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연구목적 이 연구는 초등학교 학생들의 저항행동의 속성을 구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것으로, 학생들이자신의 저항행동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개념화하고 있는지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하여 충청북도에 소재한 A초등학교 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레퍼토리그리드 기법을 활용하여 저항행동에 대한 구성개념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초등학생의 저항행동을 구분하는 개념은 ‘행동빈도’, ‘주변사람 활동 방해 여부’, ‘활동적-소극적성향’, ‘수업에 영향 여부’, ‘남-여학생 경향’, ‘선생님 통제 여부’, ‘주변사람 상심 여부’, ‘관심유도-이탈경향’, ‘수업-수업 외 경향’ 등으로 나타났다.

결론 저항행동에 대한 구성개념을 분석한 결과, 학생들에 대한 개인적 관심과 지원이 충분히 이루어진다면수업에 대한 참여가 높아질 수 있고, 소극적으로 전달되는 수업에 대한 불만을 상세화해 줌으로써 수업과관련하여 직면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English major's imagined communities, investment, and EFL learning at a teachers’ university in China = 중국 사범대학에서 영어전공 학생들의 상상공동체, 투자 및 EFL 학습 Xu, Guang-lin, Kim, Jung-yin p. 5-32
Lexical and syntactic complexity of EFL writing by cognitive task complexity = 인지적 과업 복잡성에 의한 EFL 쓰기에서의 어휘 및 통사적 복합성 Eun Park p. 33-54
범교과 다문화 교육자료 개선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cross-curricular learning materials in multicultural education 염태근, 차우규 p. 55-80
대학생용 인생과제 수행방식 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Th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a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improving the life tasks performance of college students 최성복, 이소희 p. 81-110
전문적 학습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지원 요구분석 : Needs analysis of support for the revitalization of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 focusing on Chungbuk teachers / 충북 교원을 대상으로 김동원, 이정표 p. 111-133
유아교사의 정신화와 사회지능의 관계에서 민감성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s of sensitivity on relationships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mentalization and social intelligence 김소연, 채진영 p. 135-157
초등교사의 사회과 검정 교과서 선정 경험 연구 = A study regarding elementary teachers’ experience adopting a social studies authorized-textbook 문현진, 김영빈, 이병민, 이승현 p. 159-183
초⋅중학교 교육과정 자율 시수 확보 및 활용의 개선 방안 탐색 = Improving ways to secure and utilize the autonomous number of hours in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curricula 이승미 p. 185-207
다문화교육 실천을 위한 예술 중심 융합 교육과정 접근 방법 탐색 = Exploring art oriented convergence curriculum model designs for multicultural practice 정옥희 p. 209-233
지문의 띄어쓰기 변인에 따른 읽기 능력 차이 분석 = Analysis of differences in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according to the spacing variable of text 서지영, 박영민 p. 235-254
중학생 학생건강체력(PAPS) 등급과 성별에 따른 학업무기력과 우울정서의 차이검증 = Study regarding differences in levels of academic lethargy and depressive moods for middle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physical activity promotion system (PAPS) grade and gender 윤성호, 정구인 p. 255-271
대학 구조개혁 정책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 =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n university structural reform policy 이영신 p. 273-313
초등학급에서 학생의 저항행동에 대한 구성개념 분석 = Analysis of the constructs of students' resistance behavior in elementary school 안세근, 김현욱 p. 315-334
초등체육 교과교육연구회 운영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 An autoethnography regarding the experiences of operating in an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research group 장병권, 김상목, 김영식 p. 335-350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 관련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 A meta-analysis of the factors related to the resili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홍희주 p. 351-370
심미적 감성 역량기반 교육과정 실행에 대한 교사들의 경험과 인식 탐구 = Teacher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in applying aesthetic-emotional competency to classes 임영은, 박소영 p. 371-397

상담 수퍼비전에서의 수퍼바이지의 전환적 학습 경험 = Supervisees' transformational learning experience in counseling supervision 장유진 p. 399-427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사립유치원 연구 동향 분석 = Research trends regarding private kindergarten through a keyword network analysis 박주현, 이경화 p. 429-455
사회과에서 법교육과 인권교육의 방향성 연구 = A study on the direction of law-related education and human rights education in social studies 이수경 p. 457-471
소외 학생들이 경험한 학교에서의 삶 : Life at school experienced by underprivileged students : focusing on living in the alienation of peer relationships / 또래관계 소외 속 살아냄을 중심으로 김윤영, 박종률 p. 473-500
초등 예비교사의 배구 실기 수업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A narrative exploration of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experiences in volleyball practice classes 김진필 p. 501-520
‘흥미’(interesse)의 도덕교육적 의미 = The meaning of Interesse in moral education 박대호 p. 521-540
건설적 사고 모델의 도덕교육적 의의 : The moral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he constructive thinking model : focusing on the discussion of Thayer-Bacon, B.J. / 세이어베이컨의 논의를 중심으로 김아영 p. 541-561
교육종단연구에서 사회정서 역량의 측정 차원성 변화 탐구 = An exploratory study of changes in the dimensionality of social-emotional competency for 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박찬호 p. 563-583

참고문헌 (12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현욱 (2020). 레퍼토리 그리드 기법을 통한 한국 초등학교 교사의 수업방법 특성 분석. 비교교육연구, 30(6), 57-83. 미소장
2 김현욱 (2021). 핀란드 교원양성 교육의 변화과정 분석. 교원교육, 38(1), 105-126. 미소장
3 손유니 (2012). 문제행동 중재 과정에 포함된 교사 지원에 관한 문헌연구. 교원교육, 28(4), 161-183. 미소장
4 신효송 (2019.5.13.). “가르칠 의욕 안 난다”, 교원 사기저하 극심. e대학저널. Retrieved from http://www. dh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2198 미소장
5 유명희 (2022). 초등학교 수업 속에서 나타나는 학생의 긍정적 저항행동 분석. 미간행 자료. 미소장
6 정은미, 서유진 (2020). 초등학교 저경력 교사의 정서⋅행동 문제를 가진 학생 지도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초등교육연구, 33(4), 245-271. 미소장
7 Albert, L. (1996). Cooperative Discipline. TX: Ags Pub. 미소장
8 Alpert, R., & Haber, R. N. (1960). Anxiety in Academic Achievement Situations.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61, 207-215. 미소장
9 Charles, C. (2002). Building classroom discipline. Boston: Pearson. 미소장
10 Easterby-Smith, M. (1980). The design,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repertory grids. International Journal of Man-Machine Studies, 13(1), 3-24. 미소장
11 Kelly, G. A. (1955). The psychology of personal constructs. New York: Norton. 미소장
12 Maslach, C., Schaufeli, W. B., & Leiter, M. P. (2001). Job burnout.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2(1), 397-422.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