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진단을 받은 아동의 약물치료에 따른 어머니의 '마음갉기' 경험 = Anxiety experience of mothers due to drug treatment for child diagnosed with ADHD / 정정숙 ; 조원일 1

논문요약 1

I. 서론 2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II. 문헌고찰 4

1. ADHD와 개념 및 실태 4

2. ADHD에 대한 정신의학적 시각 6

3. ADHD에 대한 반정신의학적 관점 6

4. Mad Studies 7

5. 자녀의 ADHD 진단에 따른 어머니의 약물치료 9

6. 관련 선행연구 13

III. 연구방법 14

1. 연구 참여자 14

2. 자료수집 방법 및 분석방법 16

3. 연구의 엄격성과 윤리적 문제 18

IV. 연구결과 20

1. ADHD 증상의 발현과 부정적 정서 22

2. 치료 진입과 과정의 애로 24

3. 약물치료에 대한 복잡한 생각 25

4. 병원치료에 대한 양가성 27

5. ADHD에 대한 편견과 차별 29

6. 사방팔방으로 막힌 삶 31

7. 치료에 대한 관점 변화 33

8. ADHD에 대한 인식 변화 35

V. 결론 및 제언 38

참고문헌 40

Abstract 48

초록보기

이 연구는 ADHD로 진단을 받은 아동의 주 양육자인 어머니에게 있어 자신의 아이가 ADHD로 진단을 받은 시점에서부터 아이에게 약물치료를 선택하게 된 계기와 그 과정에서의 ‘마음갉기’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색하였다. 본 연구는 질적 사례연구로 Mad Studuies의 분석 틀을 기반으로 하여 연구에 참여한 ADHD 진단을 받은 아동의 약물치료를 경험한 어머니 5명에 대한 인터뷰를 통해 얻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최종적으로 43개 의미단위, 17개의 하위범주, 8개의 범주, 3개의 구분으로 도출되었다. 분석 결과를 근거로 아래와 같은 제언을 하였다. 실천적 함의로 부모의 정서적 고통에 대한 사회적 지지와 부모교육이 필요하다. 정신건강의학과 진단 및 처방에 있어 낙인효과를 방지할 수 있도록 개인 정보의 보호가 절실하다. 사회적 함의는 ADHD 진단을 받은 아동의 약물치료의 실체에 관한 엄밀한 고찰과 비판적 성찰, 그리고 무엇보다도 ADHD 진단 아동에 대한 긍정적인 면을 찾는 시각이 불가결하다. 더불어 다양성의 일면으로 ADHD의 존중과 인간의 다양한 측면의 하나로 인정해야 함도 중요하다. 또한, ADHD의 진단방식에 있어 전문가의 창의적인 진단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 밝힌 어머니의 마음갉기 경험은 정신장애 영역에서의 장애학적 시각과 정확히 맥을 같이 한다. 이것이 본 연구와 관련되는 지점은 ADHD에 대한 인식변화의 깨달음은 Mad Studies적 시각으로 표현되는 장애학적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을 시사하는 것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장애인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향성과 요구 : A study on the demands for program development of person with disabilities : based on FGI in the field of vocational competency improvement education / 직업능력향상교육 분야 FGI를 기반으로 이경준, 김은하, 강수정, 김희수 p. 1-33

보기
발달장애인 평생교육기관 이용이 주 양육자의 장애인권감수성을 매개로한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구 = The effect of the main care-giver quality of life use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for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cus on the mediated effect of the rights sensitivity of the persons with disability 김현숙, 양희택 p. 35-63

보기
장애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참여만족,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satisfaction,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on quality of life among participants in a job creation project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study on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김민식, 김대건 p. 65-85

보기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진단을 받은 아동의 약물치료에 따른 어머니의 ‘마음갉기’ 경험 = Anxiety experience of mothers due to drug treatment for child diagnosed with ADHD 정정숙, 조원일 p. 87-134

보기
지역사회 위치·상황 기반 AAC 앱 콘텐츠 개발을 위한 현장전문가 경험 및 요구 = Field expert experience and demands for location·situation-based AAC application contents development 채수정, 연석정, 이희연 p. 135-160

보기

참고문헌 (11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민희(2007). 장애인시설: 역사와 이데올로기적 측면의 고찰. 미간행. 서울장애인연맹(DPI) 제7기 장애인청년 강의자료집, 60-77. 미소장
2 고은영, 정소라(2013), 단일대상연구를 중심으로 한 국내 ADHD 아동을 위한 비약물적 중재 연구분석. 아시아교육연구, 14(2), 1-27. 미소장
3 국가법령정보센터 법령, 2020. 3. 4 개정,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지원에 관한 법률(정신건강복지법). 미소장
4 국민건강보험공단, 2019. 7. 24.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하여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F90.0)의 건강보험 진료현황 분석결과”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stdict.korean.go.kr 미소장
5 기다겐(2005), 현대 사상 지도 現代思想フォーカス88. 김신재 외 역, 산처럼, (원전2000 출판). 미소장
6 김나영(2009), ADHD 아동의 문제행동에 대한 점토매체의 효과. 대구대학교재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7 김동일, 김이내, 정소라, 김은향, 김희주, 이유리, 이기정, 박중규, 고은영(2009), 한국 ADHD 연구 경향의 분석: 1999년부터 2008년까지. 학습장애연구, 6(2), 101-127. 미소장
8 김동일, 이명경(2006),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ADHD) 원인론의 경향과 전망:애착이론에 의한 대안적 접근. 상담학연구, 7(2), 523-540. 미소장
9 김민정(2010), 초등학교 방문치료사에 의한 놀이치료가 ADHD 아동의 자기통제력, 학교적응력 향상 및 놀이행동에 미치는 효과. 아동복지연구, 8(2), 71-87. 미소장
10 김성길(2011), 승마기구 운동이 노인의 균형능력 및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미소장
11 김순귀(2015), 인지행동 소집단 프로그램이 ADHD 성향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에한 사례연구.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2 김승택, 김용익(2018), 2017 건강보험 통계연보.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민건강보험공단. 미소장
13 김세연(2012),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아동의 증상,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및 양육 행동 간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10), 330-339. 미소장
14 김윤정(2009),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환자의 치료 지속 요인에 관한 연구.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5 김윤정, 오소영, 이지아, 문수진, 이원혜, 반건호(2010),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아동의 약물치료 순응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후향적 연구. 소아청소정신의학, 21(3), 174-181. 미소장
16 김은주(2013), ADHD 자녀를 둔 부모의 적응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경성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7 김의정(2011),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에서 허가 초과 약물 처방. 소아청소년정신의학, 22(2), 397-418. 미소장
18 김정원(2011), 장애인활동보조인과 장애인생활도우미의 서비스 제공 경험 비교.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9 김진구(2016. 9. 4), 성인 ADHD 건강보험 적용, 치료제 급여 확대. 중앙일보, http://news.joins.com/article/20548555에서 2019. 2. 28. 미소장
20 김진선, 김붕년, 조수처, 신민섭, 유희정, 김재원, 송동호, 신동원, 정유숙, 천근아, 신의진, 김예니, 하은혜(2010), ADHD 환자에 대한 OROS-Methylphenidate 약물치료의 부작용과 관련요인들에 대한 연구. 소아청소년의학과, 21(2), 63-71. 미소장
21 김호진(2016), 도박중독 자녀의 회복과정에 있어 부모 역할의 다의성- 부모와 자녀의 인식 비교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22 김형숙(2007), 근거이론을 이용한 ADHD 아동양육경험. 가족과 문화, 19(4), 193-222. 미소장
23 김형인, 김붕년, 조수철, 신민섭, 유희정, 김재원, 김지훈, 손정우, 신윤미, 정운선, 한덕현(2012), 12주 OROS-Methylphenidate 약물치료 후 ADHD 아동의 삶의질 변화. 소아청소년정신의학, 23(3), 103-108. 미소장
24 김혜선, 이은경, 홍인화, 안정숙, 유한익(2017), 약물치료중인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청소년에서 작업기억력 훈련이 임상증상과 신경심리소견에 미치는부가적 효과. 소아청소년정신의학, 28(2), 123-131. 미소장
25 김환석(2014), ‘의료화’에서 ‘생의료화’로. 과학기술연구, 14(1), 3-33. 미소장
26 곽윤경(2012),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증상수준에 따른 약물치료이행 관련요인. 정신간호학회지, 21(4), 321-332. 미소장
27 권경패(2020), 장애인형 활용에 따른 비장애 유아의 긍정적 장애인식 형성에 관한사례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28 권서영(2020), 건강보험 청구자료를 이용한 ADHD 약제의 처방 현황 분석.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29 권은미(2017), 약물치료를 받는 ADHD 아동 어머니의 내러티브 탐구. 부산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0 노상은(2016), 농노인의 장애 정체성: ‘분리’와 ‘통합’을 초월한 자기결정권을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31 두은미(2009), ADHD 아동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관련 생태학적 변인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2 민현경(2008), 부모교육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문제행동과 어머니의 양육태도, 양육스트레스 및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3 박건우(2016),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의 진단과 처방양상: 의료화 관점의해석.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4 박경아, 최성욱(2014), 놀이중심 인지행동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자기 통제력에미치는 효과. 심리행동연구, 6(2), 94-111. 미소장
35 박기정, 권국주, 이세정, 임연신, 정유숙, 김효원(2017),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아동의 약물치료가 운동협응력에 미치는 효과: 개방연구. 소아청소년정신의학, 28(4), 244-251. 미소장
36 박은진, 방수영, 서천석, 이영식, 황준원(2012),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에서불안장애 및 기분장애의 공존과 약물치료. 소아청소년정신의학, 23(S), 46-54. 미소장
37 박지영(2007), 노인자살생존자의 자살경험에 관한 연구: 모과 옹두리에서의 비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38 박재홍, 김붕년, 김재원, 김지훈, 손정우, 신동원, 신윤미, 양수진, 유한익, 유희정, 이소영, 천근아, 홍현주, 황준원(2011), 한국형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약물치료 알고리듬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소아청소년정신의학, 22(1), 25-37. 미소장
39 박현숙(2013). ADHD성향 아동을 위한 강점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사회과학연구, 29(2), 247-270. 미소장
40 보건복지부(2017), 정신건강복지법 시행 한달, 변화의 시작. 정책브리핑. 미소장
41 서지영, 박완주(2010), 학령기 ADHD 아동을 위한 비약물적 중재 프로그램의 경향과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정신간호학회지, 19(2), 117-132. 미소장
42 송민아, 홍현주(2013),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의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 사용. 대한정신약물학회지, 24, 11-17. 미소장
43 송승연(2017), 정신장애인과 Mad Studies. 한국장애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16-24. 미소장
44 송승연(2018), 정신장애인의 대안적 접근으로서 Mad Studies에 대한 탐색적 연구. 비판사회정책, 59, 297-345. 미소장
45 송윤조(2004).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 및 가족 특성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46 송지혜, 장병수, 김지원, 이지영, 신혜연, 오윤혜, 이건석, 김선우, 김연희, 권정아, 정유숙(2015),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에서 재활 승마와 약물치료의효과: 예비연구. 신경정신의학, 54(1), 112-118. 미소장
47 신경림, 장연집, 조영달, 김남선(2003), 『질적연구 용어사전』, 서울: 현문사. 미소장
48 신연희(2010), 아동의 주의력결핍과 과잉행동장애(ADHD)증상,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행동,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 및 자기 유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49 신지영, 양재원, 장원석, 홍성도(2007),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에서 OROSMethyphenidate의처방현황과 효능 및 부모 인식: 4주 동안의 다기관 관찰연구. 대한정신약물학회지, 18(1), 50-59. 미소장
50 신지혜, 윤덕순(2011),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ADHD 성향 아동의 문제 행동개선과사회적 기술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7, 137-158. 미소장
51 안동현, 강화연, 김붕년, 김지훈, 신동원(2007),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한국형 치료 권고안(1). 소아청소년정신의학, 23, 72-89. 미소장
52 안윤송(2008), 남자 중학생의 ADHD 증상과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과의 관계:부모 양육 행동과 자기개념의 매개효과 검증.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53 양광희(2010),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장애 아동의 문제행동 감소를 위한 치료 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의 적용.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4(3), 195-205. 미소장
54 양원영, 원희랑(2012), 부모교육 병행 미술치료가 ADHD경향 아동의 뇌기능지수, 사회적 유능성 및 어머니 양육태도에 미치는 효과. 미술치료연구, 19(1), 43-68. 미소장
55 염찬우, 은태경, 박훈섭, 이규영, 김의중, 주은정, 구영진(2014), 자연경과 관찰에 의한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에서 장기간의 약물치료가 성장에 미치는영향. 소아청소년정신의학, 25(2), 89-94. 미소장
56 오재분, 김건희(2018), ADHD로 진단된 학생의 장점에 관한 초등학교 교사의 관점. 특수교육재활과학 연구, 57(3). 127-149. 미소장
57 유기웅, 정종원, 김영석, 김한별(2012), 『질적 연구방법의 이해』. 서울: 박영사. 미소장
58 유윤정(1996), 주의력결핍과잉행동아의 외면성 증후-병발 주의력결핍과잉행동아 간의 심리사회적 변인 비교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미소장
59 윤주연, 김유환(2015), 국내 정서·행동장애와 자폐성 장애의 특수체육 프로그램및 중재에 대한 연구 동향 : 근거 기반의 실제를 중심으로. 특수 교육재활과학연구, 54(1), 173-196. 미소장
60 이경옥, 이재욱(2020), 국내 ADHD 자녀 부모 연구 동향 분석. 발달장애연구, 24(1), 1-30. 미소장
61 이상훈(2017), ADHD 진단에 대한 특수교육학적 고찰: DSM-5를 중심으로. 정서·행동장애연구, 33(4), 283-311. 미소장
62 이수진, 이미영(2010), 무용/동작 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주의 집중력에 미치는영향. 한국무용과학회지, 20, 1-13. 미소장
63 이에스더(2015), ADHD 아동 대상 음악치료 관련 국내 연구동향 분석. 예술교육연구, 13(1), 151-168. 미소장
64 이종구, 정태운, 조효구, 한덕현(2015), 재활승마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심리에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체육학회지, 23(4), 141-152. 미소장
65 이종운(2011), 장애인 복지론, 고양:공동체. 미소장
66 이주영(2007), ADHD 아동의 정서지능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67 이희경, 이동귀(2007), 긍정심리학적 인간이해와 변화. 인간연구, 13(1). 16-43. 미소장
68 앨런 프랜시스(2021), 정신병을 만드는 사람들-한 정신 의학자의 정신병 산업에 대한 경고. 김명남 역, 서울: 사이언스북스. 미소장
69 에이블뉴스, 2021. 11. 5, “장애인복지법 제15조 폐지 법안을 즉각 상정 및 의결하라". https://www.ablenews.co.kr/. 미소장
70 위영희, 장현숙, 전숙영, 정윤주, 진미경, 한미현, 한유진(2016), 아동상담. 서울: 학지사. 미소장
71 장 숙(2010), 성인 지적 장애인 남동생을 돌보는 비장애 누나들의 부양 경험.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72 전은수·조원일(2012), 시각장애인의 금융이해력에 관한 심층 분석-자립생활 패러다임을 통한 맥락적 이해를 바탕으로.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13(1), 19-40. 미소장
73 정경희, 안동현, 김정유, 김현정, 방양원(2014), 한국 소아청소년정신과 의사의 전문적 치료 현황. 소아청소년정신의학, 25(1), 6-13. 미소장
74 정명신(2001),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 아동어머니의 양육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75 정수경(2009), ADHD증상과 어머니의 양육 효능감의 관계에서 일상생활기능의 중재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76 정수경, 이숙정(2011), 심리운동과 감각통합치료가 ADHD 성향 아동의 감각조절력및 주의력에 미치는 영향. 특수아동 교육연구, 13(4), 331-356 미소장
77 정정숙(2018), 의료화를 통해 본 ADHD 아동 약물치료의 패러다임, 마이너리티연구. 1(1), 45-61 미소장
78 정정숙, 조원일(2021), 유튜브(YouTube)에 나타난 성인 ADHD 당사자의 인식 분석- Mad Studies 관점을 중심으로. 발달장애연구, 25(2), 113-135. 미소장
79 정은(2008), 장애진단방법론에 있어서 재역사회(Rehistorisierung)개념이 갖는 존재긍정적 의미 고찰. 특수교육학연구, 42(4), 27-42. 미소장
80 정은(2014), 정신장애와 민주사회. 기억과 전망 여름호 (통권 30호). 미소장
81 정은(2016), 장애진단과정에 Sacks의 신경심리방법론 적용의 중요성 - Oliver Sacks 추모 1주기를 기리며. 교육의 이론과 실천, 21(2), 81-104. 미소장
82 정은, 강아롬(2008),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ADHD)에 대한 교육적 이해.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9(3), 109-127. 미소장
83 조너선 리오(2018), ADHD, 질병과 마케팅 사이. SKEPTIC Korea, 14, 97-117. 미소장
84 조인희(2003),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와 공존 질환의 약물치료. 소아청소년정신의학, 14(36), 52. 미소장
85 최명희(2017),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아를 둔 어머니의 약물치료이행 지지행동구조모형.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86 하명숙(2020), 초등학교 ADHD 아동을 위한 중재적 개입 연구동향 및 질적지표 분석:국내 등재 학술지논문 중심으로 (2009년∼2020년).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학위논문. 미소장
87 한선화(2009), 아동과 어머니의 ADHD 성향과 어머니의 양육행동. 인하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88 황보람, 장혜정, 홍민하, 조성우, 반건호(2016), 19세미만 인구의 정신장애 진단분포; 국민건강보험 자료를 중심으로. 소아청소년정신의학, 27(2), 139-145. 미소장
89 American Paychiatric Association.(2013),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5®) 5th ed., Washigton, DC. 미소장
90 Barkley R. A(1990),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 Handbook for Diagnosis and Treatment, New York: Guilford Press. 미소장
91 Barkley R. A(1998),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 Handbook for Diagnosis and Treatment(2nd ed), New York: Guilford Press. 미소장
92 Bukstein O. G(2004), Satisfaction with treatment for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m J Manag Care, 10, 107-116. 미소장
93 Cresswell, M., & Spandler, H.,(2016), "Solidarities and tensions in mental health politics: Mad Studies and Psychopolitics", Critical and Radical Social Work, 4(3), 357-373. 미소장
94 Deborah K. Padgett.(2001), 『사회복지 질적 연구방법론』. 유태균 역 (2005), 서울:나남출판. 미소장
95 Dejong.(1981), Environmental Accessibility and Independent Living-Directions for Disability Policy. 미소장
96 Frances A.(2013), Saving normal: An indider's revolt atainst out-of-control psychiatric diagnosis, DSM-5, big pharma, and the medicalization of ordinary life, New York: William Morrow. 미소장
97 Glaser, B. G & Strauss, A. L.(1967), The discovery of Grounded Theory, Chicago:Aldine. 미소장
98 Hartmann, T.(2005),『에디슨의 유전자를 가진 아이들 [The edison trait: Saving the spirit of your non-conforming child]』 (최기철 역). 서울: 미래의 창,(윈저1997 출판). 미소장
99 Hong, Y.(2008), Teachers' perceptions of young children with ADHD in korea,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178(4), 399-414. 미소장
100 Honnefelder, L.(2001), Was Wissen Wir, Wenn Wir das menschliche Genom kennen? Ueber die Herausforderungen der Humangenomforschung, Information Pbilosopbie, 29(4). 7-18. 미소장
101 Honos-Webb, L.(2007),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ADHD 아동의 재능』(양돈규, 변명숙 옮김). 서울:시그마프레스 미소장
102 Jackson, D. & Peters, K.(2008), Use of drug therapy in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7, 2725-2732. 미소장
103 Jantzen, W.(2003), Neurnaler Darwinismus. Zur inneren Struktur der neurowissenschaftlichen Theorie von Gerald Edelmen, Mitteilungen der Luria-Gesellschaft, 1/ 2003, 21-41. 미소장
104 Jergen R.(2005), 『리틀몬스터[The Little Monster: Growing up with ADHD]』(조아라, 이순 역). 서울: 학지사, (원저 2004 출판). 미소장
105 Kim H-W, Kim E, Kim J-H, Park J, Bahn GH, Lee YJ, et al.,(2017), The Revised Korean Practice Parameter for the Treatment of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Ⅲ) - Pharmacological Treatment.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28(2), 70-83 미소장
106 Na, K. S., Lee, S. I., Hong, S. D.., Kim, J. H., Shim, S.H., Choi, J., ...& Park, J. H.(2013), Effect of osmotic-release oral system methylphenidate on learning skills in adolescents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n open-label study. International clinical psychopharmacology, 28(4), 184-192. 미소장
107 Nylund, D.(2008), 『허클베리 핀 길들이기』(김민화 역). 서울: 학지사. 미소장
108 Oliver, M.(2006), 『장애화의 정치』(윤삼호 역). 대구: 대구장애인연맹(대구DPI).(원출판년도 1984). 미소장
109 Palladino, L. J.(1999), 『에디슨 아동, 키워주고 살려주고』(문용린 역). 서울:세종서적. 미소장
110 Pierce, K.(2003),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disorder and comorbidity. Primary Psychiatry, 10, 69-76. 미소장
111 Sacks, O.(1985), The Man Who mistook His Wife For A Hat. 조석현 역(2006). 『아내를 모자로 착각한 남자』. 서울:이마고. 미소장
112 Stake, R. E.(1995), The art of case study research. sage publications. The MTA Cooperative Group,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 Multimodal Treatment Study of ADHD follow-up: changes in effectiveness and growth after the end of treatment, Pediatrics 2004;113:762-769. 미소장
113 Zola, I.(1981), Missing Pieces: A Chronicle of Living with Disabillity, Philadelphia:Temple University Press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