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1970년대 유교 전통 인식과 충효 정책 = Loyalty-filial piety(chunghyo;忠孝) policy and conception on Confucian tradition in the 1970s / 신항수 1
[목차] 1
국문 초록 1
머리말 2
I. 해방 이후의 유교 인식 4
1. 유교에 대한 인식과 한국 사상사 연구의 시작 4
2. 박종홍의 이황 인식의 성격 7
3. 이황-교육칙어 계보의 확산 10
II. 일본인 연구자들의 한국 유교사 인식 12
III. 박정희 정권의 충효 강조 17
1. 충효의 대두 17
2. 박정희의 충효 교육 지시와 충효의 사회적 확산 20
IV. 산업사회에서의 충효의 의미 22
1. 유교 전통과 충효 23
2. 사회 윤리로서의 충효 26
맺음말 29
참고문헌 32
Abstract 36
1977년 박정희가 문교부 연두 순시에서 충효를 강조하자 교육계는 물론 사회 전반에서 충효의 원리가 확산되었다. 충효는 우리 고유의 사상적 전통이라 선전되었다. 하지만 당시 한국 사상사 연구는 초보적인 수준이었으며, 오히려 충효의 강조가 기초한 것은 일제가 구성한 한국 유교사 및 황도 유교의 이데올로기였다. 박종홍은 한국 사상사를 다시 구성하고자 하였지만 여전히 일제의 논리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박종홍의 주장은 널리 수용되어 정책적으로 진행된 유교 전통과 충효 강조의 학문적 배경이 되었다.
충효는 일반적으로 유교적 전통의 부활로 인식되었으나, 근대 사회로 접어든 상황에서 유교 전통만으로는 사회적으로 수용되는데 한계가 있었다. 김형효는 충효를 서양 사상과 접목하여 사회적 권위와 위계를 정당화하는 이데올로기로 재해석했다. 그의 주장은 박근혜가 주도한 ‘새마음운동’ 및 충효에 대한 정책적 지원을 배경으로 사회 윤리로 확산되었다. 이는 1970년대 민중 운동의 확산에 대한 정치적인 대응이었고 이를 통하여 사회적 평등에 반하는 서열과 복종의 종적 지배 질서를 만들고자 하였다. 1990년대까지 학교 교육에서 충효가 강조되었으며, 그 흔적은 현재에도 여전히 남아 있다.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고려시대 수면(獸面) 장식 도자기 연구 = A study on pottery decorated with the face of an animal in the Goryeo period | 이명옥 | p. 5-50 |
|
보기 |
1970년대 유교 전통 인식과 충효 정책 = Loyalty-filial piety(chunghyo;忠孝) policy and conception on Confucian tradition in the 1970s | 신항수 | p. 51-87 |
|
보기 |
한국사 교과서에 나타난 유관순 이미지와 그 개선의 필요성 = The image of Yu Gwan-sun in Korean history textbooks and the need to improve the description | 최병택 | p. 89-117 |
|
보기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김종석, 「退溪哲學 硏究의 現況과 課題」, 『韓國의 哲學』 제23집, 1995. | 미소장 |
2 | 고대혁, 「한국 사회에서 도덕 교육의 패러다임 반성 : 충효 교육·반공교육에서 도덕 교육으로」, 『문화와 사람』 3, 사계절, 2001. | 미소장 |
3 | 윤사순, 「퇴계학연구-한국학의 발전과 함께 한 발자취」, 『오늘의 동양사상』 제6호, 예문동양사상연구원, 2002. | 미소장 |
4 | 이동희,「퇴계 연구의 성과와 반성」, 『동양철학연구』 30. 2002. | 미소장 |
5 | 박균섭, 「교육칙어 체제의 지속과 한국 교육의 실패」, 『일본학보』, 2002. | 미소장 |
6 | 김영곤, 「1970년대 민중운동과 민중지향」, 『유신과 반유신』,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005. | 미소장 |
7 | 김순전·박재홍 「『보통학교수신서』에 나타난 忠의 변용」, 김순전 외, 『제국의 식민지 수신-총독부 편찬 <修身書> 연구』, 제이엔씨, 2009. | 미소장 |
8 | 정욱재, 「조선유도연합회의 결성과 ‘皇道儒學’」. 『한국독립운동사연구』33, 2009. | 미소장 |
9 | 김항, 「Harry Harootunian 강연 토론문」, 해리 하루투니언 『착한 일본인의 탄생』, 제이앤씨, 2011. | 미소장 |
10 | 박균섭, 「전시동원체제와 퇴계학: 아베 요시오와 박종홍의 연속성」, 『교육철학연구』 제36권 제4호, 2014. | 미소장 |
11 | 이노우에 아쓰시, 「근대 일본에서의 이퇴계 연구의 계보학」,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13, 2014. | 미소장 |
12 | 강해수, 「제2의 와니(王仁)로서의 이퇴계 상과 도의 담론」, 『동서인문학』49, 2015. | 미소장 |
13 | 나종석, 「전통과 근대 : 한국의 유교적 근대성 논의를 중심으로」, 『사회와 철학』 30, 2015. | 미소장 |
14 | 김성진, 「신일철의 철학하기와 한국철학」, 이재영 외 『신일철, 그의 철학과 삶』, 고려대학교출판문화원, 2016. | 미소장 |
15 | 박노자, 「민족과 근대, 종속과 주체성 사이에서」, 『동서인문』 10, 2018. | 미소장 |
16 | 신항수, 「박정희 정권기 전통 사상에 대한 인식 변화와 국민윤리 교육」, 『史叢』 102, 2021. | 미소장 |
17 | 황병주, 「국민교육과 국가만들기」. 『대한민국 교육 70년』, 대한민국 역사박물관, 2015. | 미소장 |
18 | 이황직, 『군자들의 행진』, 아카넷, 2017. | 미소장 |
19 | 류미나, 「조선의 ‘황도유학’ 전개과정과 일본제국주의의 확장」, 『한일관계사연구』 63, 2019. | 미소장 |
20 | 松田甲, 「日本朱子學者の李退溪觀」, 『日鮮史話』第六篇, 1930. | 미소장 |
21 | 福士末之助,, 「經學院雜誌 論說 東洋에 斯文이 有함」,≪經學院雜誌≫38, 1935. | 미소장 |
22 | 金哲埈‧韓永愚‧尹炳奭, 北韓硏究叢書5集 北韓社會科學院이 發刊한 「朝鮮史」 批判, 社團法人 北韓硏究所. 1978. | 미소장 |
23 | 박종홍, 「文化의 傳承‧攝取‧創造」,≪思想界≫ 1958.10. | 미소장 |
24 | 박종홍, 「退溪의 人間과 思想」,≪世界≫ 2, 국제문화연구소, 1960.4. | 미소장 |
25 | 정순목, 「이퇴계의 사상이 근세일본교육에 미친 영향 –그 외형적 발자취를 더듬어-」, 『사대학보』 4, 1968, 중앙대학교 사범대학. | 미소장 |
26 | 최민홍, 「退溪의 仁愛思想과 日本敎育勅語」, ≪새교육≫ 제 23권 제2호 통권 196호, 대한교육위원회, 1971. | 미소장 |
27 | 윤사순, 「退溪에 있어서의 當爲의 問題」, ≪새교육≫ 제 23권 제2호통권 196호, 대한교육위원회, 1971. | 미소장 |
28 | 松田甲, 「李退溪의 學流를 돌이켜보고」,≪국회도서관보≫ 1972.10. | 미소장 |
29 | 이선근, 「韓國傳統思想과 忠孝의 再評價」, ≪자유교양≫ 1974.8. | 미소장 |
30 | 이상은, 「忠孝敎育의 本質과 現代的 評價」, ≪자유교양≫ 1974.8. | 미소장 |
31 | 한기언, 「忠孝敎育의 現代敎育學的 方法」, ≪자유교양≫ 1974.8. | 미소장 |
32 | 김정진, 「충효사상은 한민족사 창조의 동맥이다.」, ≪기러기≫1974.10. | 미소장 |
33 | 한기언, 「충효 교육의 현대 교육학적 방법」, ≪문교월보≫ 58, 1974.11. | 미소장 |
34 | 김도인, 「주체성의 확립과 국사교육의 진로」, 『부산교육』 181, 1976, 부산시 교육위원회. | 미소장 |
35 | ≪경향신문≫ 1977.1.13. 「朴大統領의 年頭會見」. | 미소장 |
36 | ≪경향신문≫ 1977.1.21. 「새마음 갖기운동본부 발족」. | 미소장 |
37 | ≪경향신문≫ 1977.3.17. 「새마음갖기 궐기대회 참석 박근혜양 경로병원개원식에도」. | 미소장 |
38 | ≪경향신문≫ 1977.3.22. 「충효를 국민적 신앙으로 심화」. | 미소장 |
39 | ≪동아일보≫ 1977.2.11. 「황문교 국민도의교육 강화 위해 각급학교 교과서 개편」. | 미소장 |
40 | ≪동아일보≫ 1977.4.16. 「횡설수설」. | 미소장 |
41 | 김익수, 「한국의 충효교육에 관한 연구」, 『교육사 교육철학』 창간호, 1977. | 미소장 |
42 | 안종운, 「교육과정운영과 충효교육」,≪敎育硏究≫104, 國敎育生産性硏究所敎育硏究社, 1977. | 미소장 |
43 | 김형효, 「충효사상의 현대적 의의」,≪지방행정≫26권 282호, 대한지방행정공제회, 1977. | 미소장 |
44 | 김형효, 「제2장 충효 사상의 철학적 의미」, 『忠孝敎育의 理論과 實際』, 서울特別市敎育委員會, 1977. | 미소장 |
45 | ≪신동아≫ 1977.6. 「現代社會와 忠孝 -대담 김동길, 정재각-」. | 미소장 |
46 | ≪신동아≫ 1977.6. 「신동아 인터뷰 문교부장관 황산덕씨」. | 미소장 |
47 | 김병식, 「충효시비론」, ≪기독교사상≫ 1977.6. | 미소장 |
48 | 송건호, 「충효 교육에 문제점 있다」, ≪독서생활≫ 1977.7. | 미소장 |
49 | 「忠孝敎育의 本質과 敎育施策」, ≪月刊 忠淸≫ 1977.8. | 미소장 |
50 | 阿部吉雄, 「日本의 忠孝論」, 『退溪學報』 15, 1977. | 미소장 |
51 | 友枝龍太郞, 「人倫의 道로서의 忠과 孝」, 『退溪學報』 15, 1977. | 미소장 |
52 | 이남영, 「< 特輯 > 第15集 刊行紀念 : 韓國倫理思想의 傳統 - 특히 忠孝思想을 중심으로 - ; 忠孝의 理念과 그 思想的屈折」, 『退溪學報』 15, 1977. | 미소장 |
53 | 이원순, 「충효교육의 기본인식」, ≪교육제주≫ 1977.8. | 미소장 |
54 | 金哲埈‧韓永愚‧尹炳奭, 北韓硏究叢書5集 北韓社會科學院이 發刊한 「朝鮮史」 批判, 社團法人 北韓硏究所. 1978. | 미소장 |
55 | 박근혜, 『새마음의 길』, 구국여성봉사단. 1979. | 미소장 |
56 | 교육부, 『사회 5-2』, 2021. | 미소장 |
57 | 교육부 보도자료, 「초등 3~6학년 사회, 수학, 과학 교과서 검정 전환계획예고」, 2019.7.30.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8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