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초등학생 어머니의 자녀에 대한 시간지원행동 유형별 지원동기와 표준설정, 만족도 = Motivation, standard setting, and satisfaction of child support by type of time support behavior of mother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 장혜연 ; 홍은실 1
Abstract 1
I. 서론 2
II. 이론적 배경 3
1. 자녀에 대한 어머니의 시간지원행동 3
2. 시간지원행동과 관련변인 4
III. 연구방법 7
1. 연구문제 7
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7
3. 측정문항의 구성 7
4. 분석 방법 11
IV. 결과 11
1. 초등학생 자녀에 대한 어머니의 시간 지원행동의 유형 분류 11
2. 시간지원행동유형에 따른 가족환경 특성의 차이 12
3. 시간지원행동유형에 따른 자녀지원 동기의 차이 15
4. 시간지원행동유형에 따른 표준설정의 차이 15
5. 시간지원행동 유형에 따른 자녀지원 만족도 16
6. 시간지원행동 유형에 따른 제반 특성 18
V. 결론 및 제언 18
참고문헌 21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권보라 (2012). 어머니 가정관리능력, 아동의애착 및 자기조절능력이 아동의 시간·자기생활관리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 | 길미경 (2004). 학부모의 교육열에 관한 연구:중소도시 초등학교 학부모를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3 | 김경근 (2003). 한국 사회의 교육열과 청년 실업. 교육학 연구, 41(4), 87-105. | 미소장 |
4 | 김경숙 (2009). 강남 학부모의 자녀 학업지원활동 특성과 자녀교육에 대한 신념.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5 | 김경희 (1997). 한자녀 가정의 자녀교육지원행위와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6 | 김선미 (2004). 30ㆍ40대 전업주부의 일상생활경험과 정체성 유지를 위한 대응양식:문화기술적 사례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7 | 김성희 (1996). 인적 자본으로 본 자녀에 대한투자 행동.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8 | 김연옥 (1991). 자녀 교육에 대한 부모의 고학력 지향에 관한 연구: 부모의 사회경제적 요인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9 | 김영화 (1992). 학부모의 교육열: 사회계층간의비교를 중심으로. 교육학연구, 30(4), 173-177. | 미소장 |
10 | 김영화, 이인효, 박현정 (1993). 한국인의 교육열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 미소장 |
11 | 김유경 (1995). 고등학생 자녀를 둔 어머니의자녀교육에 대한 계획과 수행.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2 | 김인지, 이숙현 (2005). 취학전 자녀를 둔 어머니의 모성이데올로기와 부모역할만족도.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0(3), 1-25. | 미소장 |
13 | 김정원 (1997). 초등학교 수업에 관한 참여관찰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4 | 김지연 (1994). 취업주부의 시간 관리 행동이시간 갈등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5 | 김지현 (2011).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양육효능감, 부모역할만족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9(5), 49-57. | 미소장 |
16 | 김혜신 (2003). 맞벌이 부부의 부모역할갈등과심리적 복지.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7 | 김희복 (1992). 학부모 문화 연구: 부산 지역중산층의 교육열.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8 | 김희순 (2006). 사회계층에 따른 어머니의 고등학생 자녀에 대한 대학진학포부와 교육적 지원: 성남시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9 | 노지영, 황혜신 (2012).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및 부모역할만족도가 0-3세 자녀와의애착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21(1), 27-40. | 미소장 |
20 | 문숙재, 김성희 (1995). 자녀교육 및 양육비용의 관련 변수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3(4), 301-313. | 미소장 |
21 | 문혁준 (2001). 부모역할만족도와 양육 태도에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9(1), 205-219. | 미소장 |
22 | 박일규 (1995). 노동경제학. 서울: 박영사. | 미소장 |
23 | 박현주 (2001). 청소년이 지각하는 부모의 교육지원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4 | 서리나 (1999). 효과적 가정관리 조건에 관한연구: 자원 유용성 및 의사소통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25 | 서혜경 (2004). 가정의 사회경제적 배경과 어머니의 자녀 교육 관심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6 | 손문숙 (1987). 어머니의 가정관리능력이 자녀의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7 | 심대영 (1996). 학부모의 학교 효과성에 대한인식과 자녀교육지원활동의 관계 연구. 한국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8 | 심미옥 (2003). 초등학교 학부모의 자녀 교육지원활동에 관한 연구. 초등교육연구, 16(2), 333-358. | 미소장 |
29 | 심영희 (1996). 시간문화와 여성 : 대입 수험생어머니의 삶에 나타난 전통, 현대, 탈현대. 한국여성학, 12(2), 1-41. | 미소장 |
30 | 여정성 (1994). 기혼 연성의 취업과 자녀 출산에 관한 경제학적 접근. 대한가정학회지, 32(4), 71-84. | 미소장 |
31 | 유준옥 (2000). 초등학생 어머니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32 | 유준옥, 김희숙, 하태희 (2011). 초등학생 자녀를 둔 어머니의 삶의 만족도 영향 요인. 정신간호학회지, 20(3), 242-251. | 미소장 |
33 | 윤택림 (1996). 생활 문화 속의 일상서의 의미:도시 중산층 전업주부의 일상생활과 모성 이데올로기. 한국여성학, 12(2). 79-117. | 미소장 |
34 | 이기석 (2013). 학부모의 학교교육열 행동 특성분석: 행동경제학적 관점에서. 강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35 | 이두휴 (2008). 자녀교육지원활동에 나타난 학부모 문화 연구. 교육사회학연구, 18(3), 135-165. | 미소장 |
36 | 이민경 (2007). 중산층 어머니들의 자녀 교육담론: 자녀교육 지원태도에 대한 의미분석. 교육사회학연구, 17(3), 159-181. | 미소장 |
37 | 이수광 (2007). 교육열과 학부모 유형, 그리고대안의 상상력. 한국교육인류학회 및 안암교육학회. 교육열 다시 보기: 통합적 조망과 비평. 2007년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p. 143-174. | 미소장 |
38 | 이은영 (2006). 학부모의 교육지원활동과 학업성취도 및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39 | 이정화 (1994). 대학 진학에 대한 학부모의 목적의식과 교육 지원 활동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40 | 이종각 (1999). 교육인류학의 탐색. 서울: 도서출판 하우. | 미소장 |
41 | 이지연 (1994). 어머니들의 자녀교육에 대한 기대와 자녀교육 지원활동에 관한 연구:서울 강남지역 어머니들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42 | 이향숙 (2008). 전문직 학부모의 교육 문화에관한 질적 연구. 고려대학교 행정대학원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43 | 이현아 (2001). 주부의 인터넷 사용으로 인한가족체계의 하위요소 변화. 서울대학교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44 | 임수진 (2005). 학부모의 자녀교육지원행위가초등학생 자녀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45 | 임연신, 현온강 (2002). 한국과 연변조선족 어머니의 부모역할만족도 및 양육태도 비교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0(11), 23-37. | 미소장 |
46 | 임정빈 (1988). 가치성향 의사결정 양식 및 가정생활만족 : 서울시 주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47 | 장윤옥 (1993).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교직 주부의 시간제약지각이 역할갈등과 시간제약대처전략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48 | 정복주 (2010). 초등학교 학부모의 사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49 | 정수천 (1995). 초등학교 아동의 사교육비 실태분석.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50 | 조미경 (2006). 한국 학부모의 교육열 연구: 평생교육 차원에서의 분석.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51 | 조복희, 현온강 (1994). 한국 부모의 부모역할만족도. 대한가정학회지, 32(5), 97-108. | 미소장 |
52 | 조성인 (2001). 교육열의 내재적·외재적 동기와학부모의 교육에 대한 태도. 한양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53 | 조영희 (1995). 도시주부의 지출행동유형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54 | 조을련 (1998). 고3 어머니의 교육지원활동에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55 | 조혜정 (1994). 가정생활사건과 가정관리행동성향이 가정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체계적 접근.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56 | 최동숙 (1992). 가정자원관리체계 구성요소간의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57 | 최수임 (1993). 체계적 접근을 통해 본 기혼여교사의 시간갈등, 시간관리 전략, 생활만족도와의 관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58 | 최승해 (1985). 도시 가정의 자녀 교육비지출과관련 요인과의 관계 연구. 한양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59 | 최홍규 (1999). 학부모의 교육지원행위와 아동인식이 학업 성취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60 | 한경미 (1993). 시간관리행동과 관련 변수: 취업 주부를 대상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1(2), 83-95. | 미소장 |
61 | 현주, 이재분, 이혜영 (2003). 한국 학부모의 교육열 분석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https://www.kedi.re.kr/khome/main/res earch/selectPubForm.do?plNum0=3829 | 미소장 |
62 | 홍경은 (2009). 미취학 자녀를 둔 취업 주부의육아 대체와 일ㆍ가족 갈등 및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63 | 홍은실 (1996). 도시주부의 가치와 계획행동유형 및 가정생활만족도.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64 | 황행문 (2000). 사회 계층에 따른 학부모의 교육열 연구 : 제주도 학부모를 중심으로. 제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65 | Bowen, G. L. (1982). Social Network and the Maternal Role Satisfaction of Formerly-Married Mothers. Journal of Divorce. 5(4), 77-85. | 미소장 |
66 | Deacon, R. L. & Firebaugh, F. M. (1988). Family Resource Management :Principles and Applications. Second Edition. Allyn and Bacon, Inc. | 미소장 |
67 | Gaag, J., Neenan, W. B., & Tsukahara, T. Jr.(1982). Economics of health care. New York, USA: Praeger. | 미소장 |
68 | Gross, I. H., Crandall, E. W., & Knoll, M. M.(1980). Management for Modern Families. Fourth Edition. Englewood Cliffs, NJ, USA: Prentice-Hall. | 미소장 |
69 | Guidubaldi, J., & Cleminshaw, H. K. (1989).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leminshaw-Guidubadi Parent Satisfaction Scale. In Fine, M. J. (Ed.), The second handbook on parent education. New York, USA: Academic Press, Inc. | 미소장 |
70 | Hilton, J. M., & Kopera-Frye, K. (2005). An Integrative Approach to Teaching Family Resource Management. Marriage & Family Review. 25, 65-82. | 미소장 |
71 | Rice, A. M., & Tucker, S. M. (1986). Family Life Management. Sixth Edition. New York, USA: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