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정보 처리와 정보 수집의 전문성 사이에서 균형 찾아야 : 한겨레 몰고 사태로 본 기자의 책임, 데스크의 책임 / 안수찬 1

[머리글] 1

뉴스룸 갈등, 데스크의 혼란 2

영미식과 독일식이 뒤섞인 한국의 뉴스룸 3

한국 언론에 부족한 정보 처리의 전문성 4

데스크가 갖춰야 할 전문성의 핵심 5

원활한 소통을 위한 업무 표준 6

참고문헌 6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편향을 노골적으로 드러낸 대선 보도 : 제20대 대선 보도 비평 김춘식 p. 8-11

보기
<여론조사를 조사하다:여론M>으로 본 여론조사 보도의 가능성 : 선거 여론조사 보도의 대안을 찾다 장슬기 p. 12-16

보기
승패 논하는 스포츠 중계 벗어나 후보자 질적 조명하는 다큐멘터리적 접근 필요 : 지방선거 보도 어떻게 해야 하나 구교태 p. 17-19

보기
취재 허가제 개선해 국민 알 권리 보장해야 : 전쟁 보도의 어려움과 그 현실 김영미 p. 22-25

보기
전쟁 보도 속 비주얼 포렌식 스토리텔링으로 소셜미디어 정보 검증 강화하는 전통 미디어 : 소셜미디어 활용 전쟁 보도 양상 하재식 p. 26-29

보기
전쟁 보도 어려움 속에서도 허위 정보 거르는 언론의 순기능 강조돼야 : 전쟁 보도의 긍정적 변화, 그러나 여전한 어뷰징 박지은 p. 30-33

보기
국경 없는 기자들의 희생, 국경을 나누는 미디어전 : 해외 언론은 우크라이나 사태를 어떻게 보도했나 김지현 p. 34-37

보기
정보 처리와 정보 수집의 전문성 사이에서 균형 찾아야 : 한겨레 몰고 사태로 본 기자의 책임, 데스크의 책임 안수찬 p. 39-44

보기
문제는 '어떤' 언론인이냐는 것 : 언론인의 정치 참여 어떻게 볼 것인가 이명재 p. 45-49

보기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주목받은 스타링크 위성 인터넷의 새로운 가능성 : 스타링크가 언론계에 불러올 변화 이덕주 p. 50-54

보기
언론 공정성과 시청자의 알 권리 위해 미디어 비평 시민에게 돌려줘야 : <질문하는 기자들 Q> 종영에 부쳐 채영길 p. 55-59

보기
이렇게 싸우고 또 싸우면 결국 무엇이 남는가 [서평] 이준웅 [평] p. 75-78

보기
설득과 협치의 미디어 개혁 조정자로서의 역할 기대 : 차기 정부에 바라는 미디어 정책 방향 김고은 p. 79-81

보기
방송사와 전문가의 깊이가 시청자의 정보력을 좌우한다 : 코로나19 대담 방송을 경험하며 이혁민 p. 83-85

보기
원칙 바로 세우고 끈질기게 달라붙어야 : 팩트체크 하우투 정재철 p. 86-89

보기
그의 과거완료형 경험, 공영미디어 발전 위한 현재진행형 자료 돼야 : 정찬형 YTN 전 대표이사 정준희 p. 90-95

보기
트위터 인수 시도한 일론 머스크, 그 배경과 의미는 : 미국 최재원 p. 97-100

보기
대놓고 말하지 않는 끄자웬(Kejawen) 문화 : 인도네시아 배동선 p. 101-106

보기
미디어 집중 개선책 발표한 상원의회, 공영방송 독립성 강화하고 미디어 집중 개선해야 : 프랑스 최지선 p. 107-111

보기
인터넷 공간에서의 취재 없는 기사가 야기하는 문제들 김수아 p. 113-115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