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역삼투막 정수기에서 발생하는 총용존고형물 크리프 현상의 이해 = Understanding on TDS creep phenomena of reverse osmosis membranes in water purifiers / 강상현 ; 윤성한 1

요약 1

Abstract 1

1. 서론 1

2. 실험 3

2.1. 실험재료 및 분석 3

2.2. 실험장비 및 투과 실험 3

3. 결과 및 고찰 3

3.1. 역삼투막 전후단에서의 삼투압 3

3.2. 휴지시간에 따른 TDS Creep 현상 3

3.3. 농도에 따른 TDS Creep 현상 4

3.4. 원수 세척을 통한 TDS Creep 현상 감소 효과 4

3.5. 역삼투막 후단 부피 증가에 따른 TDS Creep 현상 감소 효과 5

3.6. 정수 저장탱크를 이용한 TDS Creep 현상 감소 효과 5

4. 결론 6

Reference 7

Membrane Journal Graphical Abstract 8

초록보기

정수기는 일반적인 산업용 막여과 수처리 공정과 다르게 운전과 휴지를 반복하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특징 때문 에 역삼투막을 사용하는 정수기의 경우, 재정수시에 정수수의 농도가 정상적인 값보다 높게 나오는 현상(제거율이 정상값보 다 낮게 나오는 현상)이 있는데, 이를 “TDS creep”이라고 한다. 본 연구에서는 휴지시간과 농도에 따른 TDS creep 정도를 관 찰하였다. 또한, TDS creep 현상을 저감하기 위해 원수 세척, 정수부의 부피 증가 및 정수 세척 방법 등을 시험하였고 이에 대한 실질적인 효과를 관찰하였다. 이러한 방법들 중에 정수수의 세척과 같이 역삼투막의 feed side와 permeate side의 농도차 를 최소화하는 것이 TDS creep 현상을 해소하는 궁극적인 해결책임을 확인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A) review on zeolite-based ceramic membrane for oil/water separation = 기름/물 분리를 위한 제올라이트 기반의 세라믹 분리막에 대한 총설 Joo Yeop Lee, Rajkumar Patel, Jong Hak Kim p. 83-90

보기
Ion exchange membrane for desalination by electrodialysis process : 전기투석법에 의한 담수화용 이온교환막 : 총설 / a review Sarsenbek Assel, Rajkumar Patel p. 91-99

보기
(A) review on ceramic based membranes for textile wastewater treatment = 염색폐수의 처리를 위한 세라믹 분리막에 대한 고찰 Yeonsoo Kwak, Rajkumar Patel p. 100-108

보기
상전이법 기반 평막 제조과정에서 부직포 영향 분석연구 = Effect of nonwoven support during fabrication of flat sheet membranes via phase inversion method 김민재, 김수빈, 김수민, 이호익, 김정 p. 109-115

보기
Pd/Al2O3, Pd/Ag/Al2O3 분리막의 제조와 수소 투과 성능 평가 = Preparation of Pd/Al2O3, Pd/Ag/Al2O3 membranes and evaluation of hydrogen permeation performance 이정인, 신민창, 장학룡, 황재연, 김억용, 정창훈, 박정훈 p. 116-125

보기
역삼투막 정수기에서 발생하는 총용존고형물 크리프 현상의 이해 = Understanding on TDS creep phenomena of reverse osmosis membranes in water purifiers 강상현, 윤성한 p. 126-132

보기
실크 입자가 도입된 전기방사 복합막 제조 = Fabrication of electrospun composite membranes with silk powder 서영진, 강호성, 임광섭, 최강민, 박치훈, 남상용, 장해남 p. 133-139

보기
폴리술폰 중공사막을 이용한 바이오가스 고순도화 고효율 저온 분리 공정 = Highly efficient biogas upgrading process using polysulfone hollow fiber membrane at low temperature 김세종, 한상훈, 임진혁, 이충섭, 장원석, 김길정, 하성용 p. 140-149

보기
소결조제로 나노크기 γ-알루미나 입자의 도입에 따른 α-알루미나 중공사 분리막의 기계적 강도 향상 = Improvement in mechanical strength of α-alumina hollow fiber membrane by introducing nanosize γ-alumina particle as sintering agent 김용빈, 김민지, 아레팔리 데비프리얀카, 조철희 p. 150-162

보기
(A) transient separation behavior of PDMS/PSF hollow fiber membrane modules for ethanol-water mixtures = PDMS/PSF 중공사 분리막의 시간 의존적 에탄올-물 분리 거동 연구 Muhammad Junaid Ammar, Arepalli Devipriyanka, Min-Zy Kim, Seong Yong Ha, Churl Hee Cho p. 163-171

보기

참고문헌 (1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C. Fritzmann, J. Löwenberg, T. Wintgens, and T. Melin, “State-of-the-art of reverse osmosis desalination”, Desalination, 216, 1-76 (2007). 미소장
2 L. Malaeb and G. M. Ayoub, “Reverse osmosis technology for water treatment: State of the art review”, Desalination, 267, 1-8 (2011). 미소장
3 B. Peñate and L. García-Rodríguez, “Current trends and future prospects in the design of seawater reverse osmosis desalination technology”, Desalination, 284, 1-8 (2012). 미소장
4 J. R. Werber, A. Deshmukh, and M. Elimelech, “Can batch or semi-batch processes save energy in reverse-osmosis desalination?”, Desalination, 402, 109-122 (2017). 미소장
5 Q. J. Wei, C. I. Tucker, P. J. Wu, A. M. Trueworthy, E. W. Tow, and J. H. Lienhard V, “Impact of salt retention on true batch reverse osmosis energy consumption: Experiments and model validation”, Desalination, 479, 114-177 (2020). 미소장
6 S. J. Wimalawanasa. “Purification of contaminated water with reverse osmosis: effective solution of providing clean water for human needs in developing countries”, Int. J. Emerg. Technol. Adv. Eng., 3(12), 75-89 (2013). 미소장
7 J. I. Cho, G. T. Kim, and Y. C. Ahn,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ilters for domestic household water purifier”, J. Korean Soc. Mar. Eng., 37(5), 541-547 (2013). 미소장
8 V. Zaldivar, D. Carlile, and D. Powell. “RO: an overview on advances in POU technology”, WCP online, July 15th (2000). 미소장
9 H. Zhang, D. J. Averbeck, and Z. Cheng., “Water filtration system with recirculation to reduce total dissolved solids creep effect”, US Patent 2018/0162761 A1, June 14 (2018). 미소장
10 H. M. Moon, D. J. Jeong, B. P. Lee, S. K. Cho, S. H. Kang, S. H. Yun, J. H. Eom, D. S. Kang, and J. H. Lee. “Water purifier and control method for water purifier”, US 2019/0083934 A1. March 21 (2019). 미소장
11 S. S. Kim and J. U. Kim, “Reverse osmosis water purifier for discharging clean water directly”, KR10-0480984, March 24 (2005). 미소장
12 S. H. Kang, S. H. Yun, B. I. Kang, and J. M. Park, “A direct-type purifying device” KR10-1372615, March 04 (2014). 미소장
13 T. Y. Cath, A. E. Childress, and M. Elimelech, “Forward osmosis: Principles, applications, and recent developments”, J. Membr. Sci., 281, 70-87(2006).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