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연구는 ‘결정론적 실재론’에 근거한 예술심리치료를 새롭게 해석하고 조망할 수 있는 틀을 제시하기 위하여, 새로운 관점에서 인간과 예술 매체의 상호작용이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는지에 대한 개념을 확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를 기초로 하여 예술심리치료에 적용할 수 있는 양자역학과 기호학의 개념을 고찰하고, 예술심리치료의 삼원적 관계와 예술심리치료의 새 지평을 제시하였다. 첫째, 기호학에서 제기된 퍼스의 삼원적 관계를예술심리치료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가? 예술심리치료에서 대상은 내담자 삶의 부분들이며, 내담자에게 영향을 주는 실재 대상이다. 그리고 표상체는 내담자가 표현한 예술이다. 해석체는치료사 관점, 내담자와 치료사 관점, 내담자 관점으로 구분된다. 이렇게 각 관점의 세미오시스에서 새롭게 생성된 기호는 진단, 그림자 작업, 통찰로 예술심리치료의 새 지평을 설명하는 핵심 개념들이 된다. 둘째, 양자역학의 기본 원리(불확정성과 상보성, 반물질, 양자 도약, 대칭)가예술심리치료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가? 불확정성과 상보성은 진단에 적용된다. 반물질이 물질과 만나 상쇄되는 과정은 그림자 작업에 적용된다. 양자도약은 이러한 그림자 작업에서 이루어진 통찰에 적용된다. 마지막으로 대칭은 미디어의 변화에 적용된다. 본 연구가 예술심리치료의 지평을 확대하는 데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 이를 수행하려는 예술심리치료사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미정(2009). 습관과 의미: C. S. 퍼스의 해석체 이론 연구. 기호학 연구, 25, 261-286. | 미소장 |
2 | 강주상(2004). 양자 물리학. 서울: 청문각. | 미소장 |
3 | 김동윤(2018). 4차 산업혁명’과 NBIC 기술융합 시대의 인문학적 차원 연구. 영상문화, 32, 43-82. | 미소장 |
4 | 김민규(2012). 도상학과 기호학을 활용한 미술 작품의 해석에 관한 연구 -연구자의 작품 <인물 연작>에 대한 분석과 해석을 중심으로-. 미간행 박사학위청구논문, 홍익대학교 대학원. | 미소장 |
5 | 김성도(1998). 기호학에서 범주화의 문제. 기호학 연구, 4, 64-94. | 미소장 |
6 | 김성도(2007). 기호, 리듬, 우주 : 기호학적 상상력을 위하여. 경기: 인간사랑. | 미소장 |
7 | 김영혜(2001). 상담과정에서 내담자의 자각과 통찰에 영향을 주는 상담자의 언어반응들. 미간행 박사학위 청구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미소장 |
8 | 김지원(2016). 한국춤의 공간 기호적 해석 연구. 기호학연구, 42, 67-106. | 미소장 |
9 | 김진숙(2010). 샤머니즘과 예술치료. 서울: 학지사. | 미소장 |
10 | 서준호(2021). 가상의 공유 공간에서 도상적 커뮤니케이션의 표현모드-퍼스 기호학 관점. 기초조형학연구, 22(1), 173-184. | 미소장 |
11 | 선원필․소희정(2019). 예술치료. 서울: 피와이메이트. | 미소장 |
12 | 세미오시스연구센터(2019). 디지털 문화와 놀이-미디어 세미오시스 분석. 서울: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콘텐츠원. | 미소장 |
13 | 송효섭(2013). 인문학, 기호학을 말하다. 서울: 이숲. | 미소장 |
14 | 신상규(2013). 과학 기술의 발전과 포스트휴먼. 지식의 지평, 15(1), 128-151. | 미소장 |
15 | 신현욱(2016). 치유의 기호학적 함의: 찰스 샌더스 퍼스와 에릭 에릭슨의 논의를중심으로. 한국목회상담학회, 26, 177-202. | 미소장 |
16 | 이도흠(2003). 현대 기호학의 흐름과 새로운 전망. 한국학연구, 19, 7-41. | 미소장 |
17 | 이모영(2010). 예술심리치료에서 미적체험의 치료적 차원에 대한 고찰-치료미학논의를 중심으로. 예술심리치료연구, 6(3), 81-104. | 미소장 |
18 | 이유숙(2017). 양자역학적 주체: 후썰 현상학적 주체와 칸트 비판철학적 주체 사이에서. 철학, 133, 129-162. | 미소장 |
19 | 이인영․홍성욱․최경석․이상욱․김효민․김효은․이성환․민병경․장대익․윤선희․장하원․박주용․최훈․이정모․전진권(2012). 뇌과학, 경계를 넘다. 서울: 바다. | 미소장 |
20 | 이재용(2017). 4차 산업혁명의 관점에서 인간 심리요소의 컴퓨팅 개념화 과정 :심리정보과학적 고찰. 정보처리학회지. 24(2), 31-42. | 미소장 |
21 | 이종관(2017). 포스트휴먼이 온다. 경기: 사월의 책. | 미소장 |
22 | 조용태(2017). 4차 산업혁명과 예술심리치료에서의 심리진단. 예술심리치료연구, 13(4), 1-29. | 미소장 |
23 | 조창연(2014). 기호학과 뇌인지과학의 커뮤니케이션.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 미소장 |
24 | 최무영(2019). 최무영 교수의 물리학 강의. 서울: 책갈피. | 미소장 |
25 | 최은녕(2019). 사이버네틱스 인간론Ⅱ-창발현상. 21세기의 메타모더니즘적 인간형에 관한 자연과학적 접근을 중심으로.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41, 367-397. | 미소장 |
26 | 최주희․문송이․남현우(2020). 언택트 사회의 예술심리치료 방향. 예술심리치료연구, 16(4), 47-78. | 미소장 |
27 | Atkins, S. S. (2008). 통합적 표현예술치료 - 예술과 삶의 창조적 과정(최애나, 이병국 역). 서울: 푸른솔. (원저 2003 출판) | 미소장 |
28 | Bachelard, G. (1998). 현대물리학의 합리주의적 활동(정계섭 역). 서울: 민음사.(원저 1951 출판) | 미소장 |
29 | Carroll, S. (2012). 현대물리학, 시간과 우주의 비밀에 답하다(김영태 역). 서울: 다른세상. (원저 2010 출판) | 미소장 |
30 | Choe, S. N. (2014). An exploration of the qualities and features of art apps for art therapy. In The Arts in Psychotherapy, 41(2). 145-154. | 미소장 |
31 | CP(Collected Papers)는 Peirce의 선집이며 뒤의 번호는 절 번호를 말한다. | 미소장 |
32 | Cruz, R. F., & Feder, B. (2015). 예술치료에서의 평가와 연구(한국심리치료학회 역). 서울: 학지사. (원저 2013 출판) | 미소장 |
33 | De Waal, C. (2019). 퍼스 철학의 이해(이윤희 역). 서울: Huine. (원저 2013 출판) | 미소장 |
34 | Eco, U. (2009a). 일반 기호학 이론(김운찬 역). 경기: 열린책들. (원저 1976 출판) | 미소장 |
35 | Eco, U. (2009b). 구조의 부재(김광현 역). 경기: 열린책들. (원저 1968 출판) | 미소장 |
36 | Ehrenzweig, A. (2002). 예술 창조의 심리학(김재은, 김진현 역). 서울: 창지사. (원저 1967 출판) | 미소장 |
37 | Ford, K. W. (2018). 케네스 포드의 양자물리학 강의(김명남 역). 서울: 바다. (원저 2004 출판) | 미소장 |
38 | Forestier, R. (2013). 예술치료의 모든 것(김익진 역). 강원: 강원대학교출판부. (원저 2012 출판) | 미소장 |
39 | Hacmun, I., Regev, D., & Salomon, R. (2018). The principles of art therapy in virtual reality. Frontiers in psychology, 9, 1-7. | 미소장 |
40 | Heisenberg, W. (2018). 물리와 철학(조호근 역). 서울: 서커스출판상회. (원저1958 출판) | 미소장 |
41 | Hewitt, P. G. (1997). 알기 쉬운 물리학 강의(공창식, 남철주, 박성식, 차일환 역). 서울: 청범. (원전 1987 출판) | 미소장 |
42 | James, W. (2005). 심리학의 원리 1(정양은 역). 서울: 아카넷. (원저 1890 출판) | 미소장 |
43 | King, D. B., Woody, W. D., & Viney, W. (2009). 심리학사: 사상과 맥락(임성택, 안범희 역). 서울: 교육과학사. (원저 2007 출판) | 미소장 |
44 | Kurzweil, R. (2016). 마음의 탄생(윤영삼 역). 서울: 크레센도. (원저 2012 출판) | 미소장 |
45 | LeDoux, J., & Self, S. (2005). 시냅스와 자아: 신경세포의 연결 방식이 어떻게 자아를 결정하는가(강봉균 역). 서울: 동녘사이언스. (원저 2002 출판) | 미소장 |
46 | Lerner, P. M. (2003). 로샤검사에 대한 정신분석적 접근(이우경, 이원혜 역). 서울: 학지사. (원저 1998 출판) | 미소장 |
47 | Liszka, J. J. (2019). 퍼스 기호학의 이해(이윤희 역). 서울: Huine. (원저 1996출판) | 미소장 |
48 | McNiff, S. (1998). Art-based research. Jessica Kingsley Publishers. | 미소장 |
49 | Nathan, A. A., & Mirviss, S. (2011). 창조적 예술치료기법(박희석, 류정미, 윤명희 역). 서울: 학지사. (원저 1998 출판) | 미소장 |
50 | Peirce, C. S. (1931–1935). Collected papers of Charles sanders peirce (Vol. 1–6).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51 | Peirce, C. S.(1958). Collected papers of Charles sanders peirce (Vol. 7–8).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52 | Peirce, C. S.(2006). 퍼스의 기호 사상(김성도 편역). 서울: 민음사. | 미소장 |
53 | Peirce, C. S.(2008). 퍼스의 기호학(김동식, 이유선 역). 경기: 나남. (원저 1992 출판) | 미소장 |
54 | Penrose, R. (2010). 실체에 이르는 길: 우주의 법칙으로 인도하는 완벽한 안내서 2(박병철 역). 서울: 승산. (원저 2004 출판) | 미소장 |
55 | Rogers, N. (2007). 인간중심 표현예술치료-창조적 연결(이정명, 전미향, 전태옥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원저 1993 출판) | 미소장 |
56 | Rosenblum, B., & Kuttner, F. (2012). 양자 불가사의: 물리학과 의식의 만남(전대호 역). 서울: 지양사. (원저 2011 출판) | 미소장 |
57 | Rovelli, C. (2018). 보이는 세상은 실재가 아니다(김정훈 역). 서울: 쌤앤파커스. (원저 2014 출판) | 미소장 |
58 | Rizzo, A., Scherer, S., DeVault, D., Gratch, J., Artstein, R., Hartholt, A., ... & Morency, L. P. (2016). Detection and computational analysis of psychological signals using a virtual human interviewing agent. Journal of Pain Management, 9(3), 311-321. | 미소장 |
59 | Sautoy, M, D. (2011). 대칭 - 자연의 패턴 속으로 떠나는 여행(안기연 역). 서울: 승산. (원저 2008 출판) | 미소장 |
60 | Sheriff, J. K. (2016). 의미의 이해-찰스 퍼스와 구조주의 그리고 문학(이윤희 역). 서울: 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원. (원저 1989 출판) | 미소장 |
61 | Vincent, M. C. (2020). 퍼스의 자아-인간 주체성에 대한 기호학적 관점(고경난 역). 서울: 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콘텐츠원. (원저 1988 출판) | 미소장 |
62 | Wilczek, F. (2018). 뷰티풀 퀘스천(박병철 역). 서울: 흐름출판. (원저 2015 출판) | 미소장 |
63 | Schrödinger, E. (2007). 생명이란 무엇인가 -정신과 물질-(전대호 역). 서울: 궁리. (원저 1967 출판)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