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영화는 두 가지 점에서 글쓰기와 관련된다. 하나는 두 주인공이 글쓰기를 통해 만나게 되고 글쓰기를 도와주면서 관계를 지속해 간다는 점이다. 다른 하나는 두 인물의 대화 속에서 글쓰기와 관계되는 의미 있는 언급들을 흥미롭게 담아낸다는 점이다.

영화는 글쓰기를 통해 두 인물의 변화를 보여준다. 그것은 그들이 놓여 있던 편견으로부터 벗어남을 말한다. 자말은 자신에게 주어지는 편견에 맞서는 용기를, 포레스터는 그러한 자말의 모습을 보면서 삶을 위한 용기를 얻는다. 이러한 두 인물의 변화 과정을 통해 영화는 글쓰기의 의미, 글쓰기를 위한 자세 등을 보여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비주얼 씽킹을 활용한 대학 <사고와 표현> 수업 사례 연구 = A study on the class case of <Thinking and Expression> at a university using visual thinking 김영학 p. 7-33

영화 <파인딩 포레스터>를 통해 본 편견에 맞서는 용기와 글쓰기의 의미 = The meaning of writing and courage against prejudices seen through the movie <Finding Forrester> 김중철 p. 35-55

‘대학 비판’으로서의 글쓰기 수업 연구 : Academic writing as 'critique of the university' : based on the idea 'critique' between Kant, Foucault and Marx / 칸트, 푸코, 마르크스의 ‘비판’ 개념 검토를 중심으로 윤동구 p. 57-85

대학생의 자기표현 글쓰기를 위한 자전소설 쓰기 교육 연구 = A study on writing autobiographical novels for college students' self-expressive writing 윤호경 p. 87-132

프레임과 뉴스 리터러시를 활용한 의사소통 수업 방안 연구 = A study of plans of communication education using frame and news literacy 임혜원 p. 133-158

‘디지털 네이티브’ 담론의 비판적 고찰 = A critical review on digital natives discourse 한수영 p. 159-185

가짜 뉴스 시대 온라인 뉴스 제목의 언어 사용 실태 분석 = Analyzing the use of language for online news article titles in the age of fake news 황온중 p. 187-219

시화(詩話)의 텍스트 유형과 교육에서의 활용 방안 : Text types and educational applications of poetry-story(詩話) : based on Choi Ja(崔滋)'s 『Bohanjip(補閑集)』 data / 최자(崔滋)의 『보한집(補閑集)』 자료를 기반으로 조성윤 p. 221-251

참고문헌 (1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산트, 구스 반, 2000, 영화 <파인딩 포레스터>. 미소장
2 김성곤, 2001, 「‘포레스터’의 외출과 ‘잡종이론’」, 『문학사상』 제30권, 12호, 문학사상사. 미소장
3 김원익, 2018, 『신화, 세상에 답하다』, 메티스. 미소장
4 김이석⋅김성욱 외, 2012, 『영화와 사회』, 한나래. 미소장
5 김혜남, 2004, 「영화 ‘굿 윌 헌팅’과 ‘파인딩 포레스터’」, 『정신분석』 제15권, 2호, 정신분석학회, 258-261. 미소장
6 브라이언트, 로버타 진, 2004, 승영조 역, 『누구나 글을 잘 쓸 수 있다』, 예담. 미소장
7 올포트, 고든, 2020, 석기용 역, 『편견: 사회심리학으로 본 편견의 뿌리』, 교양인. 미소장
8 윤소영, 2003, 「윌리 로먼의 자화상, 아버지의 부재라는 트로마」, 『현대영미드라마』제16권, 3호, 한국현대영미드라마학회, 181-209. 미소장
9 윤정순⋅김창대, 2012, 「글쓰기 및 말하기의 정서 표현이 대인불안성향자의 관계맺음동기 변화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배제 경험을 중심으로」, 『상담학연구』제13권, 6호, 한국상담학회, 3095-3110. 미소장
10 예정은, 2009, 「구스 반 산트 영화의 소외의식 연구」, 석사학위논문, 충북대학교. 미소장
11 이상인, 2008, 「구스 반 산트 감독의 <레퀴엠 3부작 - 게리, 엘리펀트, 라스트 데이즈>에 관한 연구」, 『예술교육연구』 제6권, 2호, 한국예술교육학회, 49-58. 미소장
12 임재성, 2014, 『생산적 글쓰기』, 북포스. 미소장
13 장순덕, 2016, 「‘아버지 찾기’ 의 신화적 의미 분석: 이승우 소설의 ‘아버지와 아들’중심으로」, 『영주어문』 제34집, 영주어문학회, 241-270. 미소장
14 헬러, 아그네스, 2015, 서정일 역, 『편견: 다양한 편견의 양상과 우리가 가진 편견에관하여』, 이론과실천. 미소장
15 https://blog.naver.com/khtd1831/222657294104 (검색일: 2022. 3. 05).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