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공공의료의 공정한 분배를 통해 모든 국민의 건강수준에 격차가 없는 상태, 즉 국민의 건강형평성이 이루어진다. 건강형평성은 자원, 접근성 혹은 편견 등에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요인 중 개선 가능한 구조적 원인을 찾아 정책적으로 수정하는 것이 공공의료의 역할 중 하나로 우리나라에서는 국민건강종합증진계획을 통해 건강형평성을 제고하고 있다. 국민 사망률 1위인 암은 예방하는 것부터 치료후 과정까지 필요한 자원과 정책은 치료 단계나 암종에 따라 다양하다. 이에 암관리종합계획, 중증질환보장성 강화정책을 통해 암 관리 전주기 건강형평성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본 글에서는 현재우리나라 암 예방 및 검진, 암 치료, 암 생존자 관리 및 호스피스·완화의료에 이르기까지 암의 주기, 대상자의 사회경제적 요인과 지역에 따른 건강형평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각 단계별 적용되는 구체적인 정책과 사각지대를 파악하고, 개선을 모색하기 위해 다른 나라의 사례도 참고하였다. 각 상황별수정가능한 요인 고찰을 통해 건강형평성 확보에 필요한 정책과 의료진의 노력을 모색하였다. 이러한담론을 통해 우리나라 암환자의 전주기에서 건강형평성을 이루고, 나아가 제4차 암관리종합계획의 비전인 ‘어디서나 암 걱정 없는 건강한 나라’가 되는데 초석이 될 것을 기대한다.

참고문헌 (6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민진, 손강주 (2018). 암, 심뇌혈관 질환자의 소득수준에 따른 사망 및 이차 질환 발생위험.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8(10), 145-157. 미소장
2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19). 2019 의료 질 평가 보고서 요약본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중심.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미소장
3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20a). 대장암(7차) 폐암(5차) 적정성 평가 결과 공개.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미소장
4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20b). 호스피스·완화의료 서비스 제도 개선 방안.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미소장
5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21). 차세대염기서열분석(NGS)기반 유전자 패널검사의 급여기준.건강보험심사평가원. 미소장
6 국립암센터 (2021a). 국가암관리사업 소개-암정보사업. 국립암센터. 미소장
7 국립암센터 (2021b). 국가암관리사업소개-암생존자통합지지사업. 미소장
8 국립암센터 (2021c). DATA로 보는 암 동향. 국립암센터. 미소장
9 국립암센터중앙호스피스센터 (2021a). 호스피스 이용 및 유형별 현황. 국립암센터중앙호스피스센터. 미소장
10 국립암센터중앙호스피스센터 (2021b). 호스피스 완화의료 전문기관. 국립암센터중앙호스피스센터. 미소장
11 국립연명의료관리기관 (2021). 2020 연명의료결정제도 연보. 국립연명의료관리기관. 미소장
12 국립연명의료관리기관 (2022). 연명의료계획서란. 국립연명의료관리기관. 미소장
13 김관옥, 신영전 (2017). 4대 중증질환 보장성 강화 정책이 의료비에 미친 영향: 본인부담금을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37(2), 452-476. 미소장
14 김남순, 송현종 (2004). 한국 여성의 만성질환 현황과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 2004(7), 39-46. 미소장
15 김동진 (2017). 지역 간 건강불평등 해소를 위한 영국의 대응 정책 분석과 함의 고찰.보건복지포럼, 2017(9), 71-85. 미소장
16 김동진 (2018). 지역박탈에 따른 사회계층 간 건강행태의 격차 현황과 과제. 보건복지포럼, 2018(6), 20-38. 미소장
17 김동진, 채수미, 최지희, 김창엽, 김새롬, 박유경, 손수인, 김명희, 박여리 (2016). 국민의건강수준 제고를 위한 건강형평성 모니터링 및 사업 개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미소장
18 김미곤, 여유진, 정해식, 김성아 (2017). 포용적 복지의 철학과 정책방향.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미소장
19 김상기 (2017년 12월 15일). 왜 가난한 사람들은 건강불평등을 자신의 책임으로만 보는 가? 라포르시안. 2021년 12월 21일 검색 https://www.rapportian.com/news/arti cleView.html?idxno=107944.html 미소장
20 김성수 (2018). 입원 암환자의 거주지역 및 병상규모가 타지역 의료기관 이용에 미치는영향. 보건정보통계학회지, 43(1), 18-25. 미소장
21 김한상, 김소희, 홍미영, 고정애, 신한나, 김경훈 (2018). 보장성 강화 효과 분석-4 대 중증질환 중심으로 일반화.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미소장
22 김한해 (2021). 제5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HP2030) 에서의 ‘건강형평성’목표: HP2020에 대한 평가와 국외 사례고찰을 바탕으로.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38(4), 33-51. 미소장
23 박금식 (2012). 여성과 지역을 위한 건강 정책 필요. 부산여성가족 Brief, 11, 1-8. 미소장
24 박선혜 (2019년 6월 5일). BRCA 검사 국내외 적용 방향은? Yakup.com. 2021년 12월 21일 검색 http://www.yakup.com/news/index.html?nid=231362&mode=view.html 미소장
25 박수경, 태윤희, 조유리 (2021). 암 사망자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이용과 관련 요인.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27(3), 1-19. 미소장
26 보건복지부 (2021a). 제4차 암관리 종합계획<2021-2025>. 보건복지부. 미소장
27 보건복지부 (2021b). 암 발생 및 사망현황. 보건복지부. 미소장
28 보건복지부 (2021c). 국가 암검진 수검률. 보건복지부. 미소장
29 보건복지부, 국립암센터중앙호스피스센터 (2021). 2019 국가 호스피스완화의료 연례보고서. 국립암센터중앙호스피스센터. 미소장
30 보건복지부, 중앙암등록본부 (2021). 2018년 암등록통계 보도자료. 미소장
31 이슬비 (2021년 8월 26일). 국내 비소세포폐암 환자 2만 5천명 급여 장벽 가로막혀. 데일리메디. 2021년 12월 21일 검색 http://www.dailymedi.com/detail.php?number=873413.html 미소장
32 이영선, 김수연, 박정환 (2020). 암 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재정 관련 어려움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21(10), 299-307. 미소장
33 이인정 (2018). 암생존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대한 영향 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9, 197-507. 미소장
34 임지혜 (2017). 소득수준에 따른 암 검진 이용현황 분석: 2014 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15(1), 329-338. 미소장
35 장형숙 (2019). 중년기 암생존자의 이차암 검진 미수검 관련요인: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 제7기 (2013-2017) 자료 이용. 융복합지식학회논문지, 7(3), 135-144. 미소장
36 전해석, 한우석, 김진경 (2019). 대장암 치료유형별 거주지역내 의료기관 이용 추이분석.서비스경영학회지, 20(1), 55-72. 미소장
37 정연, 정수경 (2017). 소득계층에 따른 의료비 부담과 부문별 비용의 추이: 중증질환을중심으로. 보건·복지 Issue & Focus, 343, 1-8. 미소장
38 조성일 (2015). 건강형평성. 대한의사협회지, 58(12), 1104-1107. 미소장
39 질병관리청-예방접종도우미 (2021). 건강여성 첫걸음 클리닉 사업 HPV 예방접종 현황. 질병관리청. 미소장
40 최슬기, 김혜윤, 황종남, 채수미, 한겨레, 유지수, 천희란 (2020). 건강정보문해력(헬스리터러시) 제고 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미소장
41 통계청 (2021). 2020년 사망원인통계 결과. 통계청. 미소장
42 통계청 (2020). 지역별면적. 통계청. 미소장
43 한국건강증진개발원 (2018). 건강불평등 제고를 위한 정책방향. 한국건강증진개발원. 미소장
44 한국건강증진개발원 (2021). 우리나라 성인 90.5% 소득수준이 건강에 영향을 미친다. 한국건강증진개발원. 미소장
45 한국건강증진개발원 (2022). 지역보건정책지원사업. 한국건강증진개발원. 미소장
46 한국갤럽 (2021). 2012-2021 스마트폰 사용률 & 브랜드, 스마트워치, 무선이어폰에 대한조사. 한국갤럽. 미소장
47 허대석 (2015). 암 치료에 있어서 맞춤의학의 현황과 전망. 대한의사협회지, 58(11), 1021-1026. 미소장
48 Alcaraz, K. I., Wiedt, T. L., Daniels, E. C., Et al (2020). Understanding and addressing social determinants to advance cancer health equity in the United States: a blueprint for practice, research, and policy. CA: a cancer journal for clinicians, 70(1), 31-46. 미소장
49 American Cancer Society (2021). Cancer Prevention & Early Detection Facts & Figures 2021-2022. Atlanta: American Cancer Society. 미소장
50 Chan, J., Polo, A., Zubizarreta, E., Et al (2019). Access to radiotherapy and its association with cancer outcomes in a high-income country: Addressing the inequity in Canada. Radiotherapy and Oncology, 141, 48-55. 미소장
51 D’Angelo, D., Di Nitto, M., Giannarelli, D., Et al (2020). Inequity in palliative care service full utilisation among patients with advanced cancer: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Acta Oncologica, 59(6), 620-627. 미소장
52 Department of Health & Social Care, UK. (2022). 10-Year Cancer Plan: Call for Evidence. London: Department of Health & Social Care 미소장
53 Duijts SF, Kieffer JM, van Muijen P, Et al (2017). Sustained employability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cancer survivors up to four years after diagnosis. Acta Oncol, 56(2), 174-82. 미소장
54 Gamble, C. R., Huang, Y., Wright, J. D., & Hou, J. Y. (2021). Precision medicine testing in ovarian cancer: The growing inequity between patients with commercial vs medicaid insurance. Gynecologic Oncology, 162(1), 18-23. 미소장
55 Kang, D.-W., Min, J., Jeon, J. Y., & An, K.-Y. (2021). Associations of health inequality factors with physical activity and sedentary behaviors in Korean cancer survivors. Supportive Care in Cancer, 29, 4809-4817. 미소장
56 Khang, Y.-H., Bahk, J., Lim, D Et al (2019). Trends in inequality in life expectancy at birth between 2004 and 2017 and projections for 2030 in Korea: multiyear cross-sectional differences by income from national health insurance data. BMJ open, 9, e030683. 미소장
57 Kim, W., Jang, S., Lee, G., & Chang, Y. J. (2021). Disparities in Cancer-Related Avoidable Mortality by the Level of Area Deprivation in South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18(15), 7856. 미소장
58 Lee, E.-y., Lee, Y. Y., Suh, M., Et al (2018). Socioeconomic inequalities in stomach cancer screening in Korea, 2005–2015: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National Cancer Screening Program. Yonsei medical journal, 59(8), 923-929. 미소장
59 National Cancer Center Japan (2020). Cancer Statistics in Japan 2019. Tokyo: National Cancer Center Japan. 미소장
60 Oldach, B. R., & Katz, M. L. (2014). Health literacy and cancer screening: a systematic review.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94(2), 149-157. 미소장
61 Shim, H.-Y., Jun, J. K., & Shin, J.-Y. (2019). Employment conditions and use of gastric cancer screening services in Korea: a nationwide survey. BMC public health, 19(1), 1-10. 미소장
62 Smith, R. A., Andrews, K. S., Brooks, D., Et al (2019). Cancer screening in the United States, 2019: A review of current American Cancer Society guidelines and current issues in cancer screening. CA: a cancer journal for clinicians, 69(3), 184-210. 미소장
63 Solar, O. & Irwin A. (2010). A conceptual framework for action on the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Discussion Paper 2 (Policy and Practice). Geneva: World Health Oraganizaion. 미소장
64 Wolf, A. M., Fontham, E. T., Church, T. R., Et al(2018). Colorectal cancer screening for average‐risk adults: 2018 guideline update from the American Cancer Society. CA: a cancer journal for clinicians, 68(4), 250-281. 미소장
65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1). Health Equity. Geneva: World Health Oraganizaion.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