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이 글은 대학의 교양기초교육과정에서 과학 커뮤니케이션 교육을 강화하자는 제안을 담고 있다. 오늘날 과학기술의 사회적 영향력은 그 어느 때보다 커지고 있다. 더욱이 디지털 미디어 플랫폼을 통해 빠르게 확산하는 지식과 정보에 대한 비판적 성찰 능력은 시민의 개인적 삶에서는 물론이고 민주주의 사회 구성원의 삶에서도 중요한 문제가 되었다. 과학 커뮤니케이션 교육은 대학의 교양 교육이 이러한 사회적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이다. 과학 커뮤니케이션 교육은 과학적 사고만이 아니라 과학기술 이슈를 공론장의 영역에서 다루고자 하는 화용론적 문제의식을 포함한다. 과학 커뮤니케이션 교육을 강화하자는 제안은 과학적 사고의 본령이 비판적 사고와 다르지 않으며, 과학의 사회문화적 의미가 과거와는 사뭇 달라졌고, 과학적 오류나 거짓 정보의 사회적 위험성이 과거와 비교해서 크게 증폭되었다는 전제를 기반으로 한 것이다. 과학 커뮤니케이션 교육은 학생들의 과학기술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과학기술의 사회적 영향력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자극할 수 있는 한 방편이다. 이 글은 이러한 논의들을 토대로 대학의 교양기초교육 과정에서 과학 커뮤니케이션 교육이 갖는 의미와 가능성을 해명하고자 한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윤재・김지연・박지연・이영희・정인경(2015), 「한국사회에서 과학기술시티즌십의 현주소와 전망」, 『과학기술학연구』 제15권 제1호,한국과학기술학회. | 미소장 |
2 | 교육부(2021),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주요 사항」, (검색일: 2022.03. 03) https://www.moe.go.kr/boardCnts/viewRenew.do?boardID=3 40&lev=0&statusYN=W&s=moe&m=020201&opType=N&board Seq=89952 | 미소장 |
3 | 김원섭・정진수・이덕환・김응빈・김혜영・권영균・이보경(2019), 「대학 교양교육으로서의 통합과학의 방향과 내용 체계 구성」, 『교양교육연구』, 제13권 제2호, 한국교양교육학회. | 미소장 |
4 | 김혜영・이은하・주양선(2017), 「교양교육으로서 과학교육의 현황 분석」,『교양교육연구』, 제11권 제2호, 한국교양교육학회. | 미소장 |
5 | 손향구・박진희・이관수(2018), 「대학 과학교양교육의 현황과 개선안모색」, 『교양교육연구』, 제12권 제4호, 한국교양교육학회. | 미소장 |
6 | 스콧 프리켈・켈리 무어 지음, 김동광・김명진・김병윤 옮김(2013), 『과학의새로운 정치사회학을 향하여』, 갈무리. | 미소장 |
7 | 알프레드 노스 화이트헤드 지음, 오영환 옮김(1982), 『과학과 근대세계』,삼성출판사. | 미소장 |
8 | 앨런 차머스 지음, 신일철・신중섭 옮김(1985), 『현대의 과학철학』, 서광사. | 미소장 |
9 | 장서란(2021), 「과학사회학 글쓰기를 통한 이공계 학생들의 과학 윤리교육 연구」, 『리터러시연구』 제12권 제4호, 한국리터러시학회. | 미소장 |
10 | 장 프랑수아 리오타르 지음, 이현복 옮김(1992), 『포스트모던적 조건』,서광사. | 미소장 |
11 | 한스-게오르크 가다머 지음, 이길우・이선관・임호일・한동원 옮김(2012), 『진리와 방법 1』, 문학동네. | 미소장 |
12 | Allea(2021), “The Future of Science Communication”, (accessed Mar 15. 2022) https://allea.org/future-of-science-communication/ | 미소장 |
13 | Bly, A.(2010), Science is Culture, New York: Harper Perennial. | 미소장 |
14 | Galilei, G., trans. by Crew, H. & Salvio, A.(1914), Dialogues concerning Two New Sciences, New York: Dover Publication. | 미소장 |
15 | Kellner, D.(1997), “Intellectuals, The Public Sphere, and new Technology”, Research in Philosophy and Technology 16. | 미소장 |
16 | Merton, R.(1942), “The Normative Structure of Science”, (accessed Mar 10. 2022) http://www.panarchy.org/merton/science.html | 미소장 |
17 | Murphy, N.(1990), “Scientific Realism and Postmodern Philosophy”, The British Journal for the Philosophy of Science 41(3). | 미소장 |
18 | OECD(2013), “PISA2015: Draft Science Framework”, (accessed Mar 15. 2022) https://www.oecd.org/pisa/pisaproducts/Draft%20PISA%2 02015%20Science%20Framework%20.pdf | 미소장 |
19 | OECD(2021), “PISA 2018: 21st Readers: Developing Literacy Skill in a Digital World”, (accessed Mar 3. 2022) https://read.oecd-ilibrary. org/education/21st-century-readers_a83d84cb-en#page46 | 미소장 |
20 | Robertson, D.(1998), The New Renaissance, New York: Oxford Univ. Press. | 미소장 |
21 | The American Philosophical Association(1990), “Delphi Report-Critical Thinking: A Statement of Expert Consensus for Purposes of Educational Assessment and Instruction”, ERIC Doc, No. ED 3. | 미소장 |
22 | Windelband, W.(1924), “Geschichte und Naturwissenschaft”, Praeludien. Aufsaetze und Reden zur Philosophie und ihrer Geschichte, Bd.2, Tuebingen: Mohr.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