: 근거기반 실천의 토대 (최연실, 기쁘다, 민주홍, 천연미 역, 원제: Clinician's guide to research methods in family therapy: Foundations of evidence-based practice). 서울: 하나의학사. (원저 2014년 발행). | 미소장 |
64 | Wittenborn, A. K., Hosseinichimeh, N., Rick, J. L., & Tseng, C. (2020). Systems theory and methodology. In K. S. Wampler, R. B. Miller, & R. B. Seedall, (Eds.), The handbook of systemic family therapy (Vol. 1) (pp. 97-118). Hoboken, New Jersey: John Wiley and Sons, Inc.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