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三國演義》에 출현하는 병법을 조사하니 대략 50여 종이 넘는 것으로 확인된다. 이 병법들은 《三國演義》의 제1회부터 120회까지 고르게 분포되어 있지만 그중 관도대전⋅적벽대전⋅이릉대전⋅육출기산 등 대전투 중심으로 집중되며 특히 적벽대전에서는 약 16종 이상이 나온다.

병법의 기원과 原典에 대한 出處를 조사하다 보니 물론 《孫子兵法》과 같은 병법류에서 인용된 것도 많지만 역사나 문학 및 철학 등에서 유래된 故事成語型 병법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역사에서는 《史記》와 《漢書》에서 많이 유래되었고, 문학에서는 小說과 戱曲 및 詩에서도 유래가 되었다. 또 병법명은 대부분 3-4글자의 고사성어나 명언명구 스타일로 다듬어지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三國演義》에 나오는 병법의 이름과 유형을 분석해보니 특이하게도 兵法書 《三十六計》와의 연관성이 매우 높았다. 즉 50여 개의 병법 가운데 36개 병법 모두가 《三國演義》에 나오는 것으로 보아 필경 《三國演義》의 편찬과정에서 서로 많이 참고가 되었을 것으로 사료된다. 《三十六計》 역시 일부분은 《三國演義》의 영향을 받아 첨삭이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세 발 두꺼비 형상의 상징의미 : A study on the symbolic meaning of the three-legged toad : in regard to Taoist immortal Liuhaichan / 신선 劉海蟾과 관련하여 張賢珠 p. 1-18

《三国演義》의 兵法硏究 = A study on military tactics of the novel Romance of Three Kingdom (三国演義) 閔寬東 p. 19-46

한중 저승 서사에 반영된 욕망과 치유 : Desire and healing reflected in the underworld narratives of Korea and China : focusing on the webtoon Along with the Gods and the stories of the underworld in Huabenxiaoshuo / 웹툰 《신과함께》와 화본소설 속 저승 이야기를 중심으로 金敏鎬 p. 47-76

청대 傳奇 《鑑中天》의 평점 양상 고찰 = A study on the commentary of traditional opera Jian-Zhong-Tian(鑑中天) in the early Qing Dynasty 鄭暋暻 p. 77-99

廬隱小說在"五四"時代的接受硏究 = A study on the acceptance of Lu Yin's novels in the "May 4th" era 洪成花 p. 101-122

린위탕(林語堂) 창작의 새로운 모색 : A new vision of China in Lin Yutang's novel, Moment in Peking (京華煙雲) / 장편소설 《베이징의 나날들(京華煙雲)》을 통한 중국 상상하기 南姬汀 p. 123-143

문인영화 <滾滾紅塵>의 서사적 전략 = Literary films' strategies of film Red Dust (滾滾紅塵) 陳性希 p. 145-162

중어중문학과 전공수업 '중국고전소설과 콘텐츠'의 사례 : Chinese literature major class : a case of "Chinese classic novels and contents" : focusing on academic efficacy and major utility / 학업효능감과 전공효용성을 중심으로 崔眞娥 p. 163-187

중국 애니메이션의 청년 영웅서사 : Young hero narrative from Chinese animation : focusing on <New Gods: Nezha Reborn(哪吒重生)> / <신신방: 나타중생>을 중심으로 宋蓮玉 p. 189-214

<삼몽기>의 서사구조에 기초한 스토리텔링에서의 유의점 연구 : A study on the significance of storytelling based on the narrative structure of <Sammonggi> : focusing on the Jung school's view on dreams / 꿈에 관한 융(Jung)학파의 견해를 중심으로 李炳旻 p. 215-242

참고문헌 (2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임종욱 편, 《고사성어대사전》, 시대의창, 2008년. 미소장
2 김원중 편저, 《고사성어백과사전》, 민음사, 2007년. 미소장
3 沈伯俊 編, 《三國演義辭典》, 巴蜀書社, 1993년. 미소장
4 정원기 편역, 《삼국지사전》, 현암사, 2010년. 미소장
5 陳起煥 編, 《三國志故事成語辭典》, 명문당, 2001년. 미소장
6 《古本小說集成》: 上海古跡出版社, 1984年. 전집 중 소설 삼국지 관련 판본(三國志評話 / 三國志通俗演義 嘉靖本 萬卷樓本 등 참고) 미소장
7 羅貫中 編, 毛宗崗 評, 《三國演義》, 臺灣 桂冠圖書, 1991년. 미소장
8 나관중 지음, 정원기 옮김, 《정역삼국지》, 현암사, 2008년. 미소장
9 나관중 지음, 김구용 옮김, 《삼국지연의》, 솔 출판사, 2008년. 미소장
10 진수 지음, 김원중 옮김, 《삼국지》(위/오/촉), 민음사, 2007년. 미소장
11 기무라 노리야키 지음, 조영렬 옮김, 《삼국지의 계략》, 서책, 2013년. 미소장
12 임유진, 《이기는 판을 위한 36계 병법》, 미래문화사, 2021년. 미소장
13 배득렬 역, 《고사성어를 알면 중국이 보인다》, 학고방, 2007년. 미소장
14 김성배 등 옮김, 《易中天 삼국지강의》, 김영사, 2008년. 미소장
15 민관동, 《삼국지인문학》, 학고방, 2020년. 미소장
16 리빙옌 등 저, 허유영 옮김, 《삼국지처세학》, 신원문화사, 2008년. 미소장
17 서전무 지음, 정원기 옮김, 《삼국지상식백가지》, 현암사, 2005년 미소장
18 陳翔華, 《三國志演義縱論》, 臺灣文津出版社, 2006年. 미소장
19 沈伯俊, 《說三國》, 中華書局, 2006年. 미소장
20 沈伯俊, 《三國演義新探》, 四川人民出版社, 2002年. 미소장
21 周兆新 主編, 《三國演義叢考》, 北京大學出版社, 1995年. 미소장
22 王志剛, 《三國演義中的三十六計》, 華僑出版社, 2005年. 미소장
23 吳毅 等, 《畵說三十六計》, 北京美術撮影出版社, 1995年. 미소장
24 鄭鐵生, 《三國演義敍事藝術》, 新華出版社, 2000年. 미소장
25 劉煒主 編, 《圖錄三國的時代》, 臺灣商務印書館, 1999年. 미소장
26 바이두: https://baike.baidu.com/item/%E%B8%8 미소장
27 나무위키: https://namu.wiki/w/%EC%82%BC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