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김상균(2021). “메타버스 미디어 플랫폼과 관련 표준화 동향”, 방송과미디어 26(3),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41-49. |
미소장 |
2 |
김성조(2018). “증강현실(AR)을 이용한 언어 교육의 방향성 제안”,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48,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1-27. |
미소장 |
3 |
류선숙, 김지혜, 김민경, 정미경(2020). “외국인 학부생의 학업능력 신장을 위한 교양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연구”, 한국어교육 31(3),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25-155. |
미소장 |
4 |
류지헌, 양은별(2019). “동영상의 화면크기와 아바타의 제스처유형이 학습자의 실재감 지각에 미치는 영향”, 교육방법연구 31(4), 한국교육방법학회, 653-671. |
미소장 |
5 |
박광렬(2003). “VR 기반의 위험 상황 시나리오를 이용한 초등학생의 안전교육 시스템 설계 및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지 16(2), 한국실과교육학회, 161-170. |
미소장 |
6 |
박상준(2021). “미래 사회에서 메타버스 교육의 방향”, 미래융합교육 2(2), 전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1-45. |
미소장 |
7 |
박진철(2021). “한국어 교육에서의 메타버스(Metaverse) 활용가능성 탐색”, 한국언어문화학 18(3),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17-146. |
미소장 |
8 |
변문경. 김경한, 박찬, 이정훈(2021). 메타버스 교육 프로젝트. 서울: 다빈치북스. |
미소장 |
9 |
송원철, 정동훈(2021). “메타버스 해석과 합리적 개념화”, 정보화정책 28(3), 한국정보화진흥회, 3-22. |
미소장 |
10 |
심은지, 유훈식(2019). “가상현실(VR) 매체를 활용한 여성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 교육 방안”,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19(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497-515. |
미소장 |
11 |
양은별, 류지헌(2021). “메타버스 학습환경에서 동료와 교사 아바타가 학습실재감과 시각적 주의집중에 미치는 효과”,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7(4),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629-1653. |
미소장 |
12 |
오연주(2021). 메타버스가 다시 오고 있다.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
미소장 |
13 |
유갑상, 전긍(2021). “메타버스 기반의 게임형 어학교육 서비스 플랫폼 개발에 관한 연구”,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22(9),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1377-1386. |
미소장 |
14 |
유진희(2015). “실제처럼 생생하게, 가상현실 기술 성큼”, 마이더스 2015(9), 연합뉴스 동북아센터, 88-89. |
미소장 |
15 |
이승환, 한상열(2021). “메타버스 비긴즈: 5대 이슈와 전망”.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이슈리포트 116, 1-35. |
미소장 |
16 |
이현정(2021). “AI시대, 메타버스를 아우르는 새로운 공감개념필요성에 대한 담론”,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21(3), 한국게임학회, 79-90. |
미소장 |
17 |
장지영(2021). “메타버스(Metaverse)를 활용한 한국어 말하기수업 방안 연구: 게더타운(Gather.town)을 중심으로”, 한국어교육 32(4),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79-301. |
미소장 |
18 |
전재천, 정순기(2021). “메타버스(Metaverse) 기반 플랫폼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 탐색”, 한국정보교육학회 학술대회논문집, 한국정보교육학회, 361-368. |
미소장 |
19 |
정혜균, 김현석(2022). “메타버스 시대의 라이프로깅: 기술적 과제와 사회적 이슈”,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17(1).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55-164. |
미소장 |
20 |
천시우시우, 최은경(2020). “실감형 콘텐츠를 활용한 초급 한국어 교육 방안 : 대학부설 한국어교육기관의 교재를 중심으로”, 교육문화연구 26(2),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837-864. |
미소장 |
21 |
최승연, 박재완(2017). “몰입형 VR 기반 실시간 커뮤니케이션을지원하는 언어 학습용 콘텐츠 시스템 개발을 위한 프토로타이핑”,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7(9),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589-598. |
미소장 |
22 |
한형종, 임철일(2020). “가상현실 기반 교육용 시뮬레이션 설계원리 개발”, 교육공학연구 36(2), 한국교육공학회, 221-264. |
미소장 |
23 |
한혜원(2008). “메타버스 내 가상세계의 유형 및 발전방향 연구”.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9(2),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317-323. |
미소장 |
24 |
홍희경(2021). “메타버스의 교육적 적용을 위한 탐색적 연구”, 문화와융합 43(9), 한국문화융합학회, 1-23. |
미소장 |
25 |
Bokyung, K. et al.(2021). “Educational applications of metaverse: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for Health Professions 18, Retrieved from doi:10.3352/jeeh p.2021.18.32 |
미소장 |
26 |
Jackson, J.(2016). “Myths of active learning: Edgar Dale and the cone of experience”, Journal of the Human Anatomy and Physiology Society 20(2), 51-53. |
미소장 |
27 |
Mystakidis, S.(2022). “Metaverse,” Encyclopedia 2(1), 486-497. |
미소장 |
28 |
MacCallum, K.& Parsons, D.(2019). “Teacher perspectives on mobile augmented reality: The potential of metaverse for learning”, In World Conference on Mobile and Contextual Learning, 21-28. |
미소장 |
29 |
Molenda, M.(2003). Cone of experience. Educational technology:An encyclopedia. 161-165. |
미소장 |
30 |
Ning, H. et al.(2021). “A Survey on Metaverse: the State-of-the-art, Technologies, Applications, and Challenges”, arXiv preprint arXiv:2111.09673 |
미소장 |
31 |
Smart, J. et al.(2007). “A cross-industry public foresight project”, Metaverse roadmap: Pathways to the 3D Web. (http://www. metaverseroadmap. org/MetaverseRoadmap Overview. pdf). |
미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