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현행 법률에 규정되어 있는 성폭력범죄는 정해져 있으나, 그 행위의 태양(態樣) 및 수단은 진화하고 있고, 교묘해지고 있다. 최근에는 성관계 사진 내지 영상을 넘어 성관계 시 동의 없는 음성 녹음(=성관계 시 음성 녹음)의 경우에도 형사처벌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한 논의는 현행 성폭력처벌법상의 촬영죄를 비교 대상으로 삼지 않을 수 없다. 성관계 시 음성 녹음 행위에 대한 개정법률안이 촬영죄와 구성요건이 행위의 태양 및 수단에서만 차이가 있을 뿐 동일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여기서의 쟁점 역시 사람의 음성의 범위와 이러한 음성이 성적 욕망 또는 성적 수치심을 유발하는가 하는 점이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성관계 시 음성 녹음 행위 역시 촬영죄와 마찬가지로 그 규정의 해석 및 적용에 있어 모호한 측면이 있고, 이 규정을 당해 행위 발생 시 적용하게 되면 헌법 및 형사법의 기본원리 및 기본원칙에도 반한다. 오히려 성관계 시 음성 녹음 행위는 수사절차 및 공판절차에서 증거로 활용할 수 있고, 성범죄 및 무고로부터 결백을 밝히는 데 있어 스스로를 보호할 수 있는 유일한 수단이 된다고 할 수 있다. 즉, 양 당사자 모두에게 긍정적인 효과가 더 크다고 본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국내 민간투자사업 표준실시협약상 불가항력 조항의 개선점 = Critics on the force majeure clause under standard implementation agreement of Korean PPP projects : 해외 사례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정홍식, 김규진 p. 5-51

성관계 시 동의 없이 음성을 녹음하는 행위에 대한 형사처벌의 타당성 여부 = Richtig oder nicht der Gültigkeit der strafrechtlichen Strafe über die aufzeichnende Handlung die Stimme ohne Einverständnis während des Sex 송승현 p. 53-113

가정폭력처벌법에 대한 스토킹처벌법의 시사점과 한계 :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alking Punishment Act to the Domestic Violence Punishment Act : focusing on the response of police officers / 경찰관의 대응을 중심으로 소병도 p. 115-140

전자주주총회에 관한 입법 동향 및 사례 연구 : Legislative trends and case studies on virtual shareholders' meetings : focusing on Japanese legislative trends and cases about virtual-only shareholder's meetings / 현장대체형 전자주주총회에 관한 일본의 입법 동향과 사례를 중심으로 서지원 p. 141-176

유통3법상 지방자치단체에 분쟁조정 및 감독 권한을 부여 또는 위임하는 방안 = A study to give local governments authorities to mediate dispute and supervise under three acts in the distribution field 정주미 p. 205-231

미국 특허법 제103조(비자명성)는 기존 판례의 성문화인가? = Is article 103(non-obviousness) of the US Patent Act a codification of judicial precedents? 윤권순 p. 177-204

플랫폼 경제에 대한 경쟁법 적용에 관한 고찰 = Market definition in the platform economy : 시장획정을 중심으로 최지현 p. 234-264

참고문헌 (5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경근, 「일반헌법학」, 법문사, 2014. 미소장
2 강경근, 「헌법」, 법문사, 2002. 미소장
3 배종대, 「형법총론」전정판, 홍문사, 1995. 미소장
4 성낙인, 「헌법학」제15판, 법문사, 2015, 1019면. 미소장
5 이재상, 「형법총론」제5판(보정판), 박영사, 2007. 미소장
6 이형국, 「형법총론」제4판, 법문사, 2007. 미소장
7 임 웅, 「형법총론」제5정판, 법문사, 2013. 미소장
8 정성근/박광민, 「형법총론」제5판, 삼영사, 2011. 미소장
9 조준현, 「형법총론」3정판, 법원사, 2004. 미소장
10 김수정/이장한, “성별에 따른 얼굴 제시유형이 음성식별 정확성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제18권 제3호, 한국자료분석학회, 2016. 미소장
11 김승석/곽근창, “Multimodal Non-Cooperative User Identification Technique in Network-based Robot Environments”,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제9권 제6호, 한국정보기술학회, 2011. 미소장
12 민영성, “目擊者에 의한 犯人識別陳述의 適正한 信用性評價를 위한 擔保方案”, 「저스티스」제79호, 한국법학원, 2004. 미소장
13 백승민, “형사절차에 있어서 범인식별에 관한 연구”, 「저스티스」제102호, 한국법학원, 2008. 미소장
14 변종필, “형법의 임무”, 「형사정책연구」제8권 제4호,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997. 미소장
15 송승현, “교차로 우회전 통행방법의 타당성 문제”, 「법학연구」제61권 제3호, 부산대학교법학연구소, 2020. 미소장
16 송승현, “구(舊) 청소년성보호법 제8조 제2항 및 제4항에서 아동․청소년이용음란물의 정의의 위헌 여부 - 헌법재판소 2013헌가17, 2013헌가24, 2013헌바85(병합) -”, 「고려법학」제80호,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2016. 미소장
17 송승현, “권장소비자가격 표시금지제도(규정)의 위헌성 여부”, 「법조」제713권 제2호, 법조협회, 2016. 미소장
18 송승현, “변호인 접견교통권과 인권 보장 간의 괴리”, 「법학논문집」제43집 제3호,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 2019. 미소장
19 송승현, “불량식품범죄에 대한 식품위생법 일부법률개정안의 타당성 문제”, 「법학연구」 제17집 제1호,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미소장
20 송승현, “성매매처벌법 제21조 제1항의 위헌성 여부”, 「서울대학교 법학」제56권 제3호,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미소장
21 송승현, “성폭력처벌법 제14조 제1항 카메라 등을 이용한 촬영죄의 판단 문제”, 「법학논총」제24집 제1호,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17. 미소장
22 송승현, “적법절차원리의 재검토”, 「법학논총」제22집 제1호,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15. 미소장
23 송승현, “정신병질자에 대한 치료감호법상의 치료행위에 외과적인 뇌수술의 허용여부”, 「홍익법학」제17권 제2호,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미소장
24 송승현, “트랜스휴먼 및 포스트휴먼 그리고 안드로이드(로봇)에 대한 형법상 범죄주체의 인정여부” 「홍익법학」제17권 제3호,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미소장
25 송승현, “함정수사의 형사책임과 한계”,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2014. 미소장
26 이용식, “형법의 임무-법익보호인가, 사회윤리보호인가?”, 「피해자학연구」제9권 제2호, 한국피해자학회, 2001. 미소장
27 이윤/조은경, “범인음성식별절차에 있어서의 언어장막효과(Verbal Overshadowing Effect)와 눈감기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 사회 및 성격」제25권 제4호, 한국심리학회, 2011. 미소장
28 이재식, “좌우 화살표로 구성된 복합자극에 대한 전역-국소처리에서의 성별 차이”,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제18권 제1호, 한국자료분석학회, 2016. 미소장
29 임용석/이재식, “상황인식에 대한 성차와 언어 및 공간 작업기억 능력의 상호작용 효과”,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제13권 제6호, 한국자료분석학회, 2011. 미소장
30 최재승, “잡음 환경 하에서의 남녀성별 식별 알고리즘”,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제10권 제11호, 한국정보기술학회, 2012. 미소장
31 Hume, David,「A TREATISE OF HUMAN NATURE[인간이란 무엇인가 –오성․정념․도덕-]」 (김성숙 옮김), 동서문화사, 2014. 미소장
32 Ratey, John J, 「A USER’S GUIDE TO THE BRAIN[뇌, 1.4킬로그램의 사용법]」(김소희옮김) (최준식 감수), ㈜북이십일 21세기북스, 2013. 미소장
33 길민권, “[데이터융합포럼 특별기고-10] AI와 프라이버시”, 「이슈」, 데일리시큐, 2021.05.17. 미소장
34 오효진, “음성인식 AI 시장, 스타트업 날개 달고 고속 성장중”, 「K-Startup Info.」, 벤처스퀘어, 2021.10.20. 미소장
35 유성민, “AI 스피커 보안 책임지는 ‘화자인식’ 성문 분석해 사용자 구별 가능”, 「기획․칼럼」, 사이언스타임즈, 2018.12.20. 미소장
36 윤경진, “[단독] 네이버, AI 영토 확장…'클로바 보이스 크리에이터' 출원”, 「IT일반」, 신아일보, 2021.10.06. 미소장
37 Del Carmen, Rolando V, 「Criminal procedure : law and practice」5th ed, Belmont, CA :Wadsworth/Thomson Learning, 2001. 미소장
38 Innocence Project, 「Reevaluating lineups : why witnesses make mistakes and how to reduce the chance of a misidentification」, Benjamin N. Cardozo School of Law, Yeshiva University, 2009. 미소장
39 Loftus, Elizabeth F., 「Eyewitness Testimony : With a New Preface」, Harvard University Press, 1996. 미소장
40 Wilcock, Rachel/Bull, Ray/Milne, Rebecca, 「Witness Identification in Criminal Cases :Psychology and Practice」,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미소장
41 Cela-Conde, Camilo J./Ayala, Francisco J./Munar, Enric/Maestú, Fernando/Nadal, Marcos/Capó, Miguel A./del Rio, David/López-Ibor, Juan J./Ortiz, Tomás/Mirasso, Claudio/Marty, Gisèle, “Sex-relate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neural correlates of beauty”,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106(10),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2009. 미소장
42 Cook, Susan/Wilding, John, “Earwitness testimony 2 : Voices, faces and context”, 「Applied Cognitive Psychology」11(6), John Wiley & Sons Ltd, 1997. 미소장
43 idem, “Higher face recognition ability in girls: Magnified by own-sex and own-ethnicity bias”, 「Memory」14(3), Psychology Press, 2006. 미소장
44 Kimchi, Ruth/Amishav, Rama/Sulitzeanu-Kenan, Anat, “Gender differences in global-local perception? Evidence from orientation and shape judgments”, 「Acta psychologica」130(1), North Holland Publishing, 2009. 미소장
45 M. Kos/Damjan Vlaj/Z. Kacic, “Speaker's gender classification and segmentation using spectral and cepstral feature averaging”, 「Computer Science」2011 18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ystems, Signals and Image Processing, 2011. 미소장
46 P. B. Patil, “Multilayered Network for LPC Based Speech Recognition”, 「IEEE transactions on consumer electronics」44(2), IEE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1998. 미소장
47 Perfect, Timothy J./Wagstaff, Graham F./Moore, Dawn/Andrews, Blake/Cleveland, Victoria/Newcombe, Sarah/Brisbane, Kelly-Ann/Brown, Leanne, “How can we help witnesses to remember more? It's an (eyes) open and shut case”, 「Law and Human Behavior」32(4),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08. 미소장
48 Perrachione, Tyler K./Del Tufo, Stephanie N./Gabrieli, John D. E., “Human voice recognition depends on language ability”, 「Science」333(6042),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2011. 미소장
49 Rehnman, Jenny/Herlitz, Agneta, “Women remember more faces than men do”, 「Acta psychologica」124(3), North Holland Publishing, 2007. 미소장
50 Silverman, Irwin/Choi, Jean/Mackewn, Angie/Fisher, Maryanne/Moro, Judy/Olshansky, Esther, “Evolved mechanisms underlying wayfinding: further studies on the hunter-gatherer theory of spatial sex differences”, 「Human Behavior and Evolution Society」21(3), Elsevier Science, 2000. 미소장
51 Sinnett, Scott/Spence, Charles/Soto-Faraco, Salvador, “Visual dominance and attention:The Colavita effect revisited”, 「Perception & Psychophysics」69(5), Psychonomic Society, 2007. 미소장
52 Steblay, Nancy/Dysart, Jennifer/Fulero, Solomon/Lindsay, R. C., “Eyewitness accuracy rates in police showup and lineup presentations: a meta-analytic comparison”, 「Law and human behavior」27(5),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03. 미소장
53 Steblay, Nancy/Dysart, Jennifer/Fulero, Solomon/Lindsay, R. C., “Eyewitness accuracy rates in sequential and simultaneous lineup presentations: a meta-analytic comparison”, 「Law and human behavior」25(5),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01. 미소장
54 Wagstaff, Graham F./Brunas-Wagstaff, Jo/Cole, Jon/Knapton, Luke/Winterbottom, James/Crean, Vicki/Wheatcroft, Jacqueline, “Facilitating memory with hypnosis, focused meditation, and eye closure”, 「Int J Clin Exp Hypn」52(4), Routledge, 2004. 미소장
55 Wilding, J./Cook, S., “Sex differences and individual consistency in voice identification”, 「Perceptual and motor skills」91(2), SAGE, 2000. 미소장
56 Wright, Daniel B./Sladden, Benjamin, “An own gender bias and the importance of hair in face recognition”, 「Acta psychologica」114(1), North Holland Publishing, 2003. 미소장
57 Yu-Min Zeng/Zhen-Yang Wu/Tiago H. Falk/Wai-yip Chan, “Robust GMM based gender classification using pitch and RASTA-PLP parameters of speech”, 「IEEE Xplore」2006,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achine Learning and Cybernetics, 2006.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