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범죄자의 처벌을 강조하는 응보주의적 형사사법제도의 범죄억제 효과에 대한 문제제기는 세계 각국의 형사정책 연구들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응보주의적 형사사법제도와 반대되는 개념인 회복적 사법제도는 범죄자에 대한 처벌보다, 범죄자도 곧 사회로 돌아올 일반시민이라는 것을 강조하여 이들의 사회복귀를 돕는 처우를 강조하는 제도로, 노르웨이에서는 이러한 회복적 사법의 이념을 바탕으로 범죄자 교정영역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경험하고 있다.

노르웨이의 회복적 사법 중심 교정시스템에서 지향하는 세 가지 핵심원칙은 정상성의 원칙, 사회재통합, 그리고 ‘들여오기식(importmodellen)’ 교정서비스이다. 이러한 세 가지 핵심원칙을 바탕으로 노르웨이는 범죄자를 고립시키지 않고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사회복귀 및 복지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노르웨이에서는 범죄자를 일반시민과 구별된 복지서비스를 제공받도록 하기보다, 범죄정책과 복지정책의 연계를 강조하여, 일반시민으로서 제공되는 여러 복지서비스를 범죄자가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더 나아가, 사회재통합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범죄자 스스로의 교화의지라는 것을 강조하며, 사회재통합과정 계획수립에서부터 완료까지 범죄자의 적극적 참여를 지향한다.

그리고 노르웨이 정부는 꾸준히 교정분야에서 활동하는 모든 지역사회 기관 및 단체들을 위한 운영보조금을 지원하여 지역사회가 범죄자에게 보다 더 관심을 가지고 이들의 사회복귀에 힘쓰도록 하기 위한 발판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지역사회기관들은 주거, 의료, 교육, 취업, 가족지원 등 여러 영역에서 출소자 생활 조건 향상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Criminal policy studies from around the world have raised questions about the effectiveness of the retributive criminal justice system that emphasized the punishment of criminals. The restorative criminal justice system, contrary to the retributive criminal justice system, emphasizes the treatment of criminals to help them return to society by emphasizing that criminals are also ordinary citizens who will soon return to society rather than punishment for criminals. Norway is experiencing positive effects in the field of criminal correction based on this restorative criminal justice system.

The three key principles aimed at Norway’s restorative criminal justice centered correction system are the principle of normality, social reintegration, and ‘import model(importmodellen)’ correction services. Based on these three key principles, Norway provides a variety of community-based reentry and welfare services without isolating criminals from society.

In addition, Norway emphasized the link between criminal policy and welfare policy so that criminals can receive various welfare services provided as ordinary citizens even if they are criminals rather than receiving welfare services distinct from ordinary citizens. Furthermore, it emphasized that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e process of social reintegration is the criminal’s own will to rehabilitate, and encourages the active participation of criminals from planning to completion of the social reintegration process.

And, the Norwegian government consistently provides operation subsidies for all community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that work in the field of correction, it establishes a foothold for the community to pay more attention to criminals and strive for their social reintegration. Based on government support, community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are providing services to improve the living conditions of released prisoners in various areas such as housing, medical care, education, employment, and family support.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외국의 마약류중독 수형자를 위한 교정시설 내 치료 프로그램 : Treatment programs for prisoners with drug abuse and addiction problems in the United States, Canada, and Australia / 미국, 캐나다, 호주를 중심으로 박현나 p. 1-27
회복자로 살아가는 남성 마약중독자의 삶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Narrative inquiry on the recovery life of a male with drug addiction 최미경, 강선경 p. 29-61

단약을 유지하고 있는 청년의 ‘삶의 자리’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place of life’ of youth people who abandoned drugs 차명희 p. 63-93

아동기외상이 초기성인 누범자의 범죄 행위에 미친 영향에 관한 질적 연구 = A qualitative study on the effect of childhood trauma on the criminal behavior of repeat offenders in early adulthood 김숙희 p. 95-124

한국판 아동-청소년 정서 행동 적응 검사(K-EBA) 개발을 위한 리뷰 연구 = The Korean version of emotional behavior adaptation diagnostic test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 K-EBA 이은주, 이수정, 류민지 p. 125-149
정신질환 피치료감호자의 임상적 개입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 A systematic review on clinical intervention for offenders with mental illness 성혜연, 이성규 p. 151-185

자살시도 내담자들의 죽음 관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view of death of suicide attempters 유주현, 박연규 p. 187-220
형사미성년자 기준연령 하한에 대한 고찰 = A study on the lower standard age of criminal minor 박지혜, 이수정 p. 221-251
Animal Symbol Personality Type(ASPT)에 나타난 트라우마를 경험한 부모상실 아동의 성격유형 연구 = A study on the personality type of children with traumatic loss of their parents using animal symbol personality type(ASPT) 경혜자, 선우현 p. 253-280
노르웨이의 회복적 법무보호복지제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restorative criminal justice rehabilitation system of Norway 최주희, 공정식, 현문정 p. 281-307
중비행 청소년의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에 대한 고찰 = A review on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among serious, violent, and chronic juvenile delinquents : 최근의 국외 논의를 중심으로 지원근 p. 309-341

참고문헌 (49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병배, “회복사법 프로그램의 재범방지 효과성에 대한 비판적 소고”, 교정 담론, 14:3, pp. 93-116, 2020. 미소장
2 박상열,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갱생보호사업의개선방안”, 『교정연구』, 26(4), pp. 115-140, 2016. 미소장
3 법무부, 『2021 교정통계연보』, 2021. 미소장
4 법무연수원, 『2020 범죄백서』, 2021. 미소장
5 이백철, "회복적 사법: 대안적 형벌체제로서의 이론적 정당성." 한국공안행정학회보. 13, 137-171. 2002. 미소장
6 이진국·오영근, “형사사법체계상 회복적 사법이념의 실천방안”, 『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pp. 13-262, 2006. 미소장
7 장지화, “엄벌주의 현황에 대한 고찰 - 중국의 아동 관련 범죄를 중심으로 -”, 인권과 정의, 489, pp. 256-275, 2020. 미소장
8 최정학, “엄벌주의와 범죄예방 - 아동 성범죄의 사례 -”, 민주법학, 54, pp. 211-242, 2014. 미소장
9 추지현, “엄벌주의 보편성에 대한 비판적 검토: 연구의 동향과 쟁점”, 『형사정책연구』, 28(2), pp. 155-179, 2017. 미소장
10 한겨레, “엄벌주의의 승리는 사회의 실패다”, 2017.09.13. 미소장
11 한국일보, “성범죄자 심리치료 수백 시간 왜 하나 알아야 재범 막는다”, 2021.03.04. 미소장
12 홍봉선, “효과적인 재범 방지를 위한 교정복지제도 발전 방안”, 보호관찰, 10:1, pp. 85-125, 2010. 미소장
13 Are Høidal., “Normality behind the Walls: Examples from Halden Prison”, Federal Sentencing Reporter , 31 (1), pp. 58–66, 2018. 미소장
14 Gisler, C., Pruin, Ineke., and Hostettler, U., “Experiences with Welfare, Rehabilitation and Reintegration of Prisoners:Lessons Learned?”, Social Policy and Development, 2018. 미소장
15 Hansen, G. V., Dahl, U. and Samuelsen, F., (2014). “Evaluering av BRIK - Behovs- og ressurskartlegging i kriminalomsorgen”, Commissioned Report 2014.2. Halden:Østfold University College. 미소장
16 Kautto, M., Fritzell, J., Hvinden, B., Uusitalo, H. and Kvist, J., “Nordic Welfare States in the European Context”, Routelegde, London, 2001. 미소장
17 Kristoffersen, R., “Some results on recidivism among released prioners in Norway in 2015-2018”, University College of Norwegian Correctional Service, 2019. 미소장
18 Labutta, E., “The Prisoner as One of Us: Norwegian Wisdom for American Penal Practice”, 31 Emory Int'lL. Rev. 329, 2017. 미소장
19 Mathias Killengreen, R., “Innsatteslevekår 2014. Før, under ogetter soning”, SSB report 2015/47. Oslo, Statistics Norway, Oslo-Kongsvinger, 2015. 미소장
20 Ronel, N., and Elisha, E., “A Different Perspective: Introducing Positive Criminology”, International Journal of Offender Therapy and Comparative Criminology, 55(2), pp. 305–325, 2011. 미소장
21 Tonry, M., “Determinants of Penal Policies ( From Crime, Punishment, and Politics in Comparative Perspective)”,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pp. 1-48, 2007. 미소장
22 https://ffp.no/ung/. 2022.02.08. 미소장
23 https://justice-trends.press/full-rights-citizens-the-principle-of -normality-in-norwegian-prison/, 2022.02.09. 미소장
24 https://kirkensbymisjon.no/fri-barn-og-familie-drammen/folgetj enesten/. 2022.02.07. 미소장
25 https://kirkensbymisjon.no/i-fengsel/. 2022.02.08. 미소장
26 https://lovdata.no/dokument/SF/forskrift/2011-09-30-978. 2022.01.25. 미소장
27 https://www.bufdir.no/Familie/Familievernet/Familievernet_hjelp er_deg_med_a_finne_losninger/. 2022.02.07. 미소장
28 https://www.cep-probation.org/norwegian-reintegration-guarant ee-aims-to-provide-ex-prisoners-the-right-tools-for-re socialization/. 2022.01.25. 미소장
29 https://www.cep-probation.org/norwegian-reintegration-guarant ee-aims-to-provide-ex-prisoners-the-right-tools-for-re socialization/. 2022.01.26. 미소장
30 https://www.cep-probation.org/wp-content/uploads/2019/01/VO L-4.2-assessment-of-offenders-norway.pdf. 2022.02.10. 미소장
31 https://www.kriminalforsorgen.dk/om-os/steder-og-kontakt/?fw p_types=pension, 2022.01.23. 미소장
32 https://www.kriminalomsorgen.no/fordeling-av-post-70-midlerfor-2020.538293.no.html. 2022.01.25. 미소장
33 https://www.kriminalomsorgen.no/informasjon-paa-engelsk.536003.en.html, 2022.01.24. 미소장
34 https://www.kriminalomsorgen.no/kontaktbetjent.527943.no.html. 2022.01.25. 미소장
35 https://www.mironline.ca/restoration-and-retribution-a-tale-oftwo-criminal-justice-systems/, 2022.01.23. 미소장
36 https://www.norwegianamerican.com/what-is-restorative-justic e/, 2022.01.23. 미소장
37 https://www.prisonstudies.org/country/norway, 2022.01.24. 미소장
38 https://www.prisonstudies.org/country/united-kingdom-englandwales, 2022.01.24. 미소장
39 https://www.regjeringen.no/no/dokumenter/stmeld-nr-37-2007-2008- /id527624/?ch=5. 2022.01.25. 미소장
40 https://www.rodekors.no/lokalforeninger/oslo/aktiviteter/underog-etter-fengselsopphold/nettverk-etter-soning-i-oslo/. 2022.02.08. 미소장
41 https://www.sammenforlivet.com/. 2022.02.06. 미소장
42 https://www.unafei.or.jp/publications/pdf/14th_Congress/14_Ms. Heidi_Bottolfs.pdf, 2022.01.24. 미소장
43 https://www.veiviseren.no/. 2022.02.03. 미소장
44 https://www.veiviseren.no/forstaa-helheten/eksempler-og-erfar inger/fri-fra-fengsel-til-varig-bolig. 2022.02.06. 미소장
45 https://xn—tilbakefring-2jb.no/. 2022.02.08. 미소장
46 https://xn—tilbakefring-2jb.no/innsikt/om-brik/. 2022.02.03. 미소장
47 https://xn—tilbakefring-2jb.no/innsikt/om-individuell-plan/. 2022.01.25. 미소장
48 https://www.wayback.no/. 2022.02.08. 미소장
49 SBS 뉴스, “범죄자에 대한 엄벌, 과연 최선일까요?”, 2021.09.17.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