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윤이상은 여러 인터뷰 등에서 자신의 ‘고향’인 통영(충무)에 대한 짙은 향수를 보여주었다. 그의 사후 통영 지역의 문화계에서 그를 기리는 ‘통영국제음악제’를 출범시켜 매년 성공적으로 개최해 오면서 작곡가와 지역이 맺는 강한 정서적 결속력을 실현해 보이고 있다. 하지만 동시에 윤이상은 대한민국과 북한을 포함한 한반도 전체의 민중을 생각하는 투철한 민족주의자이기도 했다. 작곡가의 고향 통영을 둘러싼 지역주의와 한반도를 둘러싼작곡가의 민족주의는 어떤 관계로 볼 수 있을까? 이 논문은 이렇듯 ‘고국’ 과 ‘고향’ 사이의 중첩되면서도 엇갈리는 ‘사이 영역’에 주목하면서, 이러한상상적 지리가 수행적으로 형성하는 비판적 힘을 주제로 삼고자 한다. 나아가 지역성과 관련한 비판적 사유를 통해서 특히 근대적 국민국가에 대한대안적 사유를 탐색하는 데에 집중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몇 가지 이론적 전제를 짚어보면서 ‘비판적 지역학’의 가설적 논제를 확보한 뒤, 이를작곡가 윤이상의 삶과 음악, 그리고 그에 대한 비평적 담론에 부분적으로적용시켜 그 타당성을 점검해 볼 것이다.

참고문헌 (19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용규. 『혼종문화론』. 서울: 소명출판, 2013. 미소장
2 김은주. 『생각하는 여자는 괴물과 함께 잠을 잔다』. 서울: 봄알람, 2020. 미소장
3 노승림. “작곡가 윤이상이 지닌 정치·사회적 헤게모니 연구.” 『음악과민족』 55 (2018), 93-120쪽. 미소장
4 아르준 아파두라이/차원현·채호석·배개화 역. 『고삐풀린 현대성』. 서울: 현실문화연구, 2004. 미소장
5 엔리케 두셀/박병규 역. 『1492년, 타자의 은폐 - ‘근대성 신화’의 기원을 찾아서』. 서울: 그린비, 2011. 미소장
6 엔리케 두셀/김은중 옮김. “해방철학의 관점에서 본 트랜스모더니티와 상호문화성.” 우석균엮음. 『오르비스 테르티우스 – 라틴아메리카 석학에게 듣는다』. 서울: 그린비, 2021. 미소장
7 월터 D. 미뇰로/김영주‧배윤기·하상복 역. 『서구 근대성의 어두운 이면 – 전 지구적 미래들과 탈식민적 선택들』. 서울: 현암사, 2018. 미소장
8 이경분. “윤이상의 음악과 평화사상.” 『통일과 평화』 9/2 (2017), 91-120쪽. 미소장
9 이수자. 『내 남편 윤이상 (상/하)』. 파주: 창작과비평사, 1998. 미소장
10 이희경. “미완의 귀향, 윤이상 음악의 한국 수용.” 『음악과 문화』 38 (2018), 61-90쪽. 미소장
11 주디스 버틀러-가야트리 스피박의 대담/주해연 옮김. 『누가 민족국가를 노래하는가?』. 서울: 산책자, 2008. 미소장
12 테리 이글턴/이강선 옮김. 『문화란 무엇인가?』. 서울: 문예출판사, 2021. 미소장
13 한홍구. “한국민주주의와 지역감정 - 남북분단과 동서분열.” 『역사연구』 37 (2019), 677-707 쪽. 미소장
14 최성만·홍은미 편역. 『윤이상의 음악세계』. 서울: 한길사, 1991. 미소장
15 최유준. “재현과 연행 사이, 오월을 기념하는 소리들.” 『감성연구』 22 (2021), 241-267쪽. 미소장
16 홍정수. 『그런 음악 무슨 생각? - 초기 양악 작곡가들의 음악관』. 부산: 세종출판사, 2018. 미소장
17 “인양된 시체 신원확인되자 흥분.” 『동아일보』 1960. 4. 12. 미소장
18 “故윤이상 부인 이수자씨 “남편과 같이 못와 가슴 아파”.” 『경향신문』 2007. 9. 12. 미소장
19 “윤이상 유해 송환 반대 통영시민과 통영시장의 격론 – 면담 녹취록.” 조갑제닷컴, 2018.3. 11. https://www.chogabje.com/board/view.asp?C_IDX=77302&C_CC=AZ [2022. 2. 12. 접속]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