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김규식은 한국 독립운동가 가운데 최초로 몽골 땅을 밟아 독립활동을 모색한 인물로서 1914년 가을 비밀리 군관학교를 세울 계획으로 한인 청년들과 함께 몽골로 향했다. 이후 자금 문제로 그의 계획이 실행되지 못하였지만, 김규식은 몽골에 남아 몽골에 진출해 있던 미국의 무역회사에 근무하며 한국 독립운동의 새로운 외교적 방안을 모색해갔다. 학자형 독립운동가였던 김규식이 독립운동 초기 중국과 몽골을 오가며 무역업에 종사한 사실은 매우 이례적인 행보이지만, 무역업을 통해 김규식은 생계와 독립자금을 해결하는 동시에 외국 무역회사의 네트워크를 활용해 한인 인사들과 긴밀히 연락을 주고받았다.
그 후 김규식이 몽골을 다시 찾은 것은 1918년으로 당시 사촌동생 김은식과 큰아들 김진동이 함께 했다. 김규식의 소개로 이태준은 김은식과 결혼한 후 1919년 김규식의 파리강화회의 참석 경비를 지원해줄 정도로 김규식과의 긴밀한 관계를 이어갔다.
마지막으로 김규식이 몽골을 방문한 것은 1921년 겨울 극동민족대회에 참석하기 위해서이다. 당시 김규식은 몽골 혁명지도자 린치노의 부인인 한인2세 남마리아를 만나 러시아로 가는 교통 편의를 제공받았다. 하지만 1925년 린치노가 소련으로 소환되자 이후 김규식을 비롯한 한인 인사들의 몽골행도 거의 찾아볼 수 없게 되었다. 이렇게 하여 한국 독립운동을 기반으로 포문을 연 20세기 초 한몽 교류도 단절되고 말았다.
독립운동 초기 김규식은 독립운동의 새로운 근거지이자 삶의 터전으로 몽골을 주목하였지만, 이후 몽골에서의 한국 독립운동은 몽골 교통·통신의 어려움과 함께 상호 연대의 필요성이 약했다는 한계점을 가지며 지속되지 못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김규식이 한국 독립운동의 새로운 근거지로 몽골로 시선을 돌릴 수 있었던 데에는 일제의 감시가 덜한 몽골에서 독립 자금과 독립운동 인재를 준비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김규식의 「자필이력서」 | 미소장 |
2 | 도산안창호선생기념사업회, 「김규식이 안창호에게 보낸 편지」, 『島山安昌浩全集』2, 2000. | 미소장 |
3 | 여운형, 「나의 回想記 1~5편」 , 『중앙』3~7월호, 1936. | 미소장 |
4 | 黃錫禹, 「나의 八人觀」, 『삼천리』4권 4호, 1932년 4월 1일. | 미소장 |
5 | 계봉우, 『北愚 桂奉瑀 資料集』1,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1996. | 미소장 |
6 | 김삼웅, 『우사 김규식 평전』, 채륜, 2015. | 미소장 |
7 | 마크 게인 지음·편집부 옮김, 『해방과 미군정 (1946.10~11)』, 까치, 1986. | 미소장 |
8 | 반병률, 『역사문화연구』朴星來敎授定年記念特別號, 한국외국어대 역사문화연구소, 2005. | 미소장 |
9 | 서중석, 『신흥무관학교와 망명자들』, 역사비평사, 2001. | 미소장 |
10 | 윤병석, 『國外韓人社會와 民族運動』, 일조각, 1990. | 미소장 |
11 | 이명화, 『島山 安昌浩의 獨立運動과 統一路線』, 景仁文化, 2002. | 미소장 |
12 | 이인섭지음·반병률 엮음, 『망명자의 수기』, 한울아카데미, 2013. | 미소장 |
13 | 이정식, 『金奎植의 生涯』, 신구문화사, 1974. | 미소장 |
14 | 임경석, 『한국 사회주의의 기원』, 역사비평사, 2003. | 미소장 |
15 | 鄭元澤 지음·洪淳鈺 편역, 『志山外遊日誌』, 探求堂, 1983. | 미소장 |
16 | 반병률, 「醫師 李泰俊(1883~1921)의 독립운동과 몽골」, 『한국근현대사연구』13, 한국근현대사학회, 2000. | 미소장 |
17 | 반병률, 「서한을 통해서 본 이태준의 독립운동」, 『연세의사학』22권 2호, 연세대 의학사연구소, 2019. | 미소장 |
18 | 배경한, 「上海·南京지역의 初期 (1911~1913) 韓人亡命者들과 辛亥革命」, 『동양사학연구』67, 동양사학회, 1999. | 미소장 |
19 | 신용하, 「신민회의 창건과 그 국권회복 운동 (상)」, 『한국학보』3권 3호, 일지사, 1977. | 미소장 |
20 | 신용하, 「新民會의 獨立軍基地 創建運動」, 『한국문화』4, 서울대 규장각한국학 연구원, 1983. | 미소장 |
21 | 오미영, 「20세기 초 한·몽 교류 연구: 몽골행(行) 한인들의 활동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몽골학과 박사학위논문, 2019. | 미소장 |
22 | 정병준, 「1919년, 파리로 가는 김규식」, 『한국독립운동사연구』60,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7. | 미소장 |
23 | Ц.Батбаяр, Кодама мицуй, пүүс Хүрээнд байсан Япончууд 1911-1921 он, УБ, 1993. | 미소장 |
24 | Ж.Урангуа, ХХ зууны эхэн үеийн Монгол улс (1911-1919), УБ: Мөнхийн үсэг, 2006. | 미소장 |
25 | Ж.Баттөр, XX зууны Монгол-Солонгосын харилцаа Ⅰ, УБ: Согоо нуур, 2000. | 미소장 |
26 | О.Батсайхан, Монголын сүүлчийн эзэн хаах VIII-богд Жавзандамба, УБ:Соёмбо принтинг, 2008. | 미소장 |
27 | МУ-ын ШУА Түүхийн хүрээлэн, Монгол улсын түүх V, УБ: Admon, 2004. | 미소장 |
28 | Н.Магсаржав, Монгол улсын шинэ түүх, УБ:Монсудар, 1994. | 미소장 |
29 | Р.Болд, Монголын тусгаар тогтнол ба Америкийн нэгдсэн улс, УБ: Nepko, 2008. | 미소장 |
30 | Х.Мэндсайхан, Монгол улс дахь гадаадын иргэдийн харьяаллын асуудад (1921-1940), УБ, 2012. | 미소장 |
31 | Ринчино, Элбек-Доржи Ринчино(Документы, статьи, письма), Улан-Удэ, 1994. | 미소장 |
32 | 二木博史, 「リンチノとモンゴル革命」, 『東京外国語大学論集』51, 東京外国語大学, 1995. | 미소장 |
33 | 青木雅浩, 『モンゴル近現代史研究 1921~1924年: 外モンゴルとソヴィエト, コミンテルン』, 東京: 早稲田大学出版部, 2011.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