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부녀감』에 표상된 근대적 '부인'과 직업공간으로서 '가정' = The modern "woman(婦人)" and the "home" as a professional space represented in Hujokagami / 박시언 1

국문초록 1

목차 1

서론 2

제1장 직업으로서 '어머니'와 '아내' 4

제2장 『부녀감』 여성인물의 직업 형태 8

제3장 『부녀감』에 나타난 '부인'의 직업 요소 14

1. 이노 고켄의 처 하루코(稲生恒軒妻波留子)의 예화 15

2. 트레무알(多勒梅児) 예화 17

결론 19

참고문헌 20

Abstract 22

日本語抄録 22

필자인적사항 22

초록보기

본 연구는 계몽담론과 전통적 관념이 충돌하던 근대전환기 일본에서 발행된 여자용 수신교과서 『부녀감((婦女鑑)』에 나타나는 여성인물의 직업 형태를 이가 우타키치(伊賀歌吉)의 직업 정의를 바탕으로 살펴본다. 이가는 경제적 이윤을 창출하는 활동뿐만 아니라 자선사업과 같은 비영리적 활동을 비롯해 가족구성원으로서 ‘어머니와 아내’마저도 직업으로 인식했다. 이로써 가정 안 여성의 존재는 가치를 생산하는 노동의 주체로 격상되었고, 가정은 직업 영역으로 가시화된다. 또한 메이지 중기 발명된 ‘부인(婦人)’ 개념은 여성의 가정 내 위상을 사회적으로 공론화시킨다. 이러한 시각에서 본 연구는 『부녀감』에 표상된 ‘부인’의 직업 요소를 통해 가정이 공적 영역으로 어떻게 다루어지는지 밝힌다. 또한 임금을 받는 생산주체로서의 여성인물과 비영리적 활동에 종사하는 인물까지 당시 일본의 시대상과 관련해 검토한다. 이렇게 교과서를 통해 형상화된 직업 관념과 이미지는 당시 일본 사회와 그 구성원들 사이에 수용되어 여학생들의 미래 직업 선택과 가치관 형성에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보인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온라인수업의 한자학습에 대한 교수자의 인식 : Teacher's belief about Kanji learning in online class : compared to teacher's belief of face-to-face class / 기존의 대면수업에 대한 인식과 비교하여 최정민 p. 297-313

보기
日本の社会福祉施設のエッセンシャルワーカー研修に関する研究 : A study on essential worker training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in Japan : concerning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of workshop / 職員研修会の教育プログラムの開発について 猪谷生美, 益満孝一, 李慶洙, 趙文基 p. 199-223

보기
일본 장애인복지서비스의 이용자부담에 관한 고찰 : A study on the user imbursement of welfare services for the disabled in Japan : focused on the basic right to live and the unconstitutional litigation movement / 생존권적 기본권과 장애인자립지원법 위헌소송운동을 중심으로 김광래, 맹준호 p. 5-25

보기
일본 내 혐한류의 전개와 현황 = The development and current situation of hate-Korean wave in Japan 한영균 p. 343-368

보기
일제강점기 미디어를 통해 본 한센정책과 소록도갱생원 = Hansen's disease control policy and Sorokdo-Koseien seen through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media 서기재 p. 129-151

보기
일본고전문학에 나타난 사자춤의 변천 = The change of lion dance in Japanese classical literature 이부용 p. 225-248

보기
고전시가를 활용한 일본 문화콘텐츠 양상분석 : Analysis of aspects of Japanese cultural contents using classical poetry : focusing on works with Hyakunin Isshu / 『백인일수』 작품을 중심으로 임찬수, 김다흰 p. 249-271

보기
일제강점기신문인 조선시보의 <광고>에 기재된 외래어표기 고찰 : A study on foreign words written in <Advertisement> of Chosunsibo, a newspaper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focused on the period from the 1910s to the 1940s / 1910년대부터 1940년대까지를 중심으로 서순현 p. 153-175

보기
다큐멘터리 속 재일코리안 1세 여성의 제작 주체별 이미지 수용 : Accept the image of a Zainichi woman Ⅰ in a documentary by producer : focusing on <The Story of Koreans in Postwar Japan> and <HARUKO> / <재일-인물편>과 <하루코>를 중심으로 주혜정 p. 273-295

보기
『부녀감』에 표상된 근대적 '부인'과 직업공간으로서 '가정' = The modern "woman(婦人)" and the "home" as a professional space represented in Hujokagami 박시언 p. 107-128

보기
동아시아 집단기억 형성의 가능성 : Possibility of group memory formation in East Asia : Japanese War criminal issue in the new Chinese War crimes trial / 신중국 전범재판의 일본인 전범문제 김수용 p. 57-80

보기
대만 고등교육기관 출신자들의 '대만' 표상과 '외지'를 사유하는 방식 : A study on representation of 'Taiwan' and way of thinking 'Gaichi' of alumni from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in Taiwan : focusing on commemorative publications by alumni organizations of Taihoku Imperial University and Taihoku High School / 대북제국대학·대북고등학교 동창회 기념지를 중심으로 김욱 p. 81-105

보기
일본 시코쿠 헨로의 유래와 시대별 전개 양상 = The origin and historical development of Japanese Shikoku Henro 송영숙 p. 177-197

보기
1876년 제1차 수신사를 통한 한일 의학교류 : Joseon-Japan medical exchange through the first Sushinsa in 1876 : focusing on jennerian vaccination / 우두법을 중심으로 하세가와 사오리, 최규진 p. 315-341

보기
『국법범론』과 근대 일본의 대의제 인식 : "Kokuhō-hanron" and perception of representative system in Meiji Japan : focusing on Kato Hiroyuki's acceptance and translation of Bluntschli / 가토 히로유키의 블룬칠리 번역수용을 중심으로 김도형 p. 27-55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