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수업역량 향상을 위하여 액션러닝 방법 중심의 수업시연 모형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방법 경기도 소재 Y전문대학교 유아교육과 학생 75명을 대상으로 예비 수업시연 모형, 1차 수업시연모형을 수정⋅보완하여 최종수업시연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수업시연 모형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김연수(2017)가 개발한 유아교사용 수업역량 평가척도를 활용하여 Wilcoxon 부호순위 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연구 참여자가 가지는 수업시연 모형에 대한 의미를 분석하기 위하여면담, 동영상, 수업시연 과정 산출물 등의 자료를 질적으로 분석하는 과정을 거쳤다.
결과 액션러닝을 중심으로 한 수업시연 모형은 ‘놀이 관찰하기 - 놀이 의미 읽기 - 다양한 놀이 지원 도출하기 - 우선순위 결정하기- 수업계획안 작성하기 - 현직교사 참여 및 수업시연 발표하기 - 평가하기’의 7 단계로 구성된다. 모형 효과 분석 결과, 본 수업시연모형 적용 시 예비유아교사의 수업역량 중 하위 요소인 내적 동기, 수업 개선 노력, 지식, 수업 목표, 수업 설계, 교수법, 학습 분위기조성, 영유아 평가 요소는 수업시연 모형 적용 전과 후에 평균 점수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다음으로 본 수업시연 모형이 예비유아교사에게 주는 의미 분석 결과 본 수업시연 모형은 ‘수업에 대한 기초 지식 구성하기’, ‘현장성 있는 수업기술 익히기’, ‘예비유아교사로서의 방향성 탐색하기’의 세 가지 의미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액션러닝 방법을 중심으로 한 본 수업시연 모형이 예비유아교사의 수업역량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었음을 의미하며 나아가예비 유아교사의 수업 역량 향상을 위한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미영, 김혜리, 어성연 (2020). 어린이집 원장의 리더십 및 조직풍토가 보육교사 수업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7(3), 83-107. | 미소장 |
2 | 강한나 (2014). 예비유아교사의 학습동기 향상을 위한 소셜액션러닝 모형 개발.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3 | 경기도교육청 (2018). 놀이 2018, 유아교육, 놀이로 풀다. 경기: 경기도 교육청. | 미소장 |
4 | 고은영 (2019). 유아교사를 위한 액션러닝 중심 부모 면담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공주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5 | 교육과학기술부 (2009). 유아교육 선진화 추진 계획. 서울:교육과학기술부. | 미소장 |
6 | 교육과학기술부 (2010). 유치원교원 양성 및 임용체제 개선방안.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 미소장 |
7 | 교육부 (2015.8.7.). 2015 개정 교육과정 마련을 위한 제1차 공청회 개최. https://www.moe.go.kr에서 2020년 5월30일 인출. | 미소장 |
8 | 교육부 (2015.9.23.).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및 각론 확정⋅ 발표. https://www.moe.go.kr에서 2020년 5월 30일 인출. | 미소장 |
9 | 교육부 (2015a). 2015학년도 유치원 교육능력개발평가 매뉴얼(교사용). 세종특별자치시: 교육부. | 미소장 |
10 | 교육부 (2015b). 2015 유치원⋅어린이집 통합평가 자료집. 세종특별자치시: 교육부. | 미소장 |
11 | 교육부⋅보건복지부 (2019). 2019개정 누리과정 놀이실행자료. 세종특별자치시: 교육부. | 미소장 |
12 | 권연정 (2016). 유아교사를 위한 액션러닝 기반 미디어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3 | 권은주, 최윤정 (2010). 체계적인 모의수업 과정에 나타난 예비유아교사의 사고변화 분석-유치원 하루 일과 모의수업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30(2), 57-82. | 미소장 |
14 | 권혜경 (2014). 유치원 교사 수업전문성 강화를 위한 수업포트폴리오 모형 개발 및 적용에서의 협력적 실행연구. 강릉원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5 | 김경철, 김안나 (2009). 구성주의 이론에 기초한 유아교사양성교육이 예비유아교사에게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29(4), 125-150. | 미소장 |
16 | 김경철, 김안나 (2010). 예비 유아교사의 모의수업을 통한수업분석의 경험. 유아교육학논집, 14(1), 399-424. | 미소장 |
17 | 김경철, 박혜정 (2014). 예비유아교사의 모의수업에 나타난 이야기나누기의 어려움. 한국영유아교육학논집, 18(3), 309-334. | 미소장 |
18 | 김빛내 (2018). 유아 창의성 교육을 위한 블렌디드 액션러닝기반 교사교육에 참여한 교사의 경험. 부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9 | 김석우 (2015). 교육평가의 이해. 서울: 학지사. | 미소장 |
20 | 김연수 (2017). 유아교사용 수업역량 평가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21 | 김원정 (2010). 예비 체육 교사의 수업 시연을 통한 자기수업반성에 관한 연구.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17(1), 25-52. | 미소장 |
22 | 김윤희 (2019).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유아교육 방향 탐색. 공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23 | 김은정 (2016). 반성적 모의수업 활동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의 경험.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24 | 김은정, 김경철 (2017). 반성적 모의수업 활동 경험이 예비유아교사들의 수업능력에 주는 의미. 유아교육연구, 7(1), 257-285. | 미소장 |
25 | 김자경, 강혜진, 임은영 (2012). 액션러닝을 활용한 장애아통합교육 수업이 예비특수교사의 문제해결 능력과 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14(3), 593-609. | 미소장 |
26 | 김주영 (2013). 유치원 원감의 원내 수업 컨설팅을 통합 교사의 수업 전문성 신장. 배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27 | 김지운 (2015). 유아음악교육을 위한 액션러닝 기반의 현직교사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28 | 김창완, 김화경, 이용우 (2020). 액션러닝과 디자인씽킹으로 캡스톤디자인 수업하기. 대구: 빛을 여는 책방. | 미소장 |
29 | 김철주, 신선희 (2019). 효과적인 교수 학습을 위한 교육공학적 접근. 고양: 어가. | 미소장 |
30 | 김효주, 엄우용 (2014). 대학 교원의 수업 개선을 위한 액션러닝 적용 사례. 교육공학연구, 30(4), 839-878. | 미소장 |
31 | 마지순, 고은현 (2010). 예비유아교사의 모의수업과 현장수업경험에 대한 의미 탐색. 유아교육연구, 30(1), 249-271. | 미소장 |
32 | 박균열 (2007). 교사의 수업전문성 영향요인에 관한 구조적분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33 | 박남기, 임수진 (2020). 교육대 교직과목의 학교현장성 개념과 방향 탐색: 전문학회와 관련 집단의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37(2), 27-53. | 미소장 |
34 | 박수홍, 안영식, 정주영 (2013). 체계적인 액션러닝. 파주:학지사. | 미소장 |
35 | 박영신, 이효림 (2016). 예비 유아교사의 학년별 핵심역량교육요구도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21(1), 343-366. | 미소장 |
36 | 박은혜, 조운주 (2015). 유치원 초임교사 핵심역량 구인 타당화 연구. 육아지원연구, 10(1), 107-131. | 미소장 |
37 | 박찬옥, 정남미, 곽현주 (2020). 놀이지도. 파주: 양성원. | 미소장 |
38 | 방경곤, 권민석, 김규태, 이우붕 (2013). 교수⋅학습안과 수업실연. 경기: 양서원. | 미소장 |
39 | 성태제 (2017). 알기쉬운 통계분석. 서울: 학지사. | 미소장 |
40 | 송주연, 황해익 (2010). 좋은 수업에 대한 유치원 교사들의 이야기. 열린유아교육연구, 15(3), 399-423. | 미소장 |
41 | 신은수, 박은혜, 조운주, 이경민, 유영의, 이진화, 이병호 (2011). 유치원 교원 핵심역량 구성 방향 탐색. 유아교육학논집, 15(5), 203-226. | 미소장 |
42 | 유영식 (2018). 과정중심평가. 서울: 테크빌교육(주). | 미소장 |
43 | 유한구 (2001). 수업전문성의 두 측면: 기술과 이해. 한국교원교육연구, 18(1), 68-84. | 미소장 |
44 | 유혜령 (1997). 마이크로 티칭. 서울: 문음사. | 미소장 |
45 | 유효인 (2020). 창의적 문제해결(CPS) 기반 예비유아교사수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46 | 이선영 (2017).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심리학. 한국교육학연구, 23(1), 231-260. | 미소장 |
47 | 이성아 (2018). 액션러닝 기반 대학 수업에서의 학습자 평가도구 개발.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48 | 이성호 (2004). 교육과정 개발과 평가. 경기: 양서원. | 미소장 |
49 | 이신동, 조형정, 장선영, 정종원 (2012). 알기쉬운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경기: 양서원. | 미소장 |
50 | 이준, 방선희 (2010). 예비교원의 수업전문성 인식 조사 연구와 시사점: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을 중심으로. 교육방법연구, 22(4), 115-142. | 미소장 |
51 | 장경원, 고수일 (2019). 액션러닝으로 수업하기 2판. 서울:학지사. | 미소장 |
52 | 장경원, 이지은 (2009). 학습자 중심 교육에 대한 교육행정가, 교사, 예비교사의 인식 비교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9(1), 315-339. | 미소장 |
53 | 장은주, 조혜선 (2018). 마이크로 티칭을 통한 전공 연계형반성적 모의수업 경험이 예비유아교사에게 주는 의미탐색. 교사교육연구, 57(4), 577-588. | 미소장 |
54 | 장은주, 조혜선 (2019). 예비유아교사의 수업 전문성 증진을 위한 유치원 현장 연계형 모의수업에 대한 실행연구. 교사교육연구, 58(4), 555-568. | 미소장 |
55 | 정은이 (2009). 교직과정에서 이루어지는 모의수업의 교육효과 - 교직과정 몰입과 교과 관련 교사 효능감을 중심으로-. 아시아교육연구, 11(3), 217-249. | 미소장 |
56 | 조부경, 김정화 (2000). 유아교사 양성대학 전공 강좌에서 이론과 교수 경험의 통합 운영에 대한 예비교사, 지도교사담당교수의 반응 분석. 유아교육연구, 20(1), 139-162. | 미소장 |
57 | 조승제 (2007). 교육과정과 평가의 쟁점. 서울: 교육과학사. | 미소장 |
58 | 조영재, 박수홍 (2019). 대학수업에서의 플립러닝 기반 액션러닝 수행지원체제 모형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9), 25-54. | 미소장 |
59 | 조은미 (2008). 좋은 수업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60 | 조호제, 윤근영 (2009). 교사의 발달단계에 따른 수업 전문성의 차이 분석. 열린교육연구, 17(2), 183-207. | 미소장 |
61 | 조희정 (2012). ASSURE 이론에 기초한 유아교사 양성과정의 모의수업 모형 개발 및 적용. 배재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62 | 조희정, 이대균 (2011). 마이크로 티칭을 통한 반성적 수업분석의 경험이 예비유아교사의 음악교수능력 향상에 주는 의미. 열린유아교육연구, 16(5), 109-139. | 미소장 |
63 | 진영은, 함영기 (2009). 수업 전문성 재개념화 연구 동향및 과제. 열린교육연구, 17(2), 47-71. | 미소장 |
64 | 차지량 (2017). 유아기 자녀 어머니의 부모-자녀관계 개선을 위한 액션러닝 기반 분노조절 능력 향상 프로그램의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65 | Bogdan, R. C., & Biklen, S. K. (2015). Qualitative research for education: An introduction to theories and method (5th ed.). 조정수 역 (2007). 교육의 초보연구자를 위한 질적 연구방법론의 기초(제5판). 서울: 경문사. | 미소장 |
66 | Gregory, G. H., & Chapman, C. (2014). Differentiated instructional strateges: One size dosen’t fit /all (3rd ed.). 조영남, 나종식, 김광수 역 (2014). 맞춤형 수준별⋅개별화 수업전략. 서울: 학지사. | 미소장 |
67 | Larmer, J., Mergendaller, J., & Boss, S. (2017). Setting the standard for project based learning: A proven approach to rigorous classroom instruction. 최선경, 장밝은, 김병식 역 (2015). 프로젝트수업 어떻게 할 것인가?. 서울: 지식프레임. | 미소장 |
68 | Rychen, S., & Salganik, H. (2003). Key Competencies for a Successful Life and a Well- Functioning Society. A Holistic Model of Competence. Cambridge, MA:Hogrefe & Huber Publisher.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