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소구치부에 발생한 치외치의 치료방법, 결과, 시기, 각 치료방법의 실패시 임상 증상과 징후 등에 대해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에는 151명의 환자와 417개의 치아가 포함되었다. 치료방법에는 예방적 치료인 레진 수복, 직접 치수복조와 근관 치료인 치수재혈관화, 치근단 형성술, 전통적인 근관치료가 포함되었다.
예방적 레진 수복은 치외치 결절이 온전한 상태에서 성공적인 결과를 보였으며, 결절이 파절된 경우에도 효과적이었다. 직접 치수복조는 치근단 병소 없이 저작통만 존재할 때 임상 증상의 해소와 치근 성장을 보였다.
치수 재혈관화, 치근단 형성술, 전통적인 근관치료 시 가장 많이 나타난 치료 전 상태는 치근단 병소이었다. 치수 재혈관화는 대부분에서 성공적인 결과를 보였다. 하지만 일부에서 치근 길이 또는 치근벽 두께 증가가 나타나지 않은 경우가 있었다. 치근단 형성술과 전통적인 근관치료는 모두 효과적이었다.
치외치의 예방적 치료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 치외치가 교합력을 받지 않을 때이거나 온전한 결절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레진 수복이 시행되어야 한다. 결절이 파절된 경우 성공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치근발육단계와 치수 상태가 고려되어야 한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Thomas MS, Ankita S, Reddy KS : Dens evaginatus-A hidden pathway to the dental pulp. Int J Clin Dent, 12:299-305, 2019. | 미소장 |
2 | Stewart RE, Dixon GH, Graber RB : Dens evaginatus (tuberculated cusps): genetic and treatment considerations.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46:831-836, 1978. | 미소장 |
3 | Yip WK : The prevalence of dens evaginatus.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38:80-87, 1974. | 미소장 |
4 | Oehlers FAC : The tuberculated premolar. Dent Pract Dent Rec , 6:144-148, 1956. | 미소장 |
5 | Sim TPC : Management of dens evaginatus: evaluation of two prophylactic treatment methods. Dent Traumatol, 12:137-140, 1996. | 미소장 |
6 | Merrill RG : Occlusal anomalous tubercles on premolars of Alaskan Eskimos and Indians.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 17:484-496, 1964. | 미소장 |
7 | Oehlers FA : Dens evaginatus (evaginated odontome). Its structure and responses to external stimuli. Dent Pract Dent Rec, 17:239-244, 1967. | 미소장 |
8 | Levitan ME, Himel VT : Dens evaginatus: literature review, pathophysiology, and comprehensive treatment regimen. J Endod , 32:1-9, 2006. | 미소장 |
9 | Ju Y : Dens evaginatus: a difficult diagnostic problem? J Clin Pediatr Dent , 15:247-248, 1991. | 미소장 |
10 | Dankner E, Harari D, Rotstein I : Conservative treatment of dens evaginatus of anterior teeth. Dent Traumatol, 12:206-208, 1996. | 미소장 |
11 | Richardson DS, Knudson KG : Talon cusp: a preventive approach to treatment. J Am Dent Assoc , 110:60-62, 1985. | 미소장 |
12 | Koh ET, Ford TP, Torabinejad M, et al . : Prophylactic treatment of dens evaginatus using mineral trioxide aggregate. J Endod , 27:540-542, 2001. | 미소장 |
13 | Reynolds K, Johnson JD, Cohenca N : Pulp revascularization of necrotic bilateral bicuspids using a modified novel technique to eliminate potential coronal discolouration: a case report. Int Endod J , 42:84-92, 2009. | 미소장 |
14 | Wen PH, Liou JU, Duh BR : Apexification of nonvital immature mandibular premolars using two different techniques. J Dent Sci , 4:96-101, 2009. | 미소장 |
15 | Chen JW, Huang GTJ, Bakland LK : Dens evaginatus: Current treatment options. J Am Dent Assoc, 151:358-367, 2020. | 미소장 |
16 | Demirjian A, Goldstein H, Tanner JM : A new system of dental age assessment. Human Biol , 45:211-227, 1973. | 미소장 |
17 | European Society of Endodontology : Quality guidelines for endodontic treatment: consensus report of the European Society of Endodontology. Int Endod J , 39:921-930, 2006. | 미소장 |
18 | Bose R, Nummikoski P, Hargreaves K : A retrospective evaluation of radiographic outcomes in immature teeth with necrotic root canal systems treated with regenerative endodontic procedures. J Endod, 35:1343-1349, 2009. | 미소장 |
19 | Law AS : Considerations for regeneration procedures. Pediatr Dent , 35:141-152, 2013. | 미소장 |
20 | Yang J, Zhao Y, Qin M, Ge L : Pulp revascularization of immature dens invaginatus with periapical periodontitis. J Endod , 39:288-292, 2013. | 미소장 |
21 | Suksamai S : The prevalence of dens evaginatus and apical periodontitis in dens evaginatus in a group of Thai school children. CU Dent J , 31:43-52, 2008. | 미소장 |
22 | Tratman FK : An unrecorded form of the simplest type of dilated composite odontome. Br Dent J , 86:271-275, 1949. | 미소장 |
23 | Yong SL : Prophylactic treatment of dens evaginatus. J Dent Child , 41:289-292, 1974. | 미소장 |
24 | Bazan MT, Dawson LR : Protection of dens evaginatus with pit and fissure sealant. J Dent for Child , 50:361-363, 1983. | 미소장 |
25 | Hill FJ, Bellis WJ : Dens evaginatus and its management. Br Dent J , 156:400-402, 1984. | 미소장 |
26 | Shey Z, Eytel R : Clinical management of an unusual case of dens evaginatus in a maxillary central incisor. J Am Dent Assoc , 106:346-348, 1983. | 미소장 |
27 | Bedi R, Pitts NB : Dens evaginatus in the Hong Kong Chinese population. Dent Traumatol , 4:104-107, 1988. | 미소장 |
28 | Iwaya SI, Ikawa M, Kubota M : Revascularization of an immature permanent tooth with apical periodontitis and sinus tract. Dent Traumatol , 17:185-187, 2001. | 미소장 |
29 | Kawata T, Tanne K : Early detection of dens evaginatus appearing on the premolars and clinical management: histological study. J Clin Pediatr Dent , 26:199-201, 2003. | 미소장 |
30 | Kim JC : I. Pulp capping. JKDA , 25:1001-1004, 1987. | 미소장 |
31 | Tziafas D : The future role of a molecular approach to pulp-dentinal regeneration. Caries Res , 38:314-320, 2004. | 미소장 |
32 | Stecker S, DiANGELIS AJ : Dens evaginatus: a diagnostic and treatment challenge. J Am Dent Assoc , 133:190-193, 2002. | 미소장 |
33 | Echeverri EA, Wang MM, Chavaria C, Taylor DL : Multiple dens evaginatus: diagnosis, management, and complications:case report. Pediatr Dent , 16:314-317, 1994. | 미소장 |
34 | Mulyawati E, Santosa P, Nugraheni T : Revascularization of nonvital immature incisor with asymptomatic apical periodontitis. Sci Dent J, 4:134-141, 2020. | 미소장 |
35 | Jeong HK, Lee NY, Lee SH : A retrospective study of critical success factors in regenerative endodontic treatment. J Korean Acad Pediatr Dent , 44:47-55, 2017. | 미소장 |
36 | Bezgin T, Sönmez H : Review of current concepts of revascularization/revitalization. Dent Traumatol , 31:267-273, 2015.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