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를 이용한 '네트워크 기반 분석 신약 개발'은 어떤 미래를 가지고 올까?
|
글: 배진건
|
p. 16-17
|
|
|
|
목적과 수단 vs 주(主)와 부(副)
|
글: 김선진
|
p. 18-19
|
|
|
|
글로벌 패권경쟁에 노출된 바이오
|
글: 김태윤
|
p. 20-23
|
|
|
|
RNA 치료제 기술. 1, mRNA 백신·치료제
|
글: 이동기
|
p. 24-27
|
|
|
|
면역 기억 반응과 백신 효능
|
글: 이승우
|
p. 28-31
|
|
|
|
삶과 죽음의 지배자, 미토콘드리아
|
글: 김순하
|
p. 32-35
|
|
|
|
세계 희귀질환의 날, 행동하는 희귀질환 환자들
|
글: 조인수
|
p. 36-39
|
|
|
|
최신 임상 설계 트렌드 : 키트루다 사례로 본 심리스·적용형 임상시험
|
글: 윤나리
|
p. 40-43
|
|
|
|
소부장, 어디까지 왔을까?
|
글: 김형철
|
p. 46-47
|
|
|
|
"MSD와 계약 이끈 동결보존배지 기술, 글로벌 진출 교두보될 것" : GC셀
|
글: 최지원
|
p. 48-49
|
|
|
|
"일회용 세포배양시스템 수요 증가, 올해 큰 폭 성장 기대" : 마이크로디지탈
|
글: 최지원 ; 사진: 신경훈
|
p. 50-51
|
|
|
|
"안전성 높인 화학조성배지, 화장품·배양육 시장까지 나선다" : 엑셀세라퓨틱스
|
글: 최지원 ; 사진: 신경훈
|
p. 52-53
|
|
|
|
"올해 삼바 4공장에 추가 납품, 매출 100억 원 달성할 것" : 바이오 세정제 국산화한 바이옥스
|
글: 최지원
|
p. 54-55
|
|
|
|
"독보적인 세포계수기 기술로, 올해 미국 진출 가시화" : 나노엔텍
|
글: 최지원 ; 사진: 김병언
|
p. 56-57
|
|
|
|
의약품 수율 결정하는 '멤브레인', 국산화에 도전 : 움틀
|
글: 최지원 ; 사진: 허문찬
|
p. 58-59
|
|
|
|
GC셀이 선택한 기업 셀세이프, 세균 진단제품 국산화 나선다
|
글: 최지원
|
p. 60-61
|
|
|
|
"국내 최초 CO2 인큐베이터 개발할 것… 세포치료제와 동반성장" : 제이오텍
|
글: 최지원
|
p. 62-63
|
|
|
|
써모피셔·싸토리우스·머크… 해외 바이오 소부장 기업 톱3 분석
|
글: 이명선
|
p. 65-67
|
|
|
|
국내 바이오 소부장 산업, 정책·국산화 필요성
|
글: 이균민
|
p. 68-69
|
|
|
|
1.2조 '빅딜'로 위상 달라진 에이비엘바이오
|
글: 박인혁 ; 사진: 김기남
|
p. 72-75
|
|
|
|
에이비엘바이오, '이중항체' 기반 추가 기술이전이 기대된다
|
글: 강하나
|
p. 76-77
|
|
|
|
이중항체의 현재와 가능성
|
글: 이남경
|
p. 78-81
|
|
|
|
ADC 플랫폼 기업에서 신약개발 회사로 변신, 레고켐바이오 [인터뷰]
|
[인터뷰이]: 김용주 ; [취재]: 서근희 ; 글·사진: 한재영
|
p. 86-91
|
|
|
|
'2030년 글로벌 혁신신약 2종 출시' 목표 내건 LG화학
|
글: 이주현 ; 사진: 김병언
|
p. 82-85
|
|
|
|
"세계 최초로 다이어트 스텐트 내놓을 것" : 엠아이텍
|
글: 이도희 ; 사진: 김기남
|
p. 92-93
|
|
|
|
'언드러거블(undruggable)' 타깃 신약 개발의 희망, 일리아스바이오로직스 [인터뷰]
|
[인터뷰이]: 최철희 ; [취재]: 정재갑 ; 글·사진: 한재영
|
p. 94-97
|
|
|
|
"14일 장기 심전도 검사로 부정맥 100% 검출" : 에이티센스
|
글: 이선아
|
p. 98-99
|
|
|
|
美 중앙은행의 급진적 출구전략에 '바이오 주가' 무너질까
|
글: 한상춘
|
p. 102-105
|
|
|
|
HK이노엔, '위궤양제' 세대 교체의 중심에 있는 기업
|
글: 오승택
|
p. 110-111
|
|
|
|
지놈앤컴퍼니, 연말 유효성 검증되면 주가 상승으로 이어질 것
|
글: 하태기
|
p. 112-113
|
|
|
|
이동형 인공지능 진단 플랫폼 기업 : 노을
|
글: 박인혁
|
p. 114-115
|
|
|
|
2021년 벤처투자 총결산 역대 벤처투자 실적 신기록
|
글: 김태호
|
p. 116-117
|
|
|
|
과감하게 냉정하라 : 앵커 투자자 자처하는 과감한 승부사, 박중건 LB인베스트먼트 부사장
|
글: 이우상 ; 사진: 신경훈
|
p. 118-121
|
|
|
|
왓슨헬스 매각한 IBM
|
글: 이지현
|
p. 122-123
|
|
|
|
대사질환 파이프라인 확대한 릴리
|
글: 이지현
|
p. 124
|
|
|
|
AI 기반 바이오신약 공동개발 잇따라
|
글: 이지현
|
p. 125
|
|
|
|
UCB, 2조 원 들여 후속 뇌전증 치료제 확보
|
글: 한민수
|
p. 126-127
|
|
|
|
'JP모간 헬스케어 콘퍼런스 2022'에서 주목한 기술은?
|
글: 허혜민
|
p. 128-129
|
|
|
|
바이오 기업의 교과서, 암젠
|
글: 장세훈
|
p. 130-131
|
|
|
|
美 최대 의료 서비스 기업에서 디지털헬스 회사로 성장한 유나이티드헬스그룹
|
글: 김충현
|
p. 132-133
|
|
|
|
유전자 편집 '퀀텀점프' 시킬 VLP 개발돼 크리스퍼 편집 효율 60%대
|
글: 최지원
|
p. 134-135
|
|
|
|
닥터 AI, 의료 인공지능의 혁신을 이끌다
|
글: 김승환
|
p. 140-143
|
|
|
|
의료행위는 특허로 보호가 가능할까?
|
김정현
|
p. 144-145
|
|
|
|
오스템임플란트 횡령 사태를 막기 위한 방어선 만들기
|
글: 노원
|
p. 146-147
|
|
|
|
완벽해보였던 그 의약품, 왜 실패했을까?
|
글: 권진숙
|
p. 148-149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