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수업역량 향상을 위하여 액션러닝 방법 중심의 수업시연 모형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방법 경기도 소재 Y전문대학교 유아교육과 학생 75명을 대상으로 예비 수업시연 모형, 1차 수업시연모형을 수정⋅보완하여 최종수업시연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수업시연 모형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김연수(2017)가 개발한 유아교사용 수업역량 평가척도를 활용하여 Wilcoxon 부호순위 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연구 참여자가 가지는 수업시연 모형에 대한 의미를 분석하기 위하여면담, 동영상, 수업시연 과정 산출물 등의 자료를 질적으로 분석하는 과정을 거쳤다.

결과 액션러닝을 중심으로 한 수업시연 모형은 ‘놀이 관찰하기 - 놀이 의미 읽기 - 다양한 놀이 지원 도출하기 - 우선순위 결정하기- 수업계획안 작성하기 - 현직교사 참여 및 수업시연 발표하기 - 평가하기’의 7 단계로 구성된다. 모형 효과 분석 결과, 본 수업시연모형 적용 시 예비유아교사의 수업역량 중 하위 요소인 내적 동기, 수업 개선 노력, 지식, 수업 목표, 수업 설계, 교수법, 학습 분위기조성, 영유아 평가 요소는 수업시연 모형 적용 전과 후에 평균 점수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다음으로 본 수업시연 모형이 예비유아교사에게 주는 의미 분석 결과 본 수업시연 모형은 ‘수업에 대한 기초 지식 구성하기’, ‘현장성 있는 수업기술 익히기’, ‘예비유아교사로서의 방향성 탐색하기’의 세 가지 의미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액션러닝 방법을 중심으로 한 본 수업시연 모형이 예비유아교사의 수업역량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었음을 의미하며 나아가예비 유아교사의 수업 역량 향상을 위한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비대면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습태도 및 수업전문성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non-face-to-face classes on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ies, learning attitudes and professionalism in teaching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김정은 p. 1-10
영유아 안전교육 핵심역량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 Daycare teacher's perception of infant safety education's core competency 이명금, 문연심 p. 11-26
유아교사의 의사소통만족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s of infant teachers in Korea :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 of emotional labor / 정서노동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최형성 p. 27-40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학습환경에서 간호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간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of nursing students in a non-face-to-face learning environment during COVID-19 : links to the mediating effect of college life adaptation / 대학생활적응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서형은, 김혜진 p. 41-51

예비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이 교사역량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n teaching competency of the prospective young children teachers' self-esteem : focused on the mediated effect of expertise awareness / 전문성인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갑순, 김정화 p. 53-67
넥스트디그리트랙 참여가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습몰입, 학업적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와 성별차이 분석 = Analysis of the effect and gender difference of participation in the next degree track on the self directed learning ability, learning flow, and academic self-efficacy of university students 조보람 p. 69-83
미래 교육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초등체육의 대응 방안 = Countermeasures for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to adapt to the future educational environment 전영한 p. 85-100
천문야외 활동을 중심으로 살펴 본 초중고 학생들의 참여도 성차 분석 : Analysis of gender disparity regarding Korea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ion in outdoor astronomical activities : comparison with scientific information and cultural/artistic activities / 과학정보 및 문화예술 활동과의 비교 유지성, 이지은, 이진희 p. 101-117
(A) study on trajectories and influencing factors of middle school students' English academic achievement : 성장혼합모형을 적용한 중학생 영어 학업성취도 변화유형 및 영향요인에 대한 종단연구 / a growth mixture model analysis Hailie Chun p. 119-132
조현병 환자 사례 기반 역할극을 적용한 시뮬레이션 교육을 받은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및 문제해결과정의 관계 = Relationship between empathy ability, communication self-efficacy, and problem-solving process of nursing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simulation education applying role-play based on cases of schizophrenic patients 한은수, 김선희 p. 133-143
대인 외상 경험에 대한 의도적 반추와 직업정체성의 관계에서 외상 후 성장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post-traumatic grow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liberate rumination on interpersonal trauma experience and job identity among counselors / 상담자를 중심으로 김연수, 류현교, 허난설 p. 145-160
창의적 디지털 역량 향상을 위한 디자인 수업 설계원리 개발 =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design principles to enhance creative digital competence in design class 조규태, 한예진, 조영환 p. 161-179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간호학 임상실습 교수의 온라인 시뮬레이션 지도 경험 = Online simulation instruction experience of clinical practice faculty in nursing of the COVID-19 pandemic 김덕진, 유선영 p. 385-401
어머니의 코로나 19 스트레스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mothers' COVID-19 stress on young children's problem behavior : the mediating role of parenting efficacy / 양육효능감의 매개 효과 김성현 p. 181-194
예비유아교사의 수업역량 향상을 위한 액션러닝 방법 중심의 수업시연 모형 개발 및 적용 =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demonstration model based on action learning methods for improving teaching competences of pre-service teacher 김보림, 전홍주 p. 195-212
영유아의 거친 신체놀이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 Research trends on rough-and-tumble play of young children : based on thesis and academic journal between 1995-2021 / 1995년-2021년까지의 국내연구를 중심으로 김상겸 p. 213-231
중학교 국어 교사의 원격수업경험 분석 : Analysis of the remote learning experience of middle school Korean teachers : focusing on difficulties and coping strategies / 어려움과 대응 전략을 중심으로 이민형 p. 233-252
초등특수교육 전공능력 진단도구 개발 연구 :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diagnostic tools for speci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 focused on prelimin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 예비 특수교사를 중심으로 이재호 p. 253-271
디지털기기를 활용한 과학 수업의 효과 분석 : Development and effect analysis of science class using digital devices : focusing on core competencies, science-related attitude and science achievement / 핵심역량, 과학 관련 태도, 과학성취도 중심으로 서예정, 김현경 p. 273-286
과학 교사들을 위한 반응적 교수법 교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적 효과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educational effects of responsive teaching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science teachers 김정수, 백성혜 p. 287-303
『에밀』에 나타난 자연적 발달의 연계성과 가정교육의 통합성 = The connectivity of natural development and the integrity of domestic education in Emile 김영철 p. 305-325
자유학기제가 중학생의 고교유형 선택에 미치는 영향 분석 = Impacts of the free semester system on middle-shcool students' choices of high-school type 장우진, 이수정 p. 327-341
코로나 시대 고등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대면⋅비대면 혼합 수업의 어려움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secondary teachers' difficulties of blended classes in the COVID19 era : based on the responses of Korean language arts teachers / 국어 교사를 중심으로 이용준 p. 343-365
현직교사의 교육학개론 강의에서 사범대학 학생들은 무엇을 배웠는가? : What did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learn from teacher's education lecture? : through the analysis of journal writing / 예비교사 저널 분석을 통해 이정표 p. 367-384
인성교육자는 학습자를 어떻게 바라보고 교육하는가 : How do character educators perceive and educate learners? : a qualitative study on the learner's perception of character educators / 인성교육자의 학습자 인식(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고명희, 엄경남, 이현숙 p. 403-420
초등학교 저학년 신체활동교육에 관한 학부모의 인식 = Parent's perceptions for physical activity education in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곽은영, 박재정 p. 421-439
대학생의 창업행동 관련 연구경향 분석 : Analysis of research trends related to university students' entrepreneurial behaviors : 2000-2021 / 2000-2021 서패 p. 441-455
초등교사양성기관의 수영교육 실태와 개선 방향 = Current status of swimming education and improvement direction of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박재정 p. 457-479

경기도 책꾸러미 사업을 통한 유아 독서효과 분석을 위한 지표개발 및 효과성 연구 = A study on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the indicatives for analysis of the effects of a book sharing project on pre-schoolers' reading in Gyeonggi-do 윤성은, 최인자, 황금숙, 김수경, 이선애 p. 481-499
보육교사의 분노반추가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전문성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professionalism in the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anger and rumination on job stress 박미영, 최현주, 윤은정 p. 501-512
영아반 교실 도서영역의 정보그림책 비치 실태와 정보그림책에 대한 교사의 인식 = The status of informational picturebooks in the book area and teachers' perceptions on using informational picturebooks 김혜원, 조은주 p. 513-525
부모 동료 상담에 참여한 발달장애인 부모의 인식 및 경험 =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par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participated in parent-to-parent program 전혜인 p. 527-539
코로나 19 시기 성별과 학업성취 수준, 경제적 수준에 따른 일반계 고등학생의 신체활동 차이 분석 = Analysis of differences in physical activity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gender, academic achievement level, and economic level in COVID-19 윤주석, 김동혁 p. 541-552
맏딸이자 중년 기혼여성의 정체성에 관한 질적연구 = The qualitative study on the identity of the eldest daughter and middle-aged married woman 박종환, 손정미 p. 553-577
유아 컴퓨팅 사고력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omputational thinking scale for young children 조준오 p. 579-595

선행학습으로 인한 초등학교 교사의 딜레마와 수업전략에 관한 질적 연구 = Elementary school teachers' dilemmas and teaching strategies for preview learning 정정훈 p. 597-613

유아교육기관의 창의적 역량과 유치원 교사 역량, 유아 놀이성 간의 경로 분석 = Path analysis between creative competency, kindergarten teacher competency, and playability of children 조준오 p. 615-627
대학생의 학습역량 및 자기효능감과 학습몰입 간의 구조적 관계 =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competence, self-efficacy and learning flow of university students 조혜영, 권희경 p. 629-641
역사 교수법의 의미와 역사다운 교수법의 필요성 = The meaning of history teaching methods and history teaching methods for disciplinary literacy in history 백은진 p. 643-663
체육수업에서 지각된 교사이미지가 중학생의 수업열정 및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perceived teachers' image on class passion and class satisfac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남인수 p. 665-679
초등학생들의 신체적 자기개념과 자아존중감, 인성의 구조적 관계 =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physical self-concept, self-esteem, and persona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오준석, 배종희 p. 681-692
에스토니아의 역량기반 교육과정 내 범교과적 접근방식 분석 : Analysis of cross-curricular approaches with competency-based Estonian curriculum : focusing on mathematics subjects / 수학 교과를 중심으로 박혜영, 신병철, 권오남 p. 693-712
COVID-19로 인한 온라인 학습에서 의대생의 자기효능감과 인지된 학업성취 및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인지부하의 매개효과 =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loa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cal students' self-efficacy and perceived learning outcomes in online learning amid the COVID-19 pandemic 시지현 p. 713-724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parenting participation and young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 mediating effect of mother's parenting efficacy / 어머니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 이희진, 이진희 p. 725-736
대학생의 지역사회 인식 및 태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local community awareness and attitudes of undergraduate school students : focusing on Q methodology / Q 방법론을 중심으로 오현규 p. 737-751
COVID-19 상황에서 간호대학생의 MBTI 성격유형, 학습전략, 사회적지지가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MBTI personality type, learning strategy, and social support on academic stress in nursing students under untact educational environment caused by COVID-19 조미래, 이현진, 신유진, 김수현, 김서영, 조금주, 장수현 p. 753-764
초등국어 1학년의 연필 잡는 법 연구 = A study on how to hold a pencil in the first-year elementary Korean 오판진, 유상언 p. 765-779
중등교원 임용시험 체육교과 운동생리학 문항의 출제 경향 분석 = Analysis of the questions about exercise physiology of physical education in the employment examination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지동철 p. 781-793
청소년수련시설 관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팀동료 교환관계 및 조직몰입의 구조적 관계 =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he director of youth training facilities, the exchange relationship of teammates, 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김창현 p. 843-862
만2세 영아의 생태근린공원 숲 산책놀이 경험의 교육적 의미 탐색 = Exploring the educational meaning of the experiences of walking play in the forest of ecological neighborhood park for 2-years-old infants 박은실, 박희숙 p. 795-819
예비보육교사와 함께 만들어가는 ‘교사-되기’ 배움공동체 과정과 의미 생성 = 'Becoming-teacher' learning community with professor and pre-daycare teachers make together process and sense-making 허정민 p. 821-842

참고문헌 (68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미영, 김혜리, 어성연 (2020). 어린이집 원장의 리더십 및 조직풍토가 보육교사 수업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7(3), 83-107. 미소장
2 강한나 (2014). 예비유아교사의 학습동기 향상을 위한 소셜액션러닝 모형 개발.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3 경기도교육청 (2018). 놀이 2018, 유아교육, 놀이로 풀다. 경기: 경기도 교육청. 미소장
4 고은영 (2019). 유아교사를 위한 액션러닝 중심 부모 면담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공주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5 교육과학기술부 (2009). 유아교육 선진화 추진 계획. 서울:교육과학기술부. 미소장
6 교육과학기술부 (2010). 유치원교원 양성 및 임용체제 개선방안.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미소장
7 교육부 (2015.8.7.). 2015 개정 교육과정 마련을 위한 제1차 공청회 개최. https://www.moe.go.kr에서 2020년 5월30일 인출. 미소장
8 교육부 (2015.9.23.).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및 각론 확정⋅ 발표. https://www.moe.go.kr에서 2020년 5월 30일 인출. 미소장
9 교육부 (2015a). 2015학년도 유치원 교육능력개발평가 매뉴얼(교사용). 세종특별자치시: 교육부. 미소장
10 교육부 (2015b). 2015 유치원⋅어린이집 통합평가 자료집. 세종특별자치시: 교육부. 미소장
11 교육부⋅보건복지부 (2019). 2019개정 누리과정 놀이실행자료. 세종특별자치시: 교육부. 미소장
12 권연정 (2016). 유아교사를 위한 액션러닝 기반 미디어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3 권은주, 최윤정 (2010). 체계적인 모의수업 과정에 나타난 예비유아교사의 사고변화 분석-유치원 하루 일과 모의수업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30(2), 57-82. 미소장
14 권혜경 (2014). 유치원 교사 수업전문성 강화를 위한 수업포트폴리오 모형 개발 및 적용에서의 협력적 실행연구. 강릉원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5 김경철, 김안나 (2009). 구성주의 이론에 기초한 유아교사양성교육이 예비유아교사에게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29(4), 125-150. 미소장
16 김경철, 김안나 (2010). 예비 유아교사의 모의수업을 통한수업분석의 경험. 유아교육학논집, 14(1), 399-424. 미소장
17 김경철, 박혜정 (2014). 예비유아교사의 모의수업에 나타난 이야기나누기의 어려움. 한국영유아교육학논집, 18(3), 309-334. 미소장
18 김빛내 (2018). 유아 창의성 교육을 위한 블렌디드 액션러닝기반 교사교육에 참여한 교사의 경험. 부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9 김석우 (2015). 교육평가의 이해. 서울: 학지사. 미소장
20 김연수 (2017). 유아교사용 수업역량 평가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21 김원정 (2010). 예비 체육 교사의 수업 시연을 통한 자기수업반성에 관한 연구.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17(1), 25-52. 미소장
22 김윤희 (2019).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유아교육 방향 탐색. 공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23 김은정 (2016). 반성적 모의수업 활동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의 경험.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24 김은정, 김경철 (2017). 반성적 모의수업 활동 경험이 예비유아교사들의 수업능력에 주는 의미. 유아교육연구, 7(1), 257-285. 미소장
25 김자경, 강혜진, 임은영 (2012). 액션러닝을 활용한 장애아통합교육 수업이 예비특수교사의 문제해결 능력과 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14(3), 593-609. 미소장
26 김주영 (2013). 유치원 원감의 원내 수업 컨설팅을 통합 교사의 수업 전문성 신장. 배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27 김지운 (2015). 유아음악교육을 위한 액션러닝 기반의 현직교사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28 김창완, 김화경, 이용우 (2020). 액션러닝과 디자인씽킹으로 캡스톤디자인 수업하기. 대구: 빛을 여는 책방. 미소장
29 김철주, 신선희 (2019). 효과적인 교수 학습을 위한 교육공학적 접근. 고양: 어가. 미소장
30 김효주, 엄우용 (2014). 대학 교원의 수업 개선을 위한 액션러닝 적용 사례. 교육공학연구, 30(4), 839-878. 미소장
31 마지순, 고은현 (2010). 예비유아교사의 모의수업과 현장수업경험에 대한 의미 탐색. 유아교육연구, 30(1), 249-271. 미소장
32 박균열 (2007). 교사의 수업전문성 영향요인에 관한 구조적분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33 박남기, 임수진 (2020). 교육대 교직과목의 학교현장성 개념과 방향 탐색: 전문학회와 관련 집단의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37(2), 27-53. 미소장
34 박수홍, 안영식, 정주영 (2013). 체계적인 액션러닝. 파주:학지사. 미소장
35 박영신, 이효림 (2016). 예비 유아교사의 학년별 핵심역량교육요구도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21(1), 343-366. 미소장
36 박은혜, 조운주 (2015). 유치원 초임교사 핵심역량 구인 타당화 연구. 육아지원연구, 10(1), 107-131. 미소장
37 박찬옥, 정남미, 곽현주 (2020). 놀이지도. 파주: 양성원. 미소장
38 방경곤, 권민석, 김규태, 이우붕 (2013). 교수⋅학습안과 수업실연. 경기: 양서원. 미소장
39 성태제 (2017). 알기쉬운 통계분석. 서울: 학지사. 미소장
40 송주연, 황해익 (2010). 좋은 수업에 대한 유치원 교사들의 이야기. 열린유아교육연구, 15(3), 399-423. 미소장
41 신은수, 박은혜, 조운주, 이경민, 유영의, 이진화, 이병호 (2011). 유치원 교원 핵심역량 구성 방향 탐색. 유아교육학논집, 15(5), 203-226. 미소장
42 유영식 (2018). 과정중심평가. 서울: 테크빌교육(주). 미소장
43 유한구 (2001). 수업전문성의 두 측면: 기술과 이해. 한국교원교육연구, 18(1), 68-84. 미소장
44 유혜령 (1997). 마이크로 티칭. 서울: 문음사. 미소장
45 유효인 (2020). 창의적 문제해결(CPS) 기반 예비유아교사수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46 이선영 (2017).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심리학. 한국교육학연구, 23(1), 231-260. 미소장
47 이성아 (2018). 액션러닝 기반 대학 수업에서의 학습자 평가도구 개발.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48 이성호 (2004). 교육과정 개발과 평가. 경기: 양서원. 미소장
49 이신동, 조형정, 장선영, 정종원 (2012). 알기쉬운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경기: 양서원. 미소장
50 이준, 방선희 (2010). 예비교원의 수업전문성 인식 조사 연구와 시사점: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을 중심으로. 교육방법연구, 22(4), 115-142. 미소장
51 장경원, 고수일 (2019). 액션러닝으로 수업하기 2판. 서울:학지사. 미소장
52 장경원, 이지은 (2009). 학습자 중심 교육에 대한 교육행정가, 교사, 예비교사의 인식 비교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9(1), 315-339. 미소장
53 장은주, 조혜선 (2018). 마이크로 티칭을 통한 전공 연계형반성적 모의수업 경험이 예비유아교사에게 주는 의미탐색. 교사교육연구, 57(4), 577-588. 미소장
54 장은주, 조혜선 (2019). 예비유아교사의 수업 전문성 증진을 위한 유치원 현장 연계형 모의수업에 대한 실행연구. 교사교육연구, 58(4), 555-568. 미소장
55 정은이 (2009). 교직과정에서 이루어지는 모의수업의 교육효과 - 교직과정 몰입과 교과 관련 교사 효능감을 중심으로-. 아시아교육연구, 11(3), 217-249. 미소장
56 조부경, 김정화 (2000). 유아교사 양성대학 전공 강좌에서 이론과 교수 경험의 통합 운영에 대한 예비교사, 지도교사담당교수의 반응 분석. 유아교육연구, 20(1), 139-162. 미소장
57 조승제 (2007). 교육과정과 평가의 쟁점. 서울: 교육과학사. 미소장
58 조영재, 박수홍 (2019). 대학수업에서의 플립러닝 기반 액션러닝 수행지원체제 모형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9), 25-54. 미소장
59 조은미 (2008). 좋은 수업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60 조호제, 윤근영 (2009). 교사의 발달단계에 따른 수업 전문성의 차이 분석. 열린교육연구, 17(2), 183-207. 미소장
61 조희정 (2012). ASSURE 이론에 기초한 유아교사 양성과정의 모의수업 모형 개발 및 적용. 배재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논문. 미소장
62 조희정, 이대균 (2011). 마이크로 티칭을 통한 반성적 수업분석의 경험이 예비유아교사의 음악교수능력 향상에 주는 의미. 열린유아교육연구, 16(5), 109-139. 미소장
63 진영은, 함영기 (2009). 수업 전문성 재개념화 연구 동향및 과제. 열린교육연구, 17(2), 47-71. 미소장
64 차지량 (2017). 유아기 자녀 어머니의 부모-자녀관계 개선을 위한 액션러닝 기반 분노조절 능력 향상 프로그램의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65 Bogdan, R. C., & Biklen, S. K. (2015). Qualitative research for education: An introduction to theories and method (5th ed.). 조정수 역 (2007). 교육의 초보연구자를 위한 질적 연구방법론의 기초(제5판). 서울: 경문사. 미소장
66 Gregory, G. H., & Chapman, C. (2014). Differentiated instructional strateges: One size dosen’t fit /all (3rd ed.). 조영남, 나종식, 김광수 역 (2014). 맞춤형 수준별⋅개별화 수업전략. 서울: 학지사. 미소장
67 Larmer, J., Mergendaller, J., & Boss, S. (2017). Setting the standard for project based learning: A proven approach to rigorous classroom instruction. 최선경, 장밝은, 김병식 역 (2015). 프로젝트수업 어떻게 할 것인가?. 서울: 지식프레임. 미소장
68 Rychen, S., & Salganik, H. (2003). Key Competencies for a Successful Life and a Well- Functioning Society. A Holistic Model of Competence. Cambridge, MA:Hogrefe & Huber Publisher.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