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심부체강창상피복재 사용 후 발생한 안구 내 염증 = Intraocular inflammation after use of anti-adhesion agents / 임재완 ; 임준현 ; 김창주 ; 이승욱 ; 이상준 1

[요약] 1

서론 1

대상과 방법 2

결과 2

고찰 4

References 5

국문초록 5

초록보기

목적: 키토산이 포함된 심부체강창상피복재(유착방지제) 사용 후 발생한 안구 내 염증 사례들을 경험하여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17년 1월 1일부터 2018년 12월 31일까지 고신대학교복음병원에서 외과 및 산부인과 수술 중 유착방지제(Mediclore®, CGbio, Seongnam, Korea)를 사용하고 안구 충혈 및 통증으로 안과 진료를 본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2,694명 중 14명(0.51%)이 수술 후 안구 충혈 및 통증으로 진료를 보았다. 시행받은 수술은 갑상선절제술, 복강경담낭절제술, 자궁부속기절제술 등이었다. 안구 충혈 및 통증은 술 후 평균 1.50일째 발생하였다. 전방염증세포는 SUN Working Group 분류를 수치화하였을 때 증상 발생 시 평균 0.53 ± 0.57이었고 2주 뒤부터는 보이지 않았다. 14명 중 4명에서 귀연골염 증상이 나타났다. 평균logMAR 시력은 증상 발생 시, 발생 후 4주 각각 0.01 ± 0.10, 0.03 ± 0.17이었다. 평균 안압은 증상 발생 시, 발생 4주일 후 각각15.10 ± 5.25, 13.83 ± 3.54 mmHg였다. 평균 적혈구침강계수는 54.50 ± 31.98 mm/hour로 상승되어 있었다. 증상 발생 후점안 항생제, 점안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 점안 스테로이드 등을 사용하였으며 1개월 후 안구 충혈 및 통증은 없었다.

결론: 키토산이 포함된 유착방지제 사용 후 발생한 안구 내 염증은 서로 연관성이 있어 보이며, 안약 사용 후 수주 내 호전을 보였다. 명확한 발생 기전을 밝히기 위해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Effect of alcohol on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expression in retinal pigment epithelium cells and angiogenesis = 망막색소상피세포와 혈관 신생에서 혈관내피성장인자 발현에 대한 알코올의 영향 Soyeon Jung, Hee Seung Chin p. 1-8

보기
불응성 당뇨황반부종에서 빛간섭단층촬영혈관조영의 특징 고찰 =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ngiography in refractory diabetic macular edema 이학준, 황덕진 p. 9-15

보기
심부체강창상피복재 사용 후 발생한 안구 내 염증 = Intraocular inflammation after use of anti-adhesion agents 임재완, 임준현, 김창주, 이승욱, 이상준 p. 16-20

보기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macula after removing the internal limiting membrane = 내경계막이 제거된 황반에서 황반지형도의 특성 So Hee Kim, Jae Jung Lee, Sung Who Park, Ik Soo Byon, Ji Eun Lee p. 21-26

보기
망막앞막 수술 후 나타난 내망막패임 면적과 관련된 요소들 = Factors related to total extent of inner retinal dimples after epiretinal membrane surgery 김현연, 이동훈, 김윤영, 윤숙현, 이근우 p. 27-34

보기
Necessity of inpatient treatment for patients undergoing pars plana vitrectomy for rhegmatogenous retinal detachment = 열공망막박리로 섬모체평면부 유리체절제술 수술을 받은 환자들의 입원 치료 필요성 Ji Woong Park, Yu Cheol Kim, Kyung Tae Kang p. 35-42

보기
플랜지를 사용한 공막내 고정술에서 인공수정체 도수 공식의 정확성 비교 = Comparison of intraocular lens power formula accuracy for flanged intrascleral intraocular lens fixation 천지웅, 이영창, 김덕배, 정무오 p. 43-48

보기
특발성 황반부 모세혈관 확장증 Ⅱ형 환자의 황반부 신경절세포-내망상층 두께 = Macular GCIPL thickness in idiopathic macular telangiectasia type Ⅱ 박범찬, 정다은, 김성택 p. 49-53

보기
Multifocal retinal and ciliary artery occlusion with submacular hemorrhage following cosmetic facial filler injection = 미용 안면 필러 주사 시술 후 발생한 망막하출혈을 동반한 다발성 망막동맥폐쇄의 증례 보고 Chul Hee Lee, Hansang Lee, Seung Min Lee, Min Kim p. 54-58

보기
Retinal vasculitis following intravitreal brolucizumab injection : 유리체강내 브롤루시주맙 주사시술 후 발생한 망막 혈관염 : 국내 첫 보고 / the first report in South Korea Chul Hee Lee, Jinsuk Chun, Seung Min Lee, Hyun Goo Kang, Junwon Lee, Min Kim p. 59-64

보기

참고문헌 (1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Jabs DA, Nussenblatt RB, Rosenbaum JT, Standardization of Uveitis Nomenclature (SUN) Working Group. Standardization of uveitis nomenclature for reporting clinical data. Results of the first international workshop. Am J Ophthalmol 2005;140:509-16. 미소장
2 Moorthy RS, Moorthy MS, Cunningham ET Jr. Drug-induced uveitis. Curr Opin Ophthalmol 2018;29:588-603. 미소장
3 Park H, Baek S, Kang H, et al. Biomaterials to prevent post-operative adhesion. Materials (Basel) 2020;13:1-26. 미소장
4 Aref‐Adib M, Phan T, Ades A. Preventing adhesions in laparoscopic surgery: the role of anti-adhesion agents. Obstet Gynaecol 2019;21:185-92. 미소장
5 Yu MM, Jiang TF, Wang YH, et al. Identification and analysis of an impurity inducing clinical adverse effect in anti-adhesion carboxymethyl chitosan products. J Pharm Biomed Anal 2013;85:21-7. 미소장
6 Jang MK, Nah JW. Characterization of chitin and chitosan as a biomedical polymer. J Korean Ind Eng Chem 2008;19:457-65. 미소장
7 Ngo DH, Vo TS, Ngo DN, et al. Biological effects of chitosan and its derivatives. Food Hydrocoll 2015;51:200-16. 미소장
8 Waibel KH, Haney B, Moore M, et al. Safety of chitosan bandages in shellfish allergic patients. Mil Med 2011;176:1153-6. 미소장
9 McCune WJ, Schiller AL, Dynesius-Trentham RA, Trentham DE. Type II collagen-induced auricular chondritis. Arthritis Rheum 1982;25:266-73. 미소장
10 Yang H, Peng L, Jian M, Qin L. Clinical analysis of 15 patients with relapsing auricular polychondritis. Eur Arch Otorhinolaryngol 2014;271:473-6.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