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그리스의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 BC384-BC322)는 그의 저서인 시학(Poetica) 문학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정리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은 원래 일련의 강의를 위해 정리한 강의노트로 쓰여졌다. 본론의 대부분이 비극에 집중되어 있고 희극, 서사시 그리고 기타 문학 형식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언급되어 있을 뿐이다. 그러나 비극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논의는 타의 추종을 불허 할 만큼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Edwin Wilson & Alvin Goldfarb, 『History of the Theatre』 김동욱 옮김, 『세계연극사』 (서울: HS MEDIA, 2010), 50쪽.) 에서 비극의 요소로 구성, 인물, 사상, 말, 음악, 장관을 들고 있다. 이는 희곡을 기반으로 전통적 연극을 구성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로서 오랜 세월이 지난 현재까지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현대에 이르러 우리는 연극을 연출, 연기, 무대, 의상, 조명 등의 다양한 예술이 어우러진 하나의 종합예술로 알고 있으며 복잡하고 다양한 예술적 요소만큼이나 연극의 실체에 대한 접근은 매우 피상적이거나 구체적이지 못하다.
희곡을 기반으로 하는 전통적 연극 공간에서 시노그라피(Scenography)는 1970년대 이후 이미지 연극(Image Theater) 브레이트 이후의 새로운 연극의 실재는 희곡, 사건진행 그리고 모방이라는 삼각체제의 해체로부터 시작한다. 그 결과 이미지연극, 춤연극, 공간연극, 구체연극, 스펙터클연극, 미디어연극 등이 서양무대에서 각기 독자적으로 혹은 혼합된 형태로 등장하였다. (김형기,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개념과 영향미학」, 푸른사상 엮음,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미학』 (서울: 푸른사상, 2011), 21쪽) 과 포스트드라마(Postdrama) ‘포스트드라마’라고 표기한 연극의 형태들이 연극적 관련 출판분야나 대중언론의 문화란에서 자리를 잡아가기 시작한 것은 1990년대부터이다. 원래 리처드 셰크너가 해프닝의 특징을 드러내기 위해 도입한 ‘포스트드라마적(post-dramatic) 이라는 용어는, 이것과 서로 범주를 구분하기 어려운 “퍼포먼스”라는 예술형식까지도 수렴하여 오늘날까지 다층적인 미학의 특징을 총괄적으로 표현하는 말로 사용되고 있다. (앞의 책 23쪽) 의 개념을 바탕으로 급속히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은 한참을 거슬러 올라가 19세기 말 고든 크레이그(Edward Gordon Craig 1872-1966) 크레이그는 연극이 독립예술이라고 생각했고 진정한 독립예술가는 행동, 대사, 선, 색,리듬을 화가, 조각가의 그것처럼 순수하게 용접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오스카 G 브로켓, 프랭클린 J 힐디 지음, 전준택, 홍창수 옮김, 『연극의 역사II』 (서울: 연극과 인간, 2005), 147쪽) 와 아돌프 아피아(Adolphe Appia 1862-1928) 상징주의적 무대화의 문제는 아돌프 아피아의 이론에서 아주 상세히 다뤄졌는데 그의 연구는 비록 영향력 있는 전집 제작이 너무 늦게 되는 바람에 세상에 인정받지는 못했다 할지라도 정확하게 동일한 뿌리들로부터 발생했으며 20세기 연극에 가장 중요한 공헌을 하게 되었다. (마빈 칼슨 지음, 김익두 외 옮김, 『연극의 이론』 (서울: 한국문화사, 2004), 368쪽) 가 기존의 제작 방식을 거부했던 상징주의(Symbolisme) 19세기 말의 프랑스 예술 중에서도 특히 문학을 중심으로 일어났던 예술운동. 낭만파 시인들을 지배한 사실주의에 대한 하나의 반동으로서 대두하였다. 상징주의의 본래 목적은 사실주의에 대해 정신주의 및 이상주의를 부흥시키려는데 있었다. (미술도서 편차연구회 엮음, 『미술 인명 용어 사전』 (서울: 우람, 1994), 310쪽) 무대미술에서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으며 현대에 이르러 시노그라피는 더욱 다양한 형식과 표현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현대공연예술을 연구하는데 있어 시노그라피의 역할과 표현은 기존의 아리스토텔레스 이래 내려오는 연극의 변화와 궤를 함께 한다고 볼 수 있다. 현대연극의 텍스트(Text) 텍스트의 개념은 특히 기호학에 있어서 기호로 구성된 존재라고 이해되는, 의미있는 하나의 구조이다. 텍스트의 의미는 그 기호의 선택과 조합을 지배하는 규칙으로 결정된다. 기호의 이 의미있는 조합을 지배하는 규칙은 관습적이어서 텍스트의 독자는 텍스트를 해석하기 위해 일정한 기술과 능력을 필요로 할 것이다. 다른 사회적, 문화적 배경을 가진 독자들은 다른 사회적으로 요구된 기술과 기대를 가지며 따라서 동일한 텍스트를 대단히 다른 방식으로 읽을 수 있다. 전형적인 텍스트는 물질적 존재를 갖지만 반드시 문자로 된 메시지인 것만은 아니다. 따라서 사진, 노래, 광고,비디오 또는 복장은 모두 텍스트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앤드류에드거, 피터 세즈윅 엮음, 박명진 외 옮김, 『문화이론사전』 (서울: 한나래 출판사, 2012), 471-472쪽) 로서 시노그라피는 기존의 텍스트에 대한 시각적 설명과 배경에 대한 미술적 표현을 뛰어넘어 예술적 상상력과 미학적 성취로서 독자적 장르를 제시하고 있다. 이는 현대공연예술에서 시노그라피가 연극의 텍스트를 시각적으로 재해석하는 것만이 아니라 독자적인 의미체계를 구성하는 새로운 표현방식을 시도함으로써 시노그라피가 단순히 극 예술의 일부분을 뛰어넘어 새로운 텍스트의 영역을 선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서구 연극에서 이미 오래전부터 활발하게 보여지는 연극에서의 탈 텍스트와 비언어적 요소의 중심에는 현대 시노그라피의 개념과 변화가 자리 잡고 있으며 서로 불가분의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근대 이후 변화하고 있는 시노그라피의 표현양식을 살펴보고 나아가 포스트드라마에 이르는 탈 텍스트와 텍스트로서의 시노그라피의 확장을 고찰함으로서 비언어적 연극 공간으로서 시노그라피의 새로운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다.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사회적 애도하기’로서의 퍼포먼스 = Performance as 'social mourning' : focused on the concept of performativity of Erika Fischer-Lichte : 에리카 피셔 리히테(Erika Fischer-Lichte)의 수행성 개념을 중심으로 | 이경성 | p. 5-39 | ||
배우에 대한 생성존재론적 해명 = Becoming-ontologic interpretation of actor : the actor's body on Gilles Deleuze's ‘machine concept’ point of view : 질 들뢰즈의 ‘기계’ 개념으로 본 배우의 신체 | 김미현, 최찬열 | p. 41-64 | ||
연극의 텍스트로서 시노그라피 = Scenography as a text in theater | 임일진 | p. 65-87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봉하일 현대무대미술의 표현양식 , 연구 , 상명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4. | 미소장 |
2 | 김은영, 무대디자인의 미학적 원리에 관한 연구 : 상징주의를 중심으로 ,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0. | 미소장 |
3 | 유림, 이미지의 연극 공연 텍스트 창출방법에 대한 연구 ,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0년. | 미소장 |
4 | 김정란, 이미지 언어에 기초한 무대미술 연구 , 상명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4년. | 미소장 |
5 | 김중효, 연극의 은유적 표현과 시각화에 관한 연구 , <한국연극학> 51(2013). | 미소장 |
6 | 오세권, 텍스트 해석을 통한 후기모더니즘 미술의 비평적 접근 , 홍익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4. | 미소장 |
7 | 신현숙, 윤학로 역, Patrice Pavis, 『연극학 사전』, (서울: 현대미학사, 1999). | 미소장 |
8 | 김형기, 창극 수궁가의 포스트드라마적 변신 , <괴테연구> 25(2012). | 미소장 |
9 | 김형기, 창극 수궁가의 포스트드라마적 변신과 그 함의-혹은 아힘 프라이어의 그림연극의 미학 , (국제 학술심포지움, 2012). | 미소장 |
10 | 김형기, 일상의 퍼포먼스화-혹은 뉴 다큐멘타리 연극 , 푸른사상 엮음,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미학』 (서울: 푸른사상, 2011). | 미소장 |
11 | 김형기,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개념과 영향미학 , 푸른사상 엮음,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미학』 (서울: 푸른사상, 2011). | 미소장 |
12 | 김기란, 현대공연예술의 시노그라피 고찰 , <드라마연구> 42(2014). | 미소장 |
13 | 남상식, 그림연극과 새로운 감성의 탐색 : 프라이어의 연출에 나타난 회화적 시간과 형이상학적 공간 , <한국연극학> 30(2006). | 미소장 |
14 | 앤드류 에드거, 피터 세즈윅 엮음, 박명진 외 옮김, 『문화이론사전』(서울: 한나래 출판사, 2012). | 미소장 |
15 | 미술도서 편차연구회 엮음, 『미술 인명 용어 사전』(서울: 우람, 1994). | 미소장 |
16 | 오스카 G 브로켓, 프랭클린 J 힐디 지음, 전준택, 홍창수 옮김, 『연극의 역사II』(서울: 연극과인간, 2005). | 미소장 |
17 | 마빈 칼슨 지음, 김익두 외 옮김, 『연극의 이론』(서울: 한국문화사, 2004). | 미소장 |
18 | 신현숙, 윤학로 역, Patrice Pavis, 『연극학 사전』(서울: 현대미학사, 1999). | 미소장 |
19 | Edwin Wilson, & Alvin Goldfarb, 『History of the Theatre』 김동욱 옮김, 『세계연극사』(서울: HS MEDIA, 2010). | 미소장 |
20 | Richard Schechner, 『The End of Humanism : Writings on Performance』(New York: Performing Arts Journal Publications, 1982).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8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