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권경미, 「들병이와 유사가족 공동체 담론-김유정의 소설을 중심으로-」, 『우리문학연구』 66, 우리문학회, 2020. | 미소장 |
2 | 권장규, 「토지로부터 분리된 농민과 투기자본주의 주체 사이-김유정 소설의 탈주하는 하층민들」, 『인문과학연구』 55,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 미소장 |
3 | 권장규, 「가부장 권력과 화폐 권력의 결탁과 경합: 김유정 소설을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 42, 한국여성문학학회, 2017. | 미소장 |
4 | 김근호, 「김유정 농촌 소설에서 화자의 수사적 역능」, 『현대소설연구』 50, 한국현대소설학회, 2012. | 미소장 |
5 | 김미현, 「숭고의 탈경계성 -김유정 소설의 “아내 팔기” 모티프를 중심으로」, 『한국문예비평연구』 38,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2. | 미소장 |
6 | 김유정, 전신재 엮음, 『원본 김유정 전집』, 강, 2012. | 미소장 |
7 | 김유정학회, 『김유정 문학 콘서트』, 소명출판, 2020. | 미소장 |
8 | 김유정학회, 『김유정 문학 다시 읽기』, 소명출판, 2019. | 미소장 |
9 | 김유정학회, 『김유정 문학의 감정미학』, 소명출판, 2018. | 미소장 |
10 | 김유정학회, 『김유정의 문학산맥』, 소명출판, 2017. | 미소장 |
11 | 김윤상, 「근대의 이념적 지표들과 원칙적 의미」, 『제13회 김유정 가을학술대회 논문집』, 김유정문학회, 2021. | 미소장 |
12 | 너새니얼 호손⋅천승걸 옮김, 『너새니얼 호손 단편선』, 민음사, 2012. | 미소장 |
13 | 데릭 젠슨⋅이현정 옮김, 『혐오와 문명』, 아고라, 2020. | 미소장 |
14 | 박양근, 「너새니얼 호손의 단편에 나타난 과학의 이원성」, 『인문사회과학연구』 17-3,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6. | 미소장 |
15 | 서세림, 「이상 문학에 나타난 ‘안해’의 의미 고찰」, 『이화어문논집』, 이화어문학회, 2016. | 미소장 |
16 | 신제원, 「김유정 소설의 가부장적 질서와 폭력에 대한 연구」, 『국어국문학』175, 국어국문학, 2016. | 미소장 |
17 | 심재욱, 「김유정 문학의 미학적 정치성 연구」, 『김유정과 문학콘서트』, 소명출판사, 2020. | 미소장 |
18 | 아슈만 토마르, 「김유정과 쁘렘짠드 소설의 여성상 비교 연구-‘매춘’의 양상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9, 167-198쪽. | 미소장 |
19 | 양문규, 「김유정과 리얼리즘, 바흐친, 탈식민주의」, 『김유정과 문학 콘서트』, 소명출판, 2020. | 미소장 |
20 | 오태호, 「김유정 소설에 나타난 ‘연민의 서사’ 연구」, 『국어국문학』 184, 국어국문학, 2018. | 미소장 |
21 | 유인순, 『김유정을 찾아 가는 길』, 솔과학, 2003. | 미소장 |
22 | 유인순, 『정전 김유정 전집1,2』, 소명출판, 2021. | 미소장 |
23 | 이 경, 「김유정 소설에 나타난 친밀성의 거래와 여성주체」, 『여성학연구』 28-2,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18. | 미소장 |
24 | 이만영, 「김유정의 ‘귀여운 소녀’번역 저본의 발굴과 그 의미」, 『김유정의 문학산맥』, 소명출판. | 미소장 |
25 | 이재선, 『현대소설의 서사주제학』, 문학사상사, 2007. | 미소장 |
26 | 이태숙, 「김유정 소설의 근대성과 여서의 신체」, 『김유정 문학의 감정미학』, 소명출판사, 2018. | 미소장 |
27 | 장경욱, 「너새니얼 호손의 「반점」에 나타난 미국의 이상주의 비판」, 『영어영문학연구』 29-2, 대한영어영문학회, 2003. | 미소장 |
28 | 전신제 외, 『김유정 문학과 문화충돌』, 소명출판, 2021. | 미소장 |
29 | 정의진, 「김유정 문학의 한국적 근대성-프랑스 지역주의 문학과의 비교연구 시론」, 『제13회 김유정가을학술대회 논문집』, 김유정문학회, 2021. | 미소장 |
30 | 제러미 월드론⋅홍성수⋅이소영 옮김, 『혐오표현, 자유는 어떻게 해악이 되는가』, 이후, 2017. | 미소장 |
31 | 조비, 「1930년대 한, 중 매춘 모티프 소설에 나타난 비극적 가정서사 비교 연구-「소낙비」와 「노예가된 어머니」를 중심으로」, 『춘원연구학보』, 춘원연구학회, 2019, 131-157쪽. | 미소장 |
32 | 주영하 외, 『조선시대 책의 문화사』, 휴머니스트, 2008. | 미소장 |
33 | 차희정, 「김유정 소설에 나타난 한탕주의 욕망의 실제」, 『현대소설연구』 64, 한국현대소설학회, 2016. | 미소장 |
34 | 천연희, 「너새니얼 호손의 「반점」에 나타난 “좀 더 심오한 지혜”」, 『영어영문학연구』 37-2, 대한영어영문학회, 2011. | 미소장 |
35 | 최배은, 「김유정의 <두포전>과 동아시아 아기장수 설화」, 『김유정과 문학 콘서트』, 소명출판, 2020. | 미소장 |
36 | 한상무, 「고상한 여성상/타락한 여성상: 김유정의 두 작품에 그려진 여성상」, 『어문학보』33, 강원대학교 국어교육과, 2013. | 미소장 |
37 | 한우리, 「너새니얼 호손의 반점 에 나타난 인종, 젠더, 국가」, 『미국학논집』 53-1, 한국아메리카학회, 2021. | 미소장 |
38 | 홍기돈, 「김유정 소설의 아나키즘 면모 연구-원시적 인물 유형과 들병이 등장 작품을 중심으로」, 『김유정 문학과 문화충돌』, 소명출판사, 2021.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5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