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고종의 국장의식과 음악 = The ritual of Gojong's funeral (Guk-jang) and music | 이수정 | p. 87-132 |
|
|
고향과 고국 사이 : Between hometown and homeland : challenges in critical local study and Yun Isang / 윤이상과 비판적 지역학의 과제 | 최유준 | p. 133-164 |
|
|
해방 10년, 음악계의 구성과 존재 방식 = Ten years after liberation, the composition and existing method of musical society | 김은영 | p. 165-208 |
|
|
한국적 정체성을 담은 교육용 피아노 작품 창작과 세계화를 위한 제언 = Suggestions for the creation and the globalization of educational piano works with Korean identity | 차선희, 유승지 | p. 209-243 | ||
螺角이란 악기명의 再考 = The reconsideration of the name ‘Nagak(螺角)’ | 김성혜 | p. 245-281 | ||
셰익스피어 원작 <로미오와 줄리엣>의 현대적 변용 : The modern transformation of Shakespeare's Romeo and Juliet : focused on the musical / 뮤지컬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를 중심으로 | 나유진 | p. 283-310 | ||
1920년대 전통연희공연의 전개양상 = The development of traditional performances in the 1920s | 김민수 | p. 43-85 |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김용규. 『혼종문화론』. 서울: 소명출판, 2013. | 미소장 |
2 | 김은주. 『생각하는 여자는 괴물과 함께 잠을 잔다』. 서울: 봄알람, 2020. | 미소장 |
3 | 노승림. “작곡가 윤이상이 지닌 정치·사회적 헤게모니 연구.” 『음악과민족』 55 (2018), 93-120쪽. | 미소장 |
4 | 아르준 아파두라이/차원현·채호석·배개화 역. 『고삐풀린 현대성』. 서울: 현실문화연구, 2004. | 미소장 |
5 | 엔리케 두셀/박병규 역. 『1492년, 타자의 은폐 - ‘근대성 신화’의 기원을 찾아서』. 서울: 그린비, 2011. | 미소장 |
6 | 엔리케 두셀/김은중 옮김. “해방철학의 관점에서 본 트랜스모더니티와 상호문화성.” 우석균엮음. 『오르비스 테르티우스 – 라틴아메리카 석학에게 듣는다』. 서울: 그린비, 2021. | 미소장 |
7 | 월터 D. 미뇰로/김영주‧배윤기·하상복 역. 『서구 근대성의 어두운 이면 – 전 지구적 미래들과 탈식민적 선택들』. 서울: 현암사, 2018. | 미소장 |
8 | 이경분. “윤이상의 음악과 평화사상.” 『통일과 평화』 9/2 (2017), 91-120쪽. | 미소장 |
9 | 이수자. 『내 남편 윤이상 (상/하)』. 파주: 창작과비평사, 1998. | 미소장 |
10 | 이희경. “미완의 귀향, 윤이상 음악의 한국 수용.” 『음악과 문화』 38 (2018), 61-90쪽. | 미소장 |
11 | 주디스 버틀러-가야트리 스피박의 대담/주해연 옮김. 『누가 민족국가를 노래하는가?』. 서울: 산책자, 2008. | 미소장 |
12 | 테리 이글턴/이강선 옮김. 『문화란 무엇인가?』. 서울: 문예출판사, 2021. | 미소장 |
13 | 한홍구. “한국민주주의와 지역감정 - 남북분단과 동서분열.” 『역사연구』 37 (2019), 677-707 쪽. | 미소장 |
14 | 최성만·홍은미 편역. 『윤이상의 음악세계』. 서울: 한길사, 1991. | 미소장 |
15 | 최유준. “재현과 연행 사이, 오월을 기념하는 소리들.” 『감성연구』 22 (2021), 241-267쪽. | 미소장 |
16 | 홍정수. 『그런 음악 무슨 생각? - 초기 양악 작곡가들의 음악관』. 부산: 세종출판사, 2018. | 미소장 |
17 | “인양된 시체 신원확인되자 흥분.” 『동아일보』 1960. 4. 12. | 미소장 |
18 | “故윤이상 부인 이수자씨 “남편과 같이 못와 가슴 아파”.” 『경향신문』 2007. 9. 12. | 미소장 |
19 | “윤이상 유해 송환 반대 통영시민과 통영시장의 격론 – 면담 녹취록.” 조갑제닷컴, 2018.3. 11. https://www.chogabje.com/board/view.asp?C_IDX=77302&C_CC=AZ [2022. 2. 12. 접속]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8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