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한국문학은 길게는 130여 년의 해외소개 역사를 가지고 있고, 40여 년의 정책적인 해외소개 사업을 거쳐 왔다. 이 같은 한국문학의 오랜 숙원인 ‘한국문학의 해외소개’ 또는 ‘한국문학의 세계화’가 ‘세계문학으로서의 한국문학’이라는 새로운 방향으로 가야 하고, 그에 따른 전략이 요구되고 있다. 이는 정책적인 한국문학 해외 소개를 위한 지원 사업을 펼쳐온 지 40여 년이 넘는 상황을 고려할 때 그간의 성과를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차원의 인식과 방향 모색이 필요하다는 의미일 것이다. 한국문학을 정책적으로 소개하면서 사용해온 ‘한국문학의 해외소개’ 또는 ‘한국문학의 세계화’라는 표현이 세계문학의 주변에서 중심으로 진입하려는 열망을 발화시킨 것이라는 점에서 더욱 그렇다.

본고에서는 이 같은 배경을 토대로 2010년대 이후 이루어진 세계문학 시장에서 한국문학이 쌓은 경험과 세계문학 중심으로 진입하고자 한 노력 및 주목받은 성과들을 살펴보고 그 의미를 자리매김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문학의 해외소개’에서 ‘한국문학의 세계화’ 과정에 이른 한국문학이 ‘세계문학으로서의 한국문학’으로 한 단계 더 나아갈 수 있는 가능성을 살펴보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세계문학으로서의 한국문학 현황과 전망 = Current status and prospects of Korean literature as the world literature 곽효환 p. 13-40

'문예창작학과'의 변모 사례 : Transformation of 'literature creation department' : in the case of Kangwon National University's department of video culture / 강원대학교 영상문화학과의 경우 한명희 p. 41-60

김선우 시에 나타난 초험적 상상과 사유의 확장 : Expansion of transcendental imagination and thought in Kim Sunwoo's poems : focusing on My Warm Ghosts / 시집 『내 따스한 유령들』을 중심으로 우정인 p. 63-87

한국소설의 베트남 결혼이주여성 재현 양상 : The reproduction of Vietnamese marriage migrant women in Korean novels : focusing on "Paprika", Sseueong written by Seo Seongran / 서성란의 「파프리카」, 『쓰엉』을 중심으로 서성란 p. 89-108

오월의 리듬, 트라우마의 율(律) : Rhythm of May, rhythm of trauma : a study on traumatic rhythm appeared on 2010s literature / 2010년대 증언문학에 나타난 트라우마적 리듬 연구 전청림 p. 109-138

2010년대 우리 그림책 형식의 변주와 확장 = Variation and expansion of Korean picture book format in the 2010s 이은주 p. 139-162

참고문헌 (2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조윤제, 『한국문학사』, 탐구당, 1986. 미소장
2 곽효환, 「한국문학의 해외소개 연구」, 건국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미소장
3 곽효환, 「2000년 이후 한국문학 콘텐츠의 세계화 경험과 방향」, 『Comparative Korean Studies』Vol.19, No.3, 2011, 178~179쪽. 미소장
4 곽효환, 「고은문학의 세계화 과정과 현황 고찰」, 『한국문예창작』 Vol.14, No.3, 한국문예창작학회, 2015. 미소장
5 권영민, 「한국문학의 해외소개, 그 실상과 문제점」, 『한국현대문학 50년』, 민음사, 1995. 미소장
6 권영민, 「한국문학의 세계화 방안에 대한 연구」, 『世界文學比較硏究』 Vol.4, 세계문학비교학회, 2000. 미소장
7 김우창, 「번역과 문학의 인식 지평」, 한국문학번역원 창립 10주년 제5회 세계번역가대회 논문집 『한국문학 해외진출 10년을 말하다, 그리고 그 이후』, 한국문학번역원, 2011, 14쪽. 미소장
8 김성곤, 「한국문학의 세계화 : 번역과 홍보를 중심으로」,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5, 국제비교한국학회, 1999. 미소장
9 김성곤, 「한국문학의 세계화를 위한 논의와 제안」,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18, No.3, 국제비교한국학회, 2010. 미소장
10 김종길, 「한국문학 세계화의 현실. 한국문학의 외국어 번역—현황과 전망」, 『한국문학의 외국어 번역』, 민음사, 1997. 미소장
11 노대원, 「한국문학의 세계화 담론에 대한 비판적 성찰」, 『우리말글』 Vol.71, 우리말글학회, 2016. 미소장
12 박소연, 「한국문학 해외소개 현황과 과제」, 『제7회 세계한글작가대회 발표자료집』, 국제펜한국본부, 2021, 91쪽. 미소장
13 삼일회계법인, 『한국문학 해외소개 중장기 전략 수립』, 한국문학번역원, 2021. 미소장
14 심재기, 「한국문학의 세계화 정책 : 문학번역가 양성을 위한 제언」, 『독일언어문학』 Vol.0, No.22, 한국독일언어문학회, 2003. 미소장
15 이태동, 「한국문학 세계화의 문제점과 해결 방안」, 『世界文學比較硏究』 Vol.4, 세계문학비교학회, 2000. 미소장
16 정명교, 「한국문학의 세계화를 향한 문학적 기반 구축에 관한 연구—교류 텍스트 구성과 번역을 중심으로」,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3, No.2, 국제비교한국학회, 2015. 미소장
17 한하경,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현대작가 시리즈 반열에 오른 『식물들의 사생활』—佛 갈리마르폴리오 시리즈로 재출간」, 『대산문화』 2009년 겨울호. 미소장
18 Bradley, Ka, 「‘한국의 소설’이 아닌 ‘한국에서 쓰여진 소설’」, 『대산문화』 2015년 가을호. 미소장
19 Byatt, Antonia, 「Arts Council funding for literature in England: An overview」, 『문화예술지원기구 비전 전략 개발과정 세미나—영국예술위원회의 비전 전략 및 문학 진흥정책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예술위원회, 2011, 51쪽. 미소장
20 Desser, Robin, 「한국문학과 해외출판사의 선택(미국편)」, 제6회 파주북시티 국제출판포럼 발표문집 『글로벌 출판시장과 문학한류의 가능성』, 출판도시문화재단, 2011. 미소장
21 뉴시스, 「루시앙 스트뤽 번역상, 최돈미…김혜순 시집 영역」, 2012. 12.15.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4&oid=003&aid=0004768503 미소장
22 머니투데이, 「신경숙, ‘엄마를 부탁해’로 ‘맨아시아문학상’ 수상」, 2015. 3.15. https://news.mt.co.kr/mtview.php?no=2012031522268231928&outlink=1&ref=https%3A%2F%2Fsearch.naver.com 미소장
23 한겨레신문, 「“세계문학으로서 한국문학 첫 장 열겠다”」, 2021. 7. 6. https://www.hani.co.kr/arti/culture/book/1002343.html 미소장
24 한국경제신문, 「김이듬 시집 『히스테리아』 2020 전미번역상·루시엔 스트릭 번역상 수상」, 2020.10.16. https://www.hankyung.com/life/article/202010166862i 미소장
25 CNB 뉴스, 「경상대 출신 김이듬 시인, 전미번역상·루시엔스트릭번역상 수상」, 2020.10.19. https://www.cnbnews.com/news/article.html?no=464604 미소장
26 Frankfurter Allgemeine Zeitung, 「Zum Schluß ein koreanisches Volklied 마지막으로, 한국 민요」, 1996.10.16. 미소장
27 KBS 뉴스, 「만장일치 심사평 “압축적, 격렬하고, 충격적인 소설” 한강 맨부커상 수상」, 2016. 5.17.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3280332&ref=A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