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코로나19 시대의 학교사회복지사 역할과 쟁점 : 과연 학교사회복지사는 어떤 역할을 준비해야 하는가? = The roles and issues of school social workers in the COVID-19 era : which roles should the school social workers prepare for? / 이종익 ; 최혜정 ; 좌현숙 1
[요약] 1
I. 서론 2
II. 문헌고찰 3
1.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 3
2. 코로나19와 학교사회복지 5
III. 연구 방법 7
1. 연구개요 7
IV. 연구결과 10
1. 질적분석 10
2. 학교사회복지사 역할 제안 도출 15
V. 결론 및 제언 19
참고문헌 21
Abstract 24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현주. 2008. “학교사회복지에서의 사례관리 실천방안 연구 - We Start 사업의 사례를 중심으로 -” 『학교사회복지』 14, 1-31. | 미소장 |
2 | 경기도교육청. 2021. 『2021 경기도교육청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운영 지원계획』. | 미소장 |
3 | 김경애․김정원. 2007. “교육지원체제로서 지역 네트워크 형성과정에 대한 사례연구 - 노원지역의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평생교육학연구』 13(3), 117-142. | 미소장 |
4 | 김상곤. 2010. “한국 아동․청소년 복지분야 사례관리의 현재.” 『한국사례관리학회 춘계학술대회자료집』 한국사례관리학회. | 미소장 |
5 | 김선숙․김진숙. 2020. “Covid 19상황에서 학교와 지역사회 협력에 대한 기대: 아동복지종사자 인식을 중심으로.” 『학교사회복지』 52, 203-229. | 미소장 |
6 | 김선숙․조소연․이정애. 2020. “포스트 코로나 시대, 아동권리보장을 위해 사회는 무엇을 할 것인가?.” 『아동과 권리』 24(3), 409-438. | 미소장 |
7 | 김혜래. 2009. “교육격차해소를 위한 사회복지사의 역할: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지원사업을 중심으로.” 『학교사회복지』 52, 73-97. | 미소장 |
8 | 노혜련․김상곤. 2006. “학교사회복지사의 직무와 역할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논총』 8, 159-197. | 미소장 |
9 | 박경현․이소임․이태인․최세나․황혜신. 2020. “코로나19 상황에서 학교사회복지사의 직무와 역할.” 『2020 한국사회복지학회 추계 학술대회 자료집』 173-200. | 미소장 |
10 | 백병부․정재엽. 2021. 『코로나19와 교육: 원격수업 내실화를 위한 제안』. 경기도교육연구원. | 미소장 |
11 | 백영남. 2020. “호주 아동학대와 보호제도.” 『복지저널』 144, 56-59. | 미소장 |
12 | 성민선. 2000. “학교사회사업 실천과제.” 『학교사회복지』 3, 169-196. | 미소장 |
13 | 성민선․이상오․정무성․정은. 1998. “학교부적응청소년들을 위한 학교사회사업 실천모델연구.” 『학교사회복지』 1, 179-223. | 미소장 |
14 | 세이브더칠드런. 2020. 『코비드19가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 글로벌 서베이 한국 결과보고서』. 세이브더칠드런 코리아. | 미소장 |
15 | 신기섭. 2020. 4. 28. 전세계 12억 9천명 학업 공백...계층 간 격차 심화 우려. 한겨레. http://www.hani.co.kr /arti/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942394.html. | 미소장 |
16 | 양희준. 2020. “공교육, 왜 필요한가?”, 『코로나 시대, 학교의 재탄생』 1-14. 학이시습. | 미소장 |
17 | 엄경남․안정선․김희영. 2019. “학교사회복지사 수련 슈퍼비전 모형 기초 연구.” 『학교사회복지』 47, 63-98. | 미소장 |
18 | 오승환. 2000. “교육부 학교사회사업 연구학교 운영결과에 대한 비교사례연구.” 『학교사회복지』 3, 197-221. | 미소장 |
19 | 윤철수. 2015. “학교현장에서의 사례관리실천과 개선 방안 모색.” 『학교사회복지』 31, 59-81. | 미소장 |
20 | 윤혜미. 2020. 코로나19와 아동학대. 『아동권리 이슈 Brief』 1, 4-6. | 미소장 |
21 | 이보람. 2020. 5. 8. 코로나19로 커진 양육 스트레스… 아이․부모, 상담으로 풀어요. 세계일보. http://www.segye.com/newsView/20200508507020. | 미소장 |
22 | 이정연․박미희․소미영․안수현. 2020. 『코로나19와 교육: 학교구성원의 생활과 인식을 중심으로』. 경기도교육연구원. | 미소장 |
23 | 이태인․박경현․최세나. 2020. “코로나19 상황에서 학교사회복지사의 직무현황.” 『학교사회복지』 52, 73-97. | 미소장 |
24 | 전재일․이경은․이성희. 1999. “학교사회사업서비스 욕구에 따른 학교사업사회가의 역할모색.” 『학교사회복지』 2, 51-73. | 미소장 |
25 | 주석진․진혜경․조성심. 2020.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의 학교사회복지사 표준직무 매뉴얼』. | 미소장 |
26 | 진혜경․안정선. 2008. “학교 내 복지서비스 전문 인력의 직무 연구 - 학교사회복지사와 지역사회교육전문가를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10(1), 139-165. | 미소장 |
27 | 최수진. 2020. “학생을 다시보다” 『코로나 시대, 학교의 재탄생』 15-31. 학이시습. | 미소장 |
28 | 한국교육개발원. 2008. 『교육복지사업 발전 방안 연구』. | 미소장 |
29 | 한국학교사회복지사협회. 2020. http://www.kassw.or.kr | 미소장 |
30 | 한국학교사회복지사협회. 2020. 『2020연차보고서』. | 미소장 |
31 | Allen-Meares, P. 1994. “Social Work Services in School: A National Study of Entry Level Tasks”. Social Work, 39(5), 560-565. | 미소장 |
32 | Allen-Meares, P. 2006. One Hundred Years: A Historic al Analysis of Social Work Services in Schools. School Social Work Journal, Special Issue, 24-43. | 미소장 |
33 | Bureau of Labor Statistics. 2012. Social workers: Occupational outlook handbook. Retrieved March, 2013, fromhttp://www.bls.gov/ooh/Community-and-Social-Service/Social-workers.htm#tab-6. | 미소장 |
34 | Costin, L. B. 1969. “An analysis of the tasks in school social work.” Social Service Review, 43, 274-285. | 미소장 |
35 | Kelly, M. S., Frey, A. J., Alvarez, M., Berzin, S. C., Shaffer, G., & O’Brien, K. (2010). School social work practice and response to intervention. Children & Schools, 32(4), 201-209 | 미소장 |
36 | Kelly, M. S., Thompson, A. M., Frey, A., Klemp, H., Alvarez, M., & Berzin, S. C. (2015). The state of school social work: Revisited. School Mental Health,7(3), 174-183. | 미소장 |
37 | NASW(2012). NASW Standards for School Social Work Services. NASW. | 미소장 |
38 | Peckover, Christopher & Vasquez, Matthew & Housen, Stephanie & Saunders, Jeanne & Allen, Larry. .2012. Preparing School Social Work for the Future: An Update of School Social Workers’ Tasks in Iowa. Children & Schools. 35, 9-17.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