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창작 활동과 연계한 명화 감상 활동 과정에서 나타난 유아의 변화 탐색 = Changes in children during appreciation of masterpieces related to creative activities / 오현미 ; 전홍주 1
[요약] 1
I. 서론 2
II. 연구방법 4
1. 연구 참여자 4
2. 창작 활동과 연계한 유아 명화 감상 교수모형 구성과 실시 4
3. 자료수집 및 분석 10
III. 연구결과 11
1. 창작 활동과 연계한 명화 감상 활동 과정에서 나타난 유아의 변화 11
IV. 논의 및 결론 22
참고문헌 25
ABSTRACT 28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고정은 (2015). 내러티브를 활용한 유아 명화감상활동 프로그램 개발 연구. 부산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 | 교육과학기술부 (2011). 유치원 기본과정 내실화를 위한 창의성교육 프로그램. 세종: 교육과학기술부. | 미소장 |
3 | 교육인적자원부 (2005). 유아를 위한 명화감상 활동자료. 세종: 교육인적자원부. | 미소장 |
4 | 김명숙 (2018). 협동적 반응중심모형에 기초한 유아미술 감상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강릉원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5 | 김성임 (2013). 유아명화감상활동 운영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개선점 연구. 부산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6 | 김성희 (2015). 이야기꾸미기와 연계한 유아 미술 감상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7 | 김현미, 김성희 (2016). 해석적 감상에 기반한 명화감상활동이 만 4세 유아의 언어능력과 공간지각력에 미치는 효과.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7(4), 799-820. https://dx.doi.org/10.22154/JCLE.17.4.34 | 미소장 |
8 | 김혜영, 정지현 (2012). 미술 감상교육 활동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태 및 교육 실천적 의미에 관한 연구. 아동교육, 21(2), 105-126. | 미소장 |
9 | 남은정 (2011). 반응중심이론을 활용한 조선후기 풍속화 감상지도방안연구: 초등학교 6학년을 중심으로.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0 | 류승희, 김수정, 이정욱 (2016). 유아와 부모의 미술관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유아교육연구, 36(3), 49-78. https://dx.doi.org/10.18023/kjece.2016.36.3.003 | 미소장 |
11 | 박미화 (2004). 수용미학에 의한 초등 미술 감상 교육 방법 연구.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2 | 박영욱 (2003). 매체에 대한 인식론적 고찰: 맥루언의 매체 분류와 칸트의 두 가지 판단. 시대와 철학, 14(1), 39-50. | 미소장 |
13 | 박은선 (2018). 유아를 위한 스토리텔링 현대미술 감상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4 | 박지연 (2020). 유아의 미술 다시 보기: 회화적 재료-되기 과정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5 | 배정혜, 최연철 (2017). 명화감상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연구, 19(2), 1-15. | 미소장 |
16 | 백승선, 정설희 (2018). 시각적 사고전력에 기초한 명화감상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및 그리기 표상능력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24), 481-510. https://dx.doi.org/10.22251/jlcci.2018.18.24.481 | 미소장 |
17 | 서영선 (2005). 조형활동을 통한 협동학습에서 사회적 능력별 집단구성에 따른 또래 상호작용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8 | 손명희, 배지희 (2010). 만 5세 맑은 반의 미술관 관람 활동 개선을 위한 실행연구. 아동교육, 19(2), 115-136. | 미소장 |
19 | 오현미 (2022). 창작활동과 연계한 유아 명화감상 교수모형 개발 및 적용 효과.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20 | 윤현숙 (2005). 유아를 위한 균형적 미술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21 | 이상미 (2012). 미술감상을 통한 포괄적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22 | 이예숙 (2007). 명화감상을 통한 감정이입 활동이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 및 대인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3 | 이용숙, 김영천 (1998). 교육에서의 질적 연구. 파주: 교육과학사. | 미소장 |
24 | 이윤영 (2009). 명화감상을 통한 언어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5 | 이현아 (2015). 초등미술교육의 이해. 서울: 창지사. | 미소장 |
26 | 이혜경 (2009). 체력증진 신체활동이 유아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7 | 이화도, 정은정 (2010). 유아의 ‘자율적 미술활동’에 대한 현상학적 이해. 유아교육연구, 30(5), 151-169. https://dx.doi.org/10.18023/kjece.2010.30.5.007 | 미소장 |
28 | 임부연, 신예람, 정진성 (2015). 유아교실의 조형활동에서 심미적 매체에 대한 의미 탐색. 유아교육연구, 35(1), 259-280. https://dx.doi.org/10.18023/kjece.2015.35.1.012 | 미소장 |
29 | 임정아 (2019). 명화감상과 연계된 조형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및 미술성향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30 | 장은하 (2012). 반응 중심 이론에 기초한 초등학교 미술 감상 지도 방안.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31 | 정미경 (1999). 미적요소에 기초한 활동중심 통합미술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미술표현능력 및 미술감상능력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32 | 정수진 (2019). 유아 미술감상교육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예술교육연구, 17(3), 205-225. | 미소장 |
33 | 조성욱, 권세경 (2015). 미술 감상교육에 대한 영유아 교사의 인식 및 실태와 요구.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53, 409-418. | 미소장 |
34 | 조은정 (2009). 극놀이와 연계한 유아 미술감상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전남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35 | 지성애, 박찬옥, 유구종, 조형숙 (2010). 유치원교육과정에 기초한 총체적 유아 미술교육프로그램 개발. 유아교육학논집, 14(5), 99-133. | 미소장 |
36 | 진은영 (2001).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기효능감 및 정상경험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37 | 최다혜 (2019). 창작 활동과 연계한 미술 감상․비평 수업 연구: 예술고등학교 미술전시회를 통한 미술 감상ㆍ비평 수업의 설계와 실제.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38 | 편정원 (2013). 재활용 PET병을 활용한 친환경 미술수업 지도연구: 중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39 | 하광주, 김소향 (2015). 다중지능을 활용한 명화감상 활동이 유아의 미적 반응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2(2), 27-52. | 미소장 |
40 | 허 균 (2013). 옛 그림을 보는 법: 전통미술의 상징세계. 파주: 돌베개. | 미소장 |
41 | Arce, E. (2013). Curriculum for young children. Belmont, CA: Wadsworth. | 미소장 |
42 | Bogdan, R. C., & Biklen, S. K. (2015). 교육의 초보연구자를 위한 질적 연구 방법론의 기초 [Qualitative research for education: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methods (5th ed..)] (조정수 옮김). 서울: 경문사. (원전1982년 출판) | 미소장 |
43 | Feeney, S., & Moravick, E. (1987). A thing of beauty: Aesthetic development in young children. Young Children, 42 (6), 7-15. | 미소장 |
44 | Geahigan, G. (1997). The discipline of art criticism: Implications for practice. Visual Arts Research, 23 (2), 145-157. | 미소장 |
45 | Housen, A. (1983). The eye of the beholder: Measuring aesthetic developm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rvard Graduate School of Massachusetts, USA Education. | 미소장 |
46 | Koster, J. B.(2005). Growing artists: Teaching art to young children (3rd ed.). Albany, NY: Delmar. | 미소장 |
47 | Parsons, M. (1987). How we understand art: A cognitive developmental account of aesthetic experience. New York, NY: Cambridge University. | 미소장 |
48 | Seefeldt, C., & Barbour, N. (1998). Early childhood education (4th ed.).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8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