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강덕모, 강유원, 류주선(2018). 스트릿 댄스의 스포츠에 대한 귀속성 구명. 한국체육과학회지, 27 (3), 83-94. |
미소장 |
2 |
강성민(2013). 스포츠 구성요소의 성격. 체육과학연구, 24 (3), 531-547. |
미소장 |
3 |
강필주(2021.04.28). ‘올림픽-AG 채택’ 브레이킹 종목, 공인단체는 대한민국댄스스포츠연맹. OSEN. http://osen.mt.co.kr/article/G1111569539. 2021.12.27. 인출. |
미소장 |
4 |
김교성(2021.08.12). [뉴스 Insight] 올림픽 부진과 퇴출, 프로야구 위기. 매일신문. https://news.imaeil.com/page/view/2021080622080117125. 2022.01.29. 인출. |
미소장 |
5 |
김민수(2022.02.23) 국가대표 브레이킹 선수들, 과학적인 체육훈련 받는다. 뉴시스. https://newsis.com/view/?id=NISX20220223_0001769856&cID=10808&pID=10800. 2022.03.02. 인출. |
미소장 |
6 |
김상우(2012). 스트리트 댄스 현대 대중 무용의 역사. 서울: 도서출판 좋은 땅. |
미소장 |
7 |
김상윤(2022.01.11). 길거리 춤꾼? 난 브레이킹 국가대표! 조선일보. https://www.chosun.com/sports/sports_general/2022/01/11/2WPITNFA7NFY7JRJL2JL337PKU/?utm_source=naver&utm_medium=referral&utm_campaign=naver-news. 2022.02.15. 인출. |
미소장 |
8 |
김현지(2020.12.08). “스쿼시가 아니라 브레이크댄스가 올림픽 정식종목?...경악스럽다”. 뉴스줌. https://news.zum.com/articles/64703612. 2021.12.24. 인출. |
미소장 |
9 |
대한민국댄스스포츠연맹(2022). 관련 규정. http://www.kfd.or.kr/bbs/board.php?bo_table=rule. 2022.02.10. 인출. |
미소장 |
10 |
문병순, 김형남(2021). 파리 올림픽 출전 브레이킹선수의 준비 방안. 한국무용교육학회지, 32 (4), 133-149. |
미소장 |
11 |
박서연(2021.10.22). [POP초점]보아, ‘스우파’편파판정 논란에 악플 쇄도... 라치카와 친분 때문? 헤럴드POP. http://pop.heraldcorp.com/view.php?ud=202110222015218742195_1. 2022.02.15. 인출. |
미소장 |
12 |
박성주(2020). 스포츠의 도덕적 한계와 전략적 반칙 옹호. 한국체육철학회지, 28 (2), 41-53. |
미소장 |
13 |
박성주(2021). 스포츠윤리: 주제와 쟁점. 서울: 도서출판 북스힐. |
미소장 |
14 |
박은지(2021). 한류로서 브레이킹 논의를 위한 출발점: 비보이 홍텐 사례를 중심으로. 미디어 경제와 문화, 19 (1), 87-141. |
미소장 |
15 |
박한솔, 유환일, 임다연(2021). 브레이크댄스의 올림픽 스포츠 종목 편입에 관한 쟁점 탐색. 교육문화연구, 27 (2), 509-535. |
미소장 |
16 |
박한솔, 임다연(2021). 브레이킹의 올림픽 스포츠종목 도입에 따른 윤리적 쟁점 고찰. 한국여성체육학회지, 35(3), 59-82. |
미소장 |
17 |
안창용(2018). 스트릿 댄스 배틀 져지(Judge)의 판정경험과 가치에 관한 질적연구. 한국무용연구학회, 36(2), 171-198. |
미소장 |
18 |
윤득헌(2006). 올림픽 헌장 2004년 9월 시행(영문판) 국제올림픽 위원회. 서울: 도서출판 무지개사. |
미소장 |
19 |
윤현(2020.12.22.) 전 세계 춤꾼들, 올림픽 간다... ‘브레이킹’ 정식 종목 채택. 오마이뉴스. http://star.ohmynews.com/NWS_Web/OhmyStar/at_pg.aspx?CNTN_CD=A0002704564&CMPT_CD=P0010&utm_source=naver&utm_medium=newsearch&utm_campaign=naver_news. 2021.12.28. 인출. |
미소장 |
20 |
이우재(2010). 힙합, 새로운 예술의 탄생. 서울: 돋을새김. |
미소장 |
21 |
이우재(2019). 브레이크 댄스의 디오니소스적인 것의 관한 탐구. 한국체육철학회지, 27 (3), 73-83. |
미소장 |
22 |
이주영, 박현옥(2017). 스트릿 댄스의 배틀문화적 특성. 한국무용교육학회지, 28 (2), 157-169. |
미소장 |
23 |
장재훈(2021). 한국 브레이킹의 발전과정과 기록화 방안.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
미소장 |
24 |
Coakley, J. (2001). Sport in Society: Issues and Controversies. New York, NY: McGraw Hill. |
미소장 |
25 |
Feezell. R. (2010). A Pluralist Conception of Play. Journal of the Philosophy of Sport, 37 (2), 147-165. |
미소장 |
26 |
Guttmann, A. (1978). From Ritual to Record: The Nature of Modern Sports. New York, NY: Columbia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27 |
Parry, J. (2006). Sport and Olympism: Universals and multiculturalism. Journal of the Philosophy of Sport, 33 (2), 188-204. |
미소장 |
28 |
Parry, J. (2019). E-sports are not sports. Sport, Ethics and Philosophy, 13 (1), 3-18. |
미소장 |
29 |
Ramsay, G. (2020.12.08). Breakdancing to make its Olympic debut at Paris 2024. CNN. https://edition.cnn.com/2020/12/07/sport/breakdancing-olympics-paris-2024-spt-intl/index.html. 2022.01.08. 인출. |
미소장 |
30 |
Suits, B. (1988). Tricky triad: Games, play, and sport. Journal of the Philosophy of Sport, 15 (1), 1-9. |
미소장 |
31 |
Suits, B. (2018). The elements of sport. In W. Morgan (Ed.), Ethics in Sport (3rd Ed.) (pp. 33-44). Champaign, IL: Human Kinetics. |
미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