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프레이리 교육사상의 대안교육적 의미 고찰 = A study on the alternative educational meaning of the educational philosophy of P. Freire / 엄재춘 1

요약 1

I. 서론 1

II. 대안교육의 의미와 이념적 가치 4

1. 대안교육의 의미와 현황 4

2. 대안교육의 이념과 실천 가치 5

III. 프레이리의 인간화와 대안교육의 목적 7

1. 프레이리의 존재론적 인간관과 비판적 세계 인식 7

2. 대안교육의 목적으로서 프레이리의 '인간화' 8

IV. 프레이리의 프락시스와 대안교육 실천 13

1. 대안교육의 실천원리로서 프락시스 13

2. 대안교육의 실천방법으로서 프락시스 14

V. 결론 및 논의 17

참고문헌 18

Abstract 20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프레이리(P. Freire)의 교육사상 연구를 통해 대안교육적 의미와 가치를 발견하는 것이다. 대안교육은 교육의 본질인 개인의 성장과 사회의 변화를 추구하기 위하여 자유주의와 생태주의를 이념적 토대로 한다. 대안교육의 의미와 가치는 프레이리가 주장하는 교육목적으로서의 ‘인간화(humanization)’와 교육실천으로서의 ‘프락시스(praxis)’에 잘 드러나 있다. 인간화의 의미 속에는 대안교육이 지향하는 자율적 인간에 대한 존재론적 본질이 잘 나타나 있다. 그리고 비판적 성찰을 토대로 한 프락시스는 인간의 존재론적 만남을 가능하게 하며, 이론과 실천, 사고와 행위, 인간과 세계를 변증법적 통합의 원리로 접근하게 하는 원리이다. 이것은 대안교육의 실천으로서 실천적 교사론과 교육방법에 대한 목적과 방향을 제시해준다는 점에서 새로운 가치가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대안교육의 질적 성장을 위한 이념적 토대와 실천적 방법론을 정립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초등학생의 부모와의 대화시간, 스마트폰 의존 및 교사애착 간의 종단적 관계 연구 = A study on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of conversation time with parents, smartphone dependence, and teacher attach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임신일, 김은영 p. 5-23

보기
느린 학습자 영유아에 대한 영유아교사와 예비영유아교사가 느끼는 어려움에 대한 인식 연구 = A study on difficulti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according to the slow learner young children 장세희 p. 25-44

보기
중국 학생의 학업정서와 자기결정성 학습동기의 관계구조 : The relationship structure of academic emotion and self-determination learning motivation of Chinese students : focusing on the difference between high school and university students / 고등학생과 대학생 차이를 중심으로 릉운, 박병기 p. 45-62

보기
유아교사의 조직몰입에 대한 자아탄력성과 교사효능감의 영향 = The influ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resilience and teacher efficacy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 사립유아교육기관을 중심으로 문태형 p. 63-77

보기
유아안전교육 교과목의 PBL(Project-Based learning) 적용 사례연구 = A case study on the application of PBL(project-based learning) to the early childhood safety education major subjects 박진희 p. 79-101

보기
유아 어머니의 정신건강과 자녀 정신건강 간의 관계에서 인지적 공감과 정서적 공감의 다중매개효과 = The multi-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empathy and affective empath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fant mother's mental health and infant's mental health 서수경, 서현아 p. 103-119

보기
초등학생 주관적 안녕감의 주별 변화 시계열 분석 = Time series analysis of weekly changes in subjective well-being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손사결, 마서민, 이세현 p. 121-149

보기
프레이리 교육사상의 대안교육적 의미 고찰 = A study on the alternative educational meaning of the educational philosophy of P. Freire 엄재춘 p. 151-170

보기
보육교사의 조직 커뮤니케이션 만족과 교직 열정과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 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care teacher’s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teaching professional passion 유경숙 p. 171-186

보기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유아교사 및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 관련 연구동향 분석 =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related to happi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 an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이아름, 윤정아 p. 187-209

보기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뇌교육 기반 인성코칭 프로그램 개발 방향 탐색 = Exploring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a character coaching program based on brain education to improve self-efficacy 이옥영, 신재한 p. 211-223

보기
가족여가활동이 부모-자녀 상호작용과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family leisure activity on parent-child interaction and life satisfaction 이주연, 지명원 p. 225-238

보기
초등학생의 미디어기기 과다사용과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학업수행능력과 시간사용만족도의 다중매개효과 = The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academic abilities and time use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veruse of media device and happines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최유석, 임지영, 권유정 p. 239-252

보기
성장혼합모형을 적용한 중학생의 학업참여 변화유형과 영향요인 검증 = Academic engagement trajectories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determinant factors using growth mixture modeling 조한익, 하아영 p. 253-275

보기
예비유아교사의 자율성지지와 학습몰입 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of between autonomy support and learning flow of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홍애순 p. 277-294

보기

참고문헌 (5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고병헌(1997). 교육개혁 운동으로서의 대안 교육 운동. 내일을 여는 책, 처음처럼, 4. 미소장
2 교육부(2022). 교육부 홈페이지(https://www.moe.go.kr/): 초・중・고교육 자료실. 미소장
3 김경식, 안상헌, 윤주국, 이병환, 장홍재(2006). 교육사회학. 서울: 교육과학사. 34-54. 미소장
4 김대현(2013). 프레이리 저서에 드러난 교사 권위의 성격. 교육사상연구, 27(3). 29-54. 미소장
5 김동훈(2002). 학력・학벌사회의 폐해와 교육관의 혁신, 지식사회의 도래와 한국교육의 전망. 교육마당21. 교육인적자원부. 34-37. 미소장
6 김병길・황금섭(2001). 대안교육에 있어서 ‘대안’의 범주화. 교육철학, 19. 1-17. 미소장
7 김부태(2016). 파울루 프레이리 교육론의 정치적 성격. 교육철학, 60. 1-38. 미소장
8 김소정(2005). 프레이리의 전문성 개념과 교재론. 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소장
9 김승아(2016). 프레이리의 교육론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미소장
10 김현주(2008). 파울로 프레이리의 대화중심 교사론. 석사학위논문.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소장
11 김희선(2002). 프레이리의 지식습득이론에 관한 고찰. 한국교육학연구, 8(1). 1-14. 미소장
12 문혜림(2009). 파울로 프레이리의 ‘교육의 정치성’ 개념 연구.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대학원. 미소장
13 박연규(2010). 대안교육, 아나키즘적 자유를 통한 성찰-지역공동체에 근거한 자유교육. 경기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시민인문학, 9. 64-97. 미소장
14 손종현(2016). 파울루 프레이리의 침묵문화론 연구: 그 실재성과 매커니즘을 중심으로. 사고와 표현, 9(3). 231-282. 미소장
15 송순재(2005). 한국에서 ‘대안교육’의 전개과정 및 성격과 주요문제점. 한국홀리스틱교육학회. 홀리스틱교육연구, 9(2). 33-56. 미소장
16 이병환・김영순(2009). 대안교육의 실천과 모색. 학지사. 21-37. 미소장
17 이선진(2003). 파울루 프레이리의 대화방법론. 석사학위논문. 감리교신학대학교. 미소장
18 이성우(2006). 프레이리의 변증법적 교육론, 두 가지 측면으로 바라보기. 박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미소장
19 이종태(1999). 대안교육의 철학적 기초 탐색(1): 생태주의 교육이념을 중심으로. 한국교육, 26(1). 1-19. 미소장
20 이종태(2007). 대안교육 이해하기: 스스로 서서 서로를 살리는 교육학. 서울: 민들레. 67-89. 미소장
21 이종태・하태욱・박상진(2017). 대안교육 지원을 위한 법령 정비 방안.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부설 학업중단예방 및 대안교육지원센터. 1-154. 미소장
22 이현청(1994). 교육사회학. 서울: 양서원. 103-145. 미소장
23 이흔정(2011). 프레이리의 생성적 교육과정 연구. 한국교육학연구, 17(1). 82-97. 미소장
24 전일균(2009). 프레이리의 교사론 연구. 교육철학, 34. 211-230. 미소장
25 조세형(2005). 프레이리의 대화교육론 연구. 박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미소장
26 조정봉(2017). 프레이리 ‘문화서클’의 교육적 실천. 교육철학, 63. 79-104. 미소장
27 조진숙(2019). 프레이리 대화교육의 평생교육적 의미고찰. 교육사상연구, 33(1). 105-124. 미소장
28 진미숙(2015). 프레이리의 윤리학과 교육실천: 여성주의 조망과 더불어. 교육철학, 28. 69-88. 미소장
29 최은주(2005). 프레이리 교육론과 학생 개념. 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소장
30 최종강(1993). Paulo Freire의 교육 이론의 비판적 고찰. 석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소장
31 한양선(2016). 내러티브 교육으로서 파울루 프레이리 교육실천론의 적용 가능성 탐색. 인문사회, 21(7). 633-649. 미소장
32 홍은광(2003). 파울로 프레이리 교육사상의 수용과정과 한국 민중교육운동에 대한 영향.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미소장
33 홍은광(2010). 파울로 프레이리, 한국 교육을 만나다. 서울: 학이시습. 34-78. 미소장
34 Althusser, L. (1971). Lenin and Philosophy and other Essays. London: New Left Books. 12-32. 미소장
35 Balandier, G. (1970). Political Anthropology. London: Random House. 45-65. 미소장
36 Elias, J. (1984). 의식화와 탈학교(김성재 역). 광주: 사계절. 54-89. 미소장
37 Freire, P. (1972). Pedagogy of the Oppressed. New York: Hill & Wang. 6-25. 미소장
38 Freire, P. (1973). Education for Critical Consciousness. Continuum: New York. 32-43. 미소장
39 Freire, P. (1985). The Politics of Education: Culture, Power and Liberation. London: Macmillan. 78-86. 미소장
40 Freire, P. (1986). 실천교육학(김쾌상 역). 서울: 일월서각. 65-98. 미소장
41 Freire, P. (2007). 자유의 교육학(사람대사람 옮김). 서울: 아침이슬. 23-45. 미소장
42 Freire, P. (2015). 교육과 의식화(채광석 옮김). 서울: 중원문화. 90-123. 미소장
43 Freire, P. (2020). 프레이리의 교사론(김한별 옮김). 서울: 오트르랩. 11-57. 미소장
44 Fromm, E. (1993). 자유에서의 도피(이상두 역). 서울: 범우사. 45-101. 미소장
45 Shor, I. (1987). 교실을 위한 프레이리: 현장교육을 위한 비고츠키와의 만남(사람대사람 역). 서울: 살림터. 23-35. 미소장
46 Rousseau, J. J. (1954). The social Contract. trans. by Willmoore Kendall. South Bend, Indiana: Gateway Editions, Ltd. 89-109. 미소장
47 Schubert, W. H. (1986). Curriculum: Perspective, Paradigm, and Possibility. New York: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15-21. 미소장
48 Schugurensky, D. (1998). Legacy of Paulo Freire: A critical review of his contributions. Convergence, vol. 31. 45-59. 미소장
49 Spring, J. (1985). 교육과 인간해방(심성보 옮김). 서울: 사계절. 16-32. 미소장
50 Wren, B. (1978). 정의를 위한 교육: 민중교육론(김쾌상 옮김). 서울: 한길사. 76-89.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