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에서는 골프 2m 퍼팅 시 그립 두께에 따른 EMG 차이를 통해 골프 동호인들의 그립 선택의 근거를 제시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자는 핸디 12 이하의 동호인 골퍼 7명으로 오른손이 우성인 성인남성들로 선정하였다. 그립 두께에 따른 근활성도를 파악하기 위해 국면별 최대값과 평균값을 P1, P2구간으로 나누어 산출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4.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반복측정분산분석으로 분석하였으며, 유의수준은 p<.05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요측수근굴근(Flexior carpi radialis)의 근활성도 비교에서 왼손의 P2에서 slim의 평균 근활성도가 fatso보다 유의하게 높은 근활성도를 보였으며, 오른손은 P1과 P2에서 그립 두께에 따라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삼각근(Deltoid)의 근활성도 비교에서 그립 두께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척추기립근(Ilrector spine)의 근활성도 비교에서도 그립 두께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기여도가 높은 왼쪽 요측수근굴근의 근활성도가 높았다는 점에서 silm 두께가 골프 동호인들의 안정적인 퍼팅에 도움을 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basis for golf club members' grip selection through EMG differences according to grip thickness when putting 2m.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seven amateur golfers under Handy 12, and adult men with dominant right hands were selected. The section setting was set as the backswing section from address to backswing and the swing section from backswing to impact. Data processing was analyzed by repeated measures ANOVA using the SPSS 24.0 statistical program and the significance level was set to p<.05. As a result of this study, in comparison of muscle activity of the flexior carpi radialis, the average muscle activity of the slim in P2 of the left hand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fatso, and in P1 and P2 of the right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grip thickness. In the comparison of the muscle activity of the deltoid musc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grip thicknes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grip thickness in the comparison of the muscle activity of the erector spine. As a result, the thickness of the silm will help golf enthusiasts put stably in that the muscle activity of the left lumbar flexor muscle, which has a high contribution, was high.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청소년소설 여성 인물의 젠더 정체성 연구 = A study on the gender identity of female characters adolescent novels 박경희 p. 2247-2260

119구급대원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에 대한 지식 및 태도가 감염관리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119 EMTs knowledge and attitude about coronavirus infection-19 (COVID-19) on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박대성, 김예림 p. 2261-2274

노인의 사회적 관계가 효율적인 노후관리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the social relationship of the elderly on effective old-age management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 자기효능감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손명동, 방희명 p. 2275-2285

(A) pilot study of a cognitive-behavioral group intervention on parenting stress for mothers affected by breast cancer = 유방암 환자 대상 집단 인지행동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예비적 연구 : 양육 스트레스를 중심으로 Kyoungmin Shin, Sunmi Cho p. 2287-2298

자서전 곁텍스트 번역전략 연구 : A study on autobiography paratext translation strategies in the Korean translated text of resolved by Ban Ki-moon / 반기문의 『반기문 결단의 시간들』을 중심으로 신미영 p. 2299-2314

중도장애인의 장애수용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in a relationship between disability acceptance and life satisfaction of people with acquired disability 이미경, 박로사 p. 2315-2328

노인의 노쇠와 삶의 만족도의 연관성 : The relationship between frailty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older adults : role of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 사회활동 참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서윤 p. 2329-2343

지역사회 통합돌봄을 위한 지역사회 네트워크 형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formation of community networks for integrative community care 이태헌, 문경주, 김정석 p. 2345-2360

포스트 코로나 시대 중국 수학여행 발전전략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strategy of school trip in China in the post-corona era 장운비, 모우 p. 2361-2370

COVID-19로 인한 팬데믹 상황에서 대학생의 교수-학생 상호작용 유형과 특성 : The pattern and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students’ interaction with the faculty in COVID-19 pandemic :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하여 곽은주 p. 2371-2383

영한 신문 기사의 ‘트랜스젠더’ 지칭어 번역 양상 연구 = A study on transgender’s anaphoric expressions translation of English-Korean newspaper articles 김동미, 탁진영 p. 2385-2400

1970년대 한국의 수산정책과 북태평양 해역의 명태어업 = Korea’s fisheries policy in the 1970s and pollack fishing in the North Pacific ocean 김윤미 p. 2401-2413

텍스트마이닝을 통한 『제인 에어』의 토픽분석 및 감성분석 = Topic analysis and sentiment analysis of Jane Eyre through textmining 반건우, 안소미, 박소영 p. 2415-2427

(The) impact of Japanese political dynamics on the Anglo-Japanese alliance = 일본 정치역학이 영일동맹 체결에 미친 영향 Jiwoong Park p. 2429-2443

젠더화된 경찰 이미지와 여경 무용론에 대한 대안 = Gendered image of the police and the solution of the argument of female police officers’ uselessness 신회섭, 김용근 p. 2445-2456

양육미혼모의 출생신고과정에서의 경험을 통해 본 보편적 출생등록제도에서의 시사점 = Implications of the universal birth registration system through experiences in the birth registration process of unwed mothers 양민옥 p. 2457-2471

중장년 1인가구의 주거와 건강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housing and health on suicidal ideation of one-person households 이소영 p. 2473-2488

장애인 평생교육에 대한 특수학교 전공과 교사들의 인식 = Post-secondary vocational program teachers’ awareness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이재호 p. 2489-2504

여성 관리자의 자기주도 경력개발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리더십 효능감의 매개효과와 최고경영자 지원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 Verification of the mediating effect of leadership efficacy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CEO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career develop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female managers 임혜련 p. 2505-2520

미중 반도체 경쟁과 한국의 대응전략 모색 = The US-China semiconductor and Korea’s response strategy 정해정 p. 2521-2534

전북 결혼이주여성의 농촌 일자리 궤적과 농촌 일자리 지원정책 방향 = Jeonbuk immigrant women’s rural job trajectory and support policy directions 조원지, 정치형 p. 2535-2546

이주 배경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 지원 정책 분석 = Analysis of education support policy for migrant-background students 조항록, 정서윤 p. 2547-2561

19세기 후반 조선에서의 사회 변혁적 公共의식의 두 갈래 = In the late 19th century, two branches of social transformational public consciousness in Joseon 진보성 p. 2563-2575

골프 동호인들의 퍼터그립 선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putter grip selection of golf clubs 천성용, 김민, 홍완기 p. 2577-2588

대학교육에서의 하이플렉스 수업에 대한 교수자 인식과 개선 방안 = Analyzing higher education instructor’s perception and future directions on hyflex learning 이가영, 한송이 p. 2589-2604

초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미디어기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 The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betwe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ademic stress and media device overdependence : examination of gender difference / 성별에 따른 차이 분석 한은수 p. 2605-2618

Housing policy in Indian urban areas : 인도 도시 지역의 주택 정책 : 한국의 공공 주택 정책을 통한 시사점 / policy implications from Korea’s social housing scheme Misu Kim, Huiyeon Kwon p. 2619-2634

고등학생 예비부모의 자녀 보육·교육기관에 대한 인식 = The high school student pre-parents’ perceptions about childcare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박은주 p. 2635-2644

스크린 골프장 이용자의 선택 속성이 몰입 및 재미와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s of screen golf course users’ selection attributes on immersion, fun, and reuse intention 박장진 p. 2645-2659

「눈」 활용을 통한 지역사회 공동체의식 함양을 위한 역할놀이 문학수업 방안연구 = Role-playing literature class to cultivate a sense of local community using Nun, a literary work of textbook 박정은 p. 2661-2675

네팔인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오류 양상 연구 = A study on the Korean postposition error patterns of Nepalese Korean learners 박종호 p. 2677-2686

다문화가정의 가정폭력 피해자를 위한 법적 지원 방안 연구 = A study on legal support for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in multicultural families 신은별, 윤향희 p. 2687-2696

광주광역시 거주 암 입원환자의 서울·수도권 의료이용에 관한 연구 = The study on the medical use in Seoul metropolitan region by hospitalized cancer inpatient residing in Gwangju 양유정, 한소정 p. 2697-2710

한국어교육 석사과정에 참여한 성인학습자의 학습경험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learning experience of adult learners participated in the Korean education master’s course 유길상, 정순인 p. 2711-2725

중년기 기혼남녀의 성역할태도와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 : Relationship between sex role attitude and life satisfaction of middle-aged married men and women : mediating effect of sex life satisfaction / 성생활만족도의 매개효과 이주안 p. 2727-2742

보육교사의 인성과 아동학대 인식이 아동학대 행동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childcare teachers’ personality and perception of child abuse on child abuse behavior 이용주, 조숙영 p. 2743-2754

儒家사상을 통해 본 『弟子規』의 인성덕목연구 : The study of character virtue of Dizigui through Confucian ideology : focused on ‘Ru ze xiao’ / 「入則孝」편을 중심으로 동려생 p. 2755-2770

인문학적 시선에 비친 제국주의적 폭력의 상흔들 = The scars of imperialist violence reflected in the humanistic perspective 변상출, 김현숙 p. 2771-2786

ESG 평점의 실증분석을 통한 중견·중소기업의 ESG 경영 촉진의 필요성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necessity of promoting ESG management of SMEs through empirical analysis of ESG ratings 이지혜 p. 2787-2802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중도탈락 대학생 대상 연구 동향 분석 = A topic modeling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university dropout 윤소정, 강승희 p. 2803-2813

평생교육사의 감정노동과 직무소진 간의 관계에서 공감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empath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 labor and job exhaustion of lifelong educator 김재관 p. 2815-2828

拜登政府的对华政策走向及应对 = Biden administration’s China policy trend and countermeasures 朴龙国, 郑随歆, 吳泰坤 p. 2829-2843

자녀의 기질이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를 매개로 자녀 가치에 미치는 영향 =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stress on the relationship of child’s temperament and mother’s value of child 서주현 p. 2845-2858

병사들이 선호하는 하사 분대장의 좋은 리더십 유형에 관한 주관성 연구 = A study on subjectivity about good leadership types of squad leader preferred by staff sergeants 연영주, 이송이 p. 2859-2872

『계간 삼천리 (季刊三千里)』를 통해 만나는 소련 = Encounters with the Soviet Union through Kikan Sanzenri 임성숙 p. 2873-2884

부모 온정적 양육행동이 학령 초기 아동의 학업수행력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parents’ warm parenting on child’s school performance : the mediating effect of child’s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 집행기능 곤란의 매개효과 계결, 서주현 p. 2885-2898

북미정상회담에 대한 미·영 뉴스보도 담론분석 = A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f US and UK press coverage of the North Korea-US summit 문미리 p. 2899-2913

한국어 통합교육을 위한 현대시조 활용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modern sijo for integrated Korean language education 장수현 p. 2915-2929

민간경비 교육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private security education system : focusing on the education for newly appointed general security guards / 일반경비원 신임교육 중심으로 조철규 p. 2931-2940

공화적 애국주의에 대한 시론적 고찰 : An experimental study on republican patriotism : focusing on the criticism of Lee Yong-su to Yoon Mi-hyang / 이용수의 윤미향 비판을 중심으로 채진원 p. 2941-2956

참고문헌 (1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상곤·조상우·김태완(2016), “골프 그립 패턴 변화가 볼의 역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5(4): 1491-1499. 미소장
2 김상곤·조상우·안창식·김태완(2017), “골프 그립 유형에 다른 상지근의 근 활성도 변화”, 『한국체육과학회지』, 26(3): 1345-1355. 미소장
3 김유신·김은정·박한성(2005), “골프 퍼팅 시 양팔의 근전도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스포츠리서치』, 16(5): 93-102. 미소장
4 박종률·이홍재·박범영(2005), “골프 어프로치 동작의 근활성도 분석”, 『대한스포츠의학회지』, 27(2): 200-205. 미소장
5 유혜숙(2013). “댄스스포츠 스파이럴 턴 동작시 근 협응 패턴과 운동역학적 요인 분석”,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6 이경옥·소재무(2004), “골프 스윙시 양발 간 지면반력의 관계”, 『한국여성체육학회지』, 18(1): 85-98. 미소장
7 이근춘·강명학·조창호(2004), “스윙동안 그립압력 변화에 의한 골프 크럽 제어”, 『한국체육과학회지』, 13(2): 838-845. 미소장
8 Choi, G. L.(2014), “Kinematic and EMG analysis of short putter and long putter during golf putting”, Graduate School of Korea University Master’s thesis. 미소장
9 Hermsdorfer, J.,Hagl, E.,Nowak, D. A.,& C. Marquardt(2003), “Grip force control during object manipulation in cerebral stroke”, 『Clinical Neurophysiology』, 114:915-929. 미소장
10 Jobe, F. W.,Perry, J.,& M. Pink(1989), “Electromyographic shouder activity in men and women professional golfers”, 『American Journal Sports Medicine』, 17(6):782-787. 미소장
11 Kim, K. J.(2008), “A comparative analysis of IEMG of skilled hands and beginners of golf on the frequent injuring areas from Iron shot”, 『Korean Journal of Exercise science』, 17(1): 95-104. 미소장
12 Lee, H. S.(2008), “Analysis of putting stroke between expert and novioc”,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47(3): 495-505. 미소장
13 Park, J.(2000), “Swing time analysis during the putting stroke”, 『Korean journal of sport biomechanics』, 9(2): 187-193. 미소장
14 Park, Y. H.(2009), “A Comparison of accuracy and stroke characteristics between two putting grip techniques”, Seoul National University Master’s dissertation. 미소장
15 Pelz, D., & M. Nick(1989), 『Putt Like the Pros: Dave Pelz’s Scientific Way to Improving Your Stroke, Reading Greens, and Lowering Your Score』, Houstron, TX, USA: Ergodebooks. 미소장
16 Robertson, L. D., Mullinax, C. M., Brodowicz, G. R., & A. R. Swafford(1996), “Muscular fatigue patterning in power grip assessment”, 『Journal of Occupy Rehabilitation』, 6: 71-85. 미소장
17 Sim, T. Y., Shin, S. H., Oh, S. I., & J. H. Mun(2004), “EMG Analysis for Investigation Muscle Collaborated Relationship during Golf Swing”, 『Korean Journal of Sport Biomechanics』, 14(3): 177-189.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