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프레이리 교육사상의 대안교육적 의미 고찰 = A study on the alternative educational meaning of the educational philosophy of P. Freire / 엄재춘 1
요약 1
I. 서론 1
II. 대안교육의 의미와 이념적 가치 4
1. 대안교육의 의미와 현황 4
2. 대안교육의 이념과 실천 가치 5
III. 프레이리의 인간화와 대안교육의 목적 7
1. 프레이리의 존재론적 인간관과 비판적 세계 인식 7
2. 대안교육의 목적으로서 프레이리의 '인간화' 8
IV. 프레이리의 프락시스와 대안교육 실천 13
1. 대안교육의 실천원리로서 프락시스 13
2. 대안교육의 실천방법으로서 프락시스 14
V. 결론 및 논의 17
참고문헌 18
Abstract 20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고병헌(1997). 교육개혁 운동으로서의 대안 교육 운동. 내일을 여는 책, 처음처럼, 4. | 미소장 |
2 | 교육부(2022). 교육부 홈페이지(https://www.moe.go.kr/): 초・중・고교육 자료실. | 미소장 |
3 | 김경식, 안상헌, 윤주국, 이병환, 장홍재(2006). 교육사회학. 서울: 교육과학사. 34-54. | 미소장 |
4 | 김대현(2013). 프레이리 저서에 드러난 교사 권위의 성격. 교육사상연구, 27(3). 29-54. | 미소장 |
5 | 김동훈(2002). 학력・학벌사회의 폐해와 교육관의 혁신, 지식사회의 도래와 한국교육의 전망. 교육마당21. 교육인적자원부. 34-37. | 미소장 |
6 | 김병길・황금섭(2001). 대안교육에 있어서 ‘대안’의 범주화. 교육철학, 19. 1-17. | 미소장 |
7 | 김부태(2016). 파울루 프레이리 교육론의 정치적 성격. 교육철학, 60. 1-38. | 미소장 |
8 | 김소정(2005). 프레이리의 전문성 개념과 교재론. 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 미소장 |
9 | 김승아(2016). 프레이리의 교육론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 미소장 |
10 | 김현주(2008). 파울로 프레이리의 대화중심 교사론. 석사학위논문.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 미소장 |
11 | 김희선(2002). 프레이리의 지식습득이론에 관한 고찰. 한국교육학연구, 8(1). 1-14. | 미소장 |
12 | 문혜림(2009). 파울로 프레이리의 ‘교육의 정치성’ 개념 연구.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대학원. | 미소장 |
13 | 박연규(2010). 대안교육, 아나키즘적 자유를 통한 성찰-지역공동체에 근거한 자유교육. 경기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시민인문학, 9. 64-97. | 미소장 |
14 | 손종현(2016). 파울루 프레이리의 침묵문화론 연구: 그 실재성과 매커니즘을 중심으로. 사고와 표현, 9(3). 231-282. | 미소장 |
15 | 송순재(2005). 한국에서 ‘대안교육’의 전개과정 및 성격과 주요문제점. 한국홀리스틱교육학회. 홀리스틱교육연구, 9(2). 33-56. | 미소장 |
16 | 이병환・김영순(2009). 대안교육의 실천과 모색. 학지사. 21-37. | 미소장 |
17 | 이선진(2003). 파울루 프레이리의 대화방법론. 석사학위논문. 감리교신학대학교. | 미소장 |
18 | 이성우(2006). 프레이리의 변증법적 교육론, 두 가지 측면으로 바라보기. 박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 미소장 |
19 | 이종태(1999). 대안교육의 철학적 기초 탐색(1): 생태주의 교육이념을 중심으로. 한국교육, 26(1). 1-19. | 미소장 |
20 | 이종태(2007). 대안교육 이해하기: 스스로 서서 서로를 살리는 교육학. 서울: 민들레. 67-89. | 미소장 |
21 | 이종태・하태욱・박상진(2017). 대안교육 지원을 위한 법령 정비 방안.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부설 학업중단예방 및 대안교육지원센터. 1-154. | 미소장 |
22 | 이현청(1994). 교육사회학. 서울: 양서원. 103-145. | 미소장 |
23 | 이흔정(2011). 프레이리의 생성적 교육과정 연구. 한국교육학연구, 17(1). 82-97. | 미소장 |
24 | 전일균(2009). 프레이리의 교사론 연구. 교육철학, 34. 211-230. | 미소장 |
25 | 조세형(2005). 프레이리의 대화교육론 연구. 박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 미소장 |
26 | 조정봉(2017). 프레이리 ‘문화서클’의 교육적 실천. 교육철학, 63. 79-104. | 미소장 |
27 | 조진숙(2019). 프레이리 대화교육의 평생교육적 의미고찰. 교육사상연구, 33(1). 105-124. | 미소장 |
28 | 진미숙(2015). 프레이리의 윤리학과 교육실천: 여성주의 조망과 더불어. 교육철학, 28. 69-88. | 미소장 |
29 | 최은주(2005). 프레이리 교육론과 학생 개념. 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 미소장 |
30 | 최종강(1993). Paulo Freire의 교육 이론의 비판적 고찰. 석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 미소장 |
31 | 한양선(2016). 내러티브 교육으로서 파울루 프레이리 교육실천론의 적용 가능성 탐색. 인문사회, 21(7). 633-649. | 미소장 |
32 | 홍은광(2003). 파울로 프레이리 교육사상의 수용과정과 한국 민중교육운동에 대한 영향.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 미소장 |
33 | 홍은광(2010). 파울로 프레이리, 한국 교육을 만나다. 서울: 학이시습. 34-78. | 미소장 |
34 | Althusser, L. (1971). Lenin and Philosophy and other Essays. London: New Left Books. 12-32. | 미소장 |
35 | Balandier, G. (1970). Political Anthropology. London: Random House. 45-65. | 미소장 |
36 | Elias, J. (1984). 의식화와 탈학교(김성재 역). 광주: 사계절. 54-89. | 미소장 |
37 | Freire, P. (1972). Pedagogy of the Oppressed. New York: Hill & Wang. 6-25. | 미소장 |
38 | Freire, P. (1973). Education for Critical Consciousness. Continuum: New York. 32-43. | 미소장 |
39 | Freire, P. (1985). The Politics of Education: Culture, Power and Liberation. London: Macmillan. 78-86. | 미소장 |
40 | Freire, P. (1986). 실천교육학(김쾌상 역). 서울: 일월서각. 65-98. | 미소장 |
41 | Freire, P. (2007). 자유의 교육학(사람대사람 옮김). 서울: 아침이슬. 23-45. | 미소장 |
42 | Freire, P. (2015). 교육과 의식화(채광석 옮김). 서울: 중원문화. 90-123. | 미소장 |
43 | Freire, P. (2020). 프레이리의 교사론(김한별 옮김). 서울: 오트르랩. 11-57. | 미소장 |
44 | Fromm, E. (1993). 자유에서의 도피(이상두 역). 서울: 범우사. 45-101. | 미소장 |
45 | Shor, I. (1987). 교실을 위한 프레이리: 현장교육을 위한 비고츠키와의 만남(사람대사람 역). 서울: 살림터. 23-35. | 미소장 |
46 | Rousseau, J. J. (1954). The social Contract. trans. by Willmoore Kendall. South Bend, Indiana: Gateway Editions, Ltd. 89-109. | 미소장 |
47 | Schubert, W. H. (1986). Curriculum: Perspective, Paradigm, and Possibility. New York: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15-21. | 미소장 |
48 | Schugurensky, D. (1998). Legacy of Paulo Freire: A critical review of his contributions. Convergence, vol. 31. 45-59. | 미소장 |
49 | Spring, J. (1985). 교육과 인간해방(심성보 옮김). 서울: 사계절. 16-32. | 미소장 |
50 | Wren, B. (1978). 정의를 위한 교육: 민중교육론(김쾌상 옮김). 서울: 한길사. 76-89.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7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