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서수석은 『춘추』의 성격을 ‘역사서 중의 경서[史中之經]’라고 규정하고, 『춘추』라는 책 자체의 역사적이고 철학적인 가치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것은 『춘추』가 단순히 책 속의 이론이 아니라 현실의 역사를 추동하는 살아 있는 진리임을 규명하는 작업이다. 이러한 작업을 위해 그는 크게 두 가지의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첫째, 『춘추』가 지어질 수밖에 없었던 역사적 배경을 분석함으로써 『춘추』가 시대적 요청의 산물임을 밝히는 작업이다. 춘추시대의 정치적 혼란상을 객관적으로 분석하여, 『춘추』의 출현이 시대적 요청에 의한 불가피한 선택이었음을 규명함으로써 『춘추』의 필수불가결한 존재 이유를 명확하게 드러내 밝혔다. 둘째, 『춘추』의 천자로서의 역할을 탐색함으로써 정치 현실에서 발휘된 『춘추』의 실질적 공능을 확인하는 작업이다. 먼저 당시 천자의 위상 추락과 역할 부재의 현실을 냉철하게 분석하여, 『춘추』가 천자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 배경을 밝혔다. 그리고 『춘추』가 천자로서 현실 정치에 개입한 양상을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춘추』의 실질적인 존재 가치를 제고시켰다. 그의 연구방법은 역사에 대한 객관적 분석을 통해 『춘추』에 담긴 시대의식의 실체를 파악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두 「천명도(天命圖)」의 제작 배경과 김안국⋅김정국 형제 = Creation background of two pieces of Drawing of Heaven’s Order(天命圖) and the brother Kim Ahn Kook and Kim Jeong Kook 崔英成 p. 9-61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인(仁)에 대한 해석 연구 : A study on the Toegye(退溪) Yi Hwang(李滉)'s In(仁) : focused on the Noneosukye, Yeonpyeongdapmun and Yeonpyeongdapmungilyi, Ten Diagrams on Sage Learning "Insuldo" / 『논어석의』, 『연평답문』과 『연평답문질의』, 『성학십도』 「인설도」를 중심으로 서근식 p. 63-88

소론계(少論系) 학인 간 격물(格物) 논변의 배경과 향방 = Background and direction of discussions for Gyeokmul(格物) between scholars in Soron(少論) 이원준 p. 89-117

임녹문과 맹자 = Im Nokmun and Mencius 이장희 p. 119-141

서수석(徐壽錫)의 『춘추』 경학을 통해 본 19세기 조선조 춘추학의 연구방법론 = Research methodology of Chunqiuxue(春秋學) in 19th century Joseon via Seo Suseok’s study on Chinese classic Chunqiu(春秋) 김동민 p. 143-179

정약용이 목격한 도덕적 불구자 : Jeong Yagyong’s understanding of amoral personality : what is nonhumanness in Mencius? / 非人의 발견 오세진 p. 181-214

간재 전우의 수양론에 관한 소고 = A study on the cultivation theory by Jeon Wu : 성사심제에 기반한 경(敬)의 실천을 중심으로 강보승 p. 215-244

이병헌의 작역원위 연구 = Study on Lee Byung-hun's viewpoint on 'the explanation of making Yi’ : 『역경금문고』를 중심으로 배영섭 p. 245-269

명대 유학의 정초자, 조단 학술사상의 종합적 고찰 = A comprehensive rivew[실은 review] of Cao Duan’s Lixue as a founder in Ming Dynasty’s Confucianism 선병삼 p. 271-295

강정인의 ‘동·서 통섭(通涉)’에 대한 비판적 고찰 = A critical review of Kang Jung In’s ‘consilience of East and West’ 이상익 p. 297-324

참고문헌 (8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徐壽錫, 『春秋傳註抄纂』(『韓國經學資料集成: 春秋(11-12)』,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 1998) 미소장
2 李學勤 主編, 『春秋左傳正義』·『春秋公羊傳注疏』·春秋穀梁傳注疏』(北京大學出版社, 1999) 미소장
3 胡安國, 『春秋胡氏傳』(杭州:浙江古籍出版社, 2010) 미소장
4 朱熹, 『朱子語類』(北京:中華書局, 1986) 미소장
5 程顥/程頤, 『二程集』, 北京: 中華書局, 2004. 미소장
6 김동민, 「『春秋淺見錄』에 보이는 權近의 『춘추』 이해」(한국유교학회, 『유교사상문화연구』54, 2013.12) 미소장
7 김동민, 「『춘추』 三傳과의 비교로 본 胡安國 『춘추』 해석의 특징」(한국양명학회, 『양명학』39, 2014.04) 미소장
8 김동민, 「郭鍾錫의 『春秋』 問答을 통해본 19세기 조선조 지식인의 『춘추』이해(1)」(한국철학사연구회, 『한국철학논집』65, 2020.05)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