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연구에서는 골프 2m 퍼팅 시 그립 두께에 따른 EMG 차이를 통해 골프 동호인들의 그립 선택의 근거를 제시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자는 핸디 12 이하의 동호인 골퍼 7명으로 오른손이 우성인 성인남성들로 선정하였다. 그립 두께에 따른 근활성도를 파악하기 위해 국면별 최대값과 평균값을 P1, P2구간으로 나누어 산출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4.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반복측정분산분석으로 분석하였으며, 유의수준은 p<.05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요측수근굴근(Flexior carpi radialis)의 근활성도 비교에서 왼손의 P2에서 slim의 평균 근활성도가 fatso보다 유의하게 높은 근활성도를 보였으며, 오른손은 P1과 P2에서 그립 두께에 따라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삼각근(Deltoid)의 근활성도 비교에서 그립 두께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척추기립근(Ilrector spine)의 근활성도 비교에서도 그립 두께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기여도가 높은 왼쪽 요측수근굴근의 근활성도가 높았다는 점에서 silm 두께가 골프 동호인들의 안정적인 퍼팅에 도움을 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basis for golf club members' grip selection through EMG differences according to grip thickness when putting 2m.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seven amateur golfers under Handy 12, and adult men with dominant right hands were selected. The section setting was set as the backswing section from address to backswing and the swing section from backswing to impact. Data processing was analyzed by repeated measures ANOVA using the SPSS 24.0 statistical program and the significance level was set to p<.05. As a result of this study, in comparison of muscle activity of the flexior carpi radialis, the average muscle activity of the slim in P2 of the left hand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fatso, and in P1 and P2 of the right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grip thickness. In the comparison of the muscle activity of the deltoid musc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grip thicknes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grip thickness in the comparison of the muscle activity of the erector spine. As a result, the thickness of the silm will help golf enthusiasts put stably in that the muscle activity of the left lumbar flexor muscle, which has a high contribution, was high.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김상곤·조상우·김태완(2016), “골프 그립 패턴 변화가 볼의 역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5(4): 1491-1499. | 미소장 |
2 | 김상곤·조상우·안창식·김태완(2017), “골프 그립 유형에 다른 상지근의 근 활성도 변화”, 『한국체육과학회지』, 26(3): 1345-1355. | 미소장 |
3 | 김유신·김은정·박한성(2005), “골프 퍼팅 시 양팔의 근전도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스포츠리서치』, 16(5): 93-102. | 미소장 |
4 | 박종률·이홍재·박범영(2005), “골프 어프로치 동작의 근활성도 분석”, 『대한스포츠의학회지』, 27(2): 200-205. | 미소장 |
5 | 유혜숙(2013). “댄스스포츠 스파이럴 턴 동작시 근 협응 패턴과 운동역학적 요인 분석”,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6 | 이경옥·소재무(2004), “골프 스윙시 양발 간 지면반력의 관계”, 『한국여성체육학회지』, 18(1): 85-98. | 미소장 |
7 | 이근춘·강명학·조창호(2004), “스윙동안 그립압력 변화에 의한 골프 크럽 제어”, 『한국체육과학회지』, 13(2): 838-845. | 미소장 |
8 | Choi, G. L.(2014), “Kinematic and EMG analysis of short putter and long putter during golf putting”, Graduate School of Korea University Master’s thesis. | 미소장 |
9 | Hermsdorfer, J.,Hagl, E.,Nowak, D. A.,& C. Marquardt(2003), “Grip force control during object manipulation in cerebral stroke”, 『Clinical Neurophysiology』, 114:915-929. | 미소장 |
10 | Jobe, F. W.,Perry, J.,& M. Pink(1989), “Electromyographic shouder activity in men and women professional golfers”, 『American Journal Sports Medicine』, 17(6):782-787. | 미소장 |
11 | Kim, K. J.(2008), “A comparative analysis of IEMG of skilled hands and beginners of golf on the frequent injuring areas from Iron shot”, 『Korean Journal of Exercise science』, 17(1): 95-104. | 미소장 |
12 | Lee, H. S.(2008), “Analysis of putting stroke between expert and novioc”,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47(3): 495-505. | 미소장 |
13 | Park, J.(2000), “Swing time analysis during the putting stroke”, 『Korean journal of sport biomechanics』, 9(2): 187-193. | 미소장 |
14 | Park, Y. H.(2009), “A Comparison of accuracy and stroke characteristics between two putting grip techniques”, Seoul National University Master’s dissertation. | 미소장 |
15 | Pelz, D., & M. Nick(1989), 『Putt Like the Pros: Dave Pelz’s Scientific Way to Improving Your Stroke, Reading Greens, and Lowering Your Score』, Houstron, TX, USA: Ergodebooks. | 미소장 |
16 | Robertson, L. D., Mullinax, C. M., Brodowicz, G. R., & A. R. Swafford(1996), “Muscular fatigue patterning in power grip assessment”, 『Journal of Occupy Rehabilitation』, 6: 71-85. | 미소장 |
17 | Sim, T. Y., Shin, S. H., Oh, S. I., & J. H. Mun(2004), “EMG Analysis for Investigation Muscle Collaborated Relationship during Golf Swing”, 『Korean Journal of Sport Biomechanics』, 14(3): 177-189.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9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