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논문은 벤야민 슈타인의 『스크린』을 통해 정통 유대교와 유대인의 정체성의 문제를 고찰한다. 21세기에 들어와 독일 문학에서 나타나는 두드러진 현상은 종교의 소재를 문학에 담아내고 종교의 본질과 그 가치를 문학의 주제로 삼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기독교뿐만 아니라 유대교의 영역에서도 등장하는데, 2010년에 발표된 『스크린』은 1995년의 ‘빌코미르스키 스캔들’ 을 배경으로 유대인의 정체성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이 소설은 두 명의 화자 치히로니와 벡슬러를 통해 이들이 정체성을 찾아가는 과정을 추적하고 있다. 전자의 삶은 이스라엘에서 출발해 이스라엘로 회귀하고, 호기심으로 잠시 세속에 눈 돌리지만, 방황과 시련을 거쳐 마침내 정통 유대교 안에서 정체성을 찾는다. 후자는 타인을 사회적으로 추락시키고, 그 죄의식에서 벗어나고자 정통 유대교에 접근하며 종교를 수단화하는 이기적인 모습을 보인다. 전자가 종교의 본질과 가치를 이해하고 그 속에서 삶의 방향을 찾아가는 데 반해, 후자는 종교를 도구화하는 현대인의 모습을 비판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특히 이 작품은 과거 1세대, 2세대의 유대 독일 문학과 달리 홀로코스트의 ‘가해자-희생자’ 담론에서 벗어나 유대인의 정체성을 정통 유대교에서 찾으려는 제3세대 유대 독일 문학의 대표작이라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정통 유대교와 유대인의 정체성, "진정한 자아를 찾아서" : Das orthodoxe Judentum und die jüdische Identität, „die Suche nach der wahren Identität“ : Benjamin Steins Die Leinwand / 벤야민 슈타인의 『스크린』을 중심으로 송희영 p. 1-22

하이네의 여행 : Heines Reise : Die Identitätsstudie von Heine durch die Harzreise / 『하르츠 기행』을 중심으로 본 하이네의 정체성 연구 안철택 p. 23-49

비폭력 대화에 나타나는 협력적 상호행위 = Kooperative Interaktionen im gewaltfreien Gespräch 이소영 p. 51-77

독일적 힙합 언어 : Die deutsche HipHop-Sprache : Grammatische Merkmale der Rap-Liedtexte / 랩 가사의 문법적 특징 박영미 p. 79-96

인터뷰어의 질문에 나타나는 화법 불변화사의 의사소통 기능 : Kommunikative Funktionen der Abtönungspartikeln in Fragen des narrativen Interviews / 내러티브 인터뷰를 중심으로 지은영 p. 97-114

독일 이주민 청소년 언어의 특징 = Sprachmerkmale von Jugendlichen mit Migrationshintergrund in Deutschland 강명희 p. 115-139

가상과 진리 : Schein und Wahrheit : Das Dichterbild in Friedrich Nietzsches Also sprach Zarathustra / 니체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에 나타난 시인의 초상 권혁준 p. 141-172

저항 없는 레지스탕스 : Résistance ohne Widerstand: Jiří Menzels Lachen und passiver Widerstand : Eine Studie über den Film Scharf beobachtete Züge / 이리 멘젤(Jiří Menzel) 감독의 웃음과 소극적 저항 : 〈엄중히 감시받는 열차(Closely Watched Trains)〉를 중심으로 김혜진 p. 173-192

FLEX 어휘-문법 문항의 난이도 구조 및 항상성 연구 = Zur Schwierigkeitsstruktur und Konsistenz von lexikalisch-grammatischen Aufgaben der FLEX 유덕근 p. 193-226

참고문헌 (1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Costazza, Alessandro(2012): “Benjamin Steins Die Leinwand oder über die (Un-)Möglichkeit (auto-)biographischen Schreibens.” In: Astrid Arndt und Christoph Deupmann(Hrsg.): Logik der Prosa: Zur Poetizität ungebundener Rede. Göttingen: V & R Unipress, 301-333. 미소장
2 Ders.(2012): Die Leinwand. München: dtv. 미소장
3 Ders.(2014): “Ich gönne mir das Wort Gott”. Annäherungen an Gott in der Gegenwartsliteratur. Leck: Herder. 미소장
4 Ganzfried, Daniel(2002): Alias Wilkomirski. Die Holocaust-Travestie. Berlin:Jüdische Verlagsanstalt. 미소장
5 Horstkotte, Silke(2014): “Ich bin, woran ich mich erinnere.” Benjamin Steins Die Leinwand und der Fall Wilkomirski. In: Torben Fischer(Hrsg.): Der Nationalsozialismus und die Shoah in der deutschsprachigen Gegenwartsliteratur. Amsterdamer Beiträge zur neuerer Germanistik 84, 115-132. 미소장
6 Kleine, Johannes(2017): Islam und Judentum in der deutschsprachigen Gegenwartsliteratur. Zur Bedeutung religiöser Elemente in ausgewählten Werken von Benjamin Stein und Navid Kermani. Berlin: Rowohlt. 미소장
7 Langenhorst, Georg(2013): “Die erzählte Geschichte ist, was am Ende zählt.” Postmoderne Spiegelungen jüdischen Lebens im literarischen Werk Benjamin Steins. In: Communicatio Socialis 46, Nr. 2: 164-182. 미소장
8 Leitner, Anton G.(2001): “Himmel und Hölle”. Das Gedicht. In: Zeitschrift für Lyrik, Essay und Kritik 9, 3-21. 미소장
9 Mächler, Stefan(2000): Der Fall Wilkomirski. Über die Wahrheit einer Biographie. Zürich: Pendo. 미소장
10 Neumann, Birgit(2005): Literatur, Erinnerung, Identität. In: Astrd Erll(Hrsg.): Gedächtniskonzepte der Literaturwissenschaft. Theoretische Grundlegung und Anwendungsperspektiven. Berlin: de Gruyter. 미소장
11 Peters, Ludmila(2021): Religion als diskursive Formation. Zur Darstellung von Religion in der deutschsprachigen Gegenwartsliteratur. Bielefeld: transcript Verlag. 미소장
12 Stein, Benjamin(1995): Das Alphabet des Juda Liva. Zürich: Ammon. 미소장
13 Wilkomirski, Binjamin(1995): Bruchstücke. Aus einer Kindheit 1939-1948. Frankfurt am Main: Jüdischer Verlag.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