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학교 평가 교육여론 조사 결과에 대한 비판적 해석 = How to interpret the public evaluation of school quality in social survey / 조석훈 1
요약 1
I. 서론 1
1. 연구의 배경 1
2. 분석 방법 5
II. 평가의 차원에서 대안적 해석 5
1. 학교의 질(質) 향상과 변화 시동점(tipping point) 5
2. 느린 변화와 트레드밀 효과(treadmill effect) 7
3. 평가의 주체 : 기억자아 및 경험자아 9
III. 태도의 차원에서 대안적 해석 11
1. 질문 바꿔치기 11
2. S-O-R 심리학과 관계 의미(relational meaning) 13
3. 교육 욕구(수요) 16
IV. 결론 19
참고문헌 22
ABSTRACT 27
이 연구는 한국교육개발원이 1999년부터 실시한 교육여론 조사 중 학교 평가 문항의 응답 경향을 비판적으로 해석한 것이다. 시계열로 볼 때 이 문항의 평가 점수는 비교적 낮고 변동 폭도 제한적인 만큼 그간 학교 교육의 질(質)은 별로 향상되지 않았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이 연구는 이러한 직관적 해석의 한계를 지적하며 이론 기반의 대안적 해석을 통해 복잡하고 역동적인 교육 현상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고자 하였다. 교육여론 조사 학교 평가의 응답을 ‘평가’ 차원으로 보고, 변화의 시동점(tipping point), 변화와 트레드밀 효과(treadmill effect), 평가의 주체로서 기억자아와 경험자아 등의 관점을 활용하여 평가 점수와 학교 교육의 질 사이 비선형적 관계를 탐색하였다. 나아가 학교 평가의 응답을 학교 교육에 대한 태도라는 차원으로 접근하여, 휴리스틱과 편향, S-O-R 심리학, 욕구로서 교육 욕구(수요)의 성격 및 허기(hungers)와 기호(appetites)의 차이 등에 관한 논리를 동원하여 대안적인 해석 방식을 시도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한계를 제시하고 향후 연구 과제를 제안하였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교육부. (2014). 사교육비 경감 및 공교육 정상화 대책. 서울: 교육부. | 미소장 |
2 | 교육부. (2021). 2020년 사교육비조사 결과 주요 특징 및 대응방안. 보도자료(2021. 3. 9). | 미소장 |
3 | 교육부. (2022). 코로나 위기를 넘어 학교 일상회복, 혁신인재 양성을 위한 미래교육 대전환. 보도자료(2022. 1. 15). | 미소장 |
4 | 권기욱. (2002). 학교 교육의 질 개선을 위한 학급규모 감축전략. 교육행정학연구, 20(2), 1∼24. | 미소장 |
5 | 김양분, 김현진, 박호근. (2001).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여론 조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 미소장 |
6 | 김일혁, 김양분. (2006).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여론 조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 미소장 |
7 | 김정민, 양승실, 이선호, 김일혁. (2014).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여론 조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 미소장 |
8 | 김주후. (2006). 학교평가를 통해서 본 초등학교 교육의 질 유형화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24(4), 51∼65. | 미소장 |
9 | 남궁지영, 김창환, 우명숙. (2012).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여론 조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 미소장 |
10 | 남궁지영, 우명숙. (2010).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여론 조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 미소장 |
11 | 남궁지영, 우명숙. (2011).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여론 조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 미소장 |
12 | 동아일보 (2011. 1. 28). 오바마의 한국 교육 칭찬, 우리가 겪는 현실. 사설. | 미소장 |
13 | 문찬주, 문희원, 이영선, 정동욱. (2021). 일반고 교육역량 강화 정책 효과성 분석: 서울시 일반계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교육행정학연구, 39(1), 117∼141. | 미소장 |
14 | 박경호, 권희경, 박근영, 최인희, 송승원, 이병식. (2021). 2021 한국교육종단연구. 진천:한국교육개발원. | 미소장 |
15 | 박균열, 주영효, 고영종. (2014). 공교육 내실화를 위한 자유학기제 정책의 방향과 과제. 교육행정학연구, 32(1), 25∼51. | 미소장 |
16 | 박남기. (2015). 학교교육 혁신의 방향과 과제: 교육개혁을 위한 새 패러다임 탐색. 학술대회 자료집 (pp. 69∼115). 한국교원교육학회. | 미소장 |
17 | 박남기. (2017). 제4차 산업혁명기의 교육개혁 새패러다임 탐색. 교육학연구, 55(1), 211∼240. | 미소장 |
18 | 박상완. (2017). 신뢰의 개념 구조 및 교육행정 연구에의 적용. 교육행정학연구, 35(2), 123∼160. | 미소장 |
19 | 성기선. (1999).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여론 조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 미소장 |
20 | 송경오, 정성수. (2010). 학교교육에 대한 인식수준이 사교육 수요에 미치는 영향 탐색. 교육행정학연구, 28(3), 275∼299. | 미소장 |
21 | 신현석. (2015). 교육현장의 관점에서 바라본 5.31 교육개혁. 학술대회 자료집 (pp. 3∼23). 한국교원교육학회. | 미소장 |
22 | 신현석, 박균열, 이예슬, 윤지희, 신범철. (2018). 한국 교육행정학 연구동향의 심층 분석 및 미래 전망. 한국교육학연구, 24(4), 247∼286. | 미소장 |
23 | 여성가족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1). 2020년 청소년종합실태조사. 서울: 여성가족부. | 미소장 |
24 | 유균상, 남궁지영, 김일혁. (2008).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여론 조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 미소장 |
25 | 유길한. (2012). 교육가치와 교육문제가 수업경영, 교육효과성을 매개로 학부모의 학교신뢰에 미치는 영향 구조분석. 교육행정학연구, 30(4), 199∼224. | 미소장 |
26 | 이강주, 양승실, 차성현. (2013).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여론 조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 미소장 |
27 | 이영희, 윤지현, 백병부, 이은비. (2019). 교육 개혁의 방향에 관한 학생·학부모·교원 및교육정책전문가들의 인식 조사 연구. 열린교육연구, 27(4), 75∼103. | 미소장 |
28 | 이일용. (2005). 초·중등교육분야 교육개혁 10년의 성과와 과제. 교육정치학연구, 12(1), 53∼82. | 미소장 |
29 | 이종재, 정성수, 김영식. (2006). 한국교육의 발전 전략과 새로운 과제. 교육행정학연구, 24(4), 1∼26. | 미소장 |
30 | 임소현, 강영혜, 김흥주, 조옥경. (2015).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여론 조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 미소장 |
31 | 임소현, 김은영, 백승주, 황은희, 황준성, 김흥주. (2017).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여론 조사. 진천: 한국교육개발원. | 미소장 |
32 | 임소현, 김흥주, 한은정, 황은희. (2016).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여론 조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 미소장 |
33 | 임소현, 박병영, 황준성, 백승주, 유경훈, 허은정. (2019).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여론 조사. 진천: 한국교육개발원. | 미소장 |
34 | 임소현, 박병영, 황준성, 허은정, 백승주. (2018).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여론 조사. 진천:한국교육개발원. | 미소장 |
35 | 임소현, 박병영, 황준성, 황은희, 백승주, 김혜자, 이정우. (2020).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여론 조사. 진천: 한국교육개발원. | 미소장 |
36 | 임소현, 황준성, 김은영, 김혜진, 백승주, 김혜자, 이정우. (2021).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여론조사. 진천: 한국교육개발원. | 미소장 |
37 | 임연기, 김훈호. (2018). 한국 교육행정학 연구 동향 및 활용 지식의 특성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36(1), 355∼382. | 미소장 |
38 | 조석훈. (2018). 교직 선택 결정에 대한 후회 감정의 탐색적 해석. 중등교육연구, 66(3), 937∼962. | 미소장 |
39 | 조석훈. (2020). 공교육 정상화의 의미와 논리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38(4), 31∼55. | 미소장 |
40 | 주동범, 이현철, 김광석, 이원석. (2020). 초등 학부모의 학교교육 만족도에 대한 종단분석: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학부모연구, 7(2), 31∼47. | 미소장 |
41 | 주철안. (2016). 해방 이후 한국 교육정책 및 제도의 진단과 재설계방안 탐색. 교육혁신연구, 26(1), 1∼19. | 미소장 |
42 | 통계청, 교육부. (2021). 2020년 초중고사교육비조사 결과. 보도자료(2021. 3. 9). | 미소장 |
43 | 통계청. (2020). 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 https://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Index.do?vwcd=MT_ZTITLE&menuId=M_01_01에서 2022. 2. 14 인출. | 미소장 |
44 | 한국교육개발원. (2021). 연도별 학급당 학생수(교육통계서비스). https://kess.kedi.re.kr/index에서 2022. 2. 14 인출. | 미소장 |
45 | 홍후조, 박인우, 장인실, 김종백. (2003). 학급당 학생수 감축이 교육과정 운영에 미치는영향 연구.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 미소장 |
46 | Abelson, R. P., & Rosenberg, M. J. (1958). Symbolic psycho-logic: A model of attitudinal cognition. Behavioral Science, 3(1), 1∼13. | 미소장 |
47 | Allport, G. W. (1935). Attitudes. In C. Murchinson (Ed.), A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 (pp. 798∼844). Worcester, Mass.: Clark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48 | Allport, G. W. (1960). The open system in personality theory.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61(3), 301∼310. | 미소장 |
49 | Anderson, C. A., Krull, D. S., & Weiner, B. (1996). Explanations: Processes and consequences. In E. T. Higgins, & A. W. Kruglanski (Eds.), Social psychology:Handbook of basic principles (Ch. 10, pp. 271∼296). New York: Guilford Press. | 미소장 |
50 | Arnold, M. B. (1950). An excitatory theory of emotion. In M. L. Reymert (Ed.), Feelings and emotions (Ch. 2, pp. 11∼33). New York: McGraw-Hill Book Company. | 미소장 |
51 | Ausubel, D. P. (1956). Introduction to a threshold concept of primary drives. The Journal of General Psychology, 54, 209∼229. | 미소장 |
52 | Brickman, P., Coates, D., & Janoff-Bulman, R. (1978). Lottery winners and accident victims: Is happiness relativ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6(8), 917∼927. | 미소장 |
53 | Crane, J. (1991). The epidemic theory of ghettos and neighborhood effects on dropping out and teenage childbearing.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6(5), 1226∼1259. | 미소장 |
54 | Diener, E., Lucas, R. E., & Scollon, C. N. (2006). Beyond the hedonic treadmill:Revising the adaptation theory of well-being. American Psychologist, 61(4), 305∼314. | 미소장 |
55 | Diener, E., Suh, E. M., Lucas, R. E., & Smith, H. L. (1999). Subjective well-being:Three decades of progress. Psychological Bulletin, 125(2), 276∼302. | 미소장 |
56 | Diener, E., Wirtz, D., & Oishi, S. (2001). End effects of rated life quality: The James Dean effect. Psychological Science, 12(2), 124∼128. | 미소장 |
57 | Drack, M., Apfalter, W., & Pouvreau, D. (2007). On the making of a system theory of life: Paul A. Weiss and Ludwig von Bertalanffy’s conceptual connection. The Quarterly Review of Biology, 82(4), 349∼373. | 미소장 |
58 | Epley, N., & Gilovich, T. (2001). Putting Adjustment Back in the Anchoring and Adjustment Heuristic: Differential Processing of self-generated and experimenter-provided Anchors. Psychological Science, 12(5), 391∼396. | 미소장 |
59 | Frank, A. J., & Wilson, E. A. (2020). A Silvan Tomkins Handbook: Foundations for affect theory.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 미소장 |
60 | Frijda, N. H. (1993). The place of appraisal in emotion. Cognition and Emotion, 7(3/4), 357∼387. | 미소장 |
61 | Gladwell, M. (1996). The tipping point: Why is the city suddenly so much safer-could it be that crime really is an epidemic? The New Yorker, 72, 32∼39. | 미소장 |
62 | Gladwell, M. (2001). The tipping point: How little things can make a big difference. New York: Little, Brown and Company. | 미소장 |
63 | Granovetter, M. (1978). Threshold models of collective behavior.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83(6), 1420∼1443. | 미소장 |
64 | Grodzins, M. (1957). Metropolitan segregation. Scientific American, 197(4), 33∼41. | 미소장 |
65 | Hebb, D. O. (1949). The organization of behavior: A neuropsychological theory. New York: John Wiley & Sons. | 미소장 |
66 | Hoffman, E. (1988). The right to be human. Los Angeles, CA: Jeremy P. Tarcher. | 미소장 |
67 | Kahneman, D. (2011). Thinking, fast and slow. New York: Farrar, Straus and Giroux. (이창신 역. 2018. 생각에 관한 생각. 파주: 김영사). | 미소장 |
68 | Kahneman, D., Fredrickson, B. L., Schreiber, C. A., & Redelmeier, D. A. (1993). When more pain is preferred to less: Adding a better end. Psychological Science, 4(6), 401∼405. | 미소장 |
69 | Kahneman, D., Krueger, A. B., Schkade, D., Schwarz, N., & Stone, A. A. (2006). Would you be happier if you were richer? A focusing illusion. Science, 312(5782), 1908∼1910. | 미소장 |
70 | Lazarus, R. S. (1993). From psychological stress to the emotions: A history of changing outlooks. Annual Reviews of Psychology, 44, 1∼21. | 미소장 |
71 | Lazarus, R. S. (1998). The life and work of an eminent psychologist: Autobiography of Richard S. Lazarus.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Company. | 미소장 |
72 | Lazarus, R. S., & Folkman, S. (1987). Transactional theory and research on emotions and coping. European Journal of Personality, 1, 141∼169. | 미소장 |
73 | Likert, R. (1932). A technique for the measurement of attitudes. Archives of Psychology, 22(140), New York. | 미소장 |
74 | Maslow, A. H. (1935). Appetites and hungers in animal motivation. Journal of Comparative Psychology, 20(1), 75∼83. | 미소장 |
75 | McClelland, D. (1972). Conversation with David McClelland. Organizational Dynamics, 1(1), 56∼72. | 미소장 |
76 | Miller, N. E. (1944). Experimental studies of conflict. In J. M. Hunt (Ed.), Personality and the behavior disorders (Ch. 14, pp. 431∼465). New York: Ronald Press. | 미소장 |
77 | Parducci, A. (1963). Range-frequency compromise in judgment. Psychological Monographs: General and Applied, 77(2), 1∼50. | 미소장 |
78 | Roseman, I. J., & Read, S. J. (2007). Psychologist at play: Robert P. Abelson's life and contributions to psychological science. Perspectives on Psychological Science, 2(1), 86∼97. | 미소장 |
79 | Schelling, T. C. (1971). Dynamic models of segregation. Journal of Mathematical Sociology, 1, 143∼186. | 미소장 |
80 | Shore, B. (1997). Keeping the conversation going: An interview with Jerome Bruner. Ethos, 25(1), 7-62. | 미소장 |
81 | Thurstone, L. L. (1928). Attitudes can be measured.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33(4), 529∼554. | 미소장 |
82 | Tomkins, S. S. (1981). The quest for primary motives: Biography and autobiography of an idea.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1(2), 306∼329. | 미소장 |
83 | Tomkins, S. S. (1984). Affect theory. In K. R. Scherer, & P. Ekman (Eds.), Approaches to emotion (pp. 163∼195).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 미소장 |
84 | Tversky, A., & Kahneman, D. (1974). Judgment under uncertainty: Heuristics and biases. Science, 185(4157), 1124∼1131. | 미소장 |
85 | White, R. W. (1959). Motivation reconsidered: The concept of competence. Psychological Review, 66(5), 297∼333.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