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연구의 목적은 브레이킹이 올림픽 스포츠로 간주될 수 있는 필요충분조건을 갖추고 있는지를 개념적으로 분석하고, 올림픽 경기로서 야기될 수 있는 문제점을 파악함으로써 올림픽 스포츠로서 브레이킹이 보완해야 할 점과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스포츠 개념 연구의 대표적 학자인 Benard Suits, Allen Guttmann, 그리고 Jim Parry가 제시한 스포츠의 구성요소에 관한 문헌고찰을 토대로 브레이킹이 올림픽 스포츠로서의 특성과 조건에 부합하는지를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브레이킹의 예술적 본질과 브레이킹 대회의 환경적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브레이킹이 ‘공정한 경쟁이 될 수 있느냐’의 문제를 페어플레이와 스포츠맨십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끝으로 기존 올림픽 스포츠 종목의 제도화 과정을 고찰함으로써 브레이킹이 올림픽 정식 경기로서 안착되기 위해 무엇이 보완되어야 하고, 어떻게 개선되어야 하는지에 관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포츠 개념 연구에 관한 저명한 철학자들의 문헌과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스포츠의 필요충분조건으로 신체성, 경쟁성, 유희성, 대중성, 제도화, 규칙성을 도출하였고, 브레이킹은 신체성, 경쟁성, 유희성, 대중성에서 스포츠로 간주될 수 있는 충분한 조건을 갖추고 있으나 브레이킹 고유의 예술적 자유성, 즉흥성, 창의성으로 인해 규칙성과 제도화 측면에서는 미흡한 점을 지니고 있다. 둘째, 기존 브레이킹 대회의 환경적 특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으로 표준화된 규칙의 부재, 예술성에 기초한 주관적 판정, 비정형화된 심판 제도를 도출하였다. 셋째, 올림픽 스포츠로서 브레이킹이 보완해야 할 점으로는 체계적인 규칙의 수립과 제도화, 공정성과 올림픽정신 확립, 그리고 체계적인 심판 양성 시스템 구축을 제안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암벽등반은 삶을 어떻게 변화시키는가? : How does rock climbing change your life? : narrative inquiry on the veteran rock climber's life changes / 베테랑 암벽등반가 삶의 변화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장승현, 전원재 p. 1-15

여성 산악인의 고산등반 체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 The experience of mountaineering : a woman alpinist's autoethnography 오은선, 박정호 p. 17-31
스포츠역량 개발을 위한 탐색적 실행연구 = Exploratory action research on sports competencies development 김동학 p. 33-43

국제스포츠이벤트 개최국 이미지와 이벤트 태도, 이벤트 관여도, 미디어 시청의도의 영향관계 = The relationship among host country image of international sporting event, event attitude, event involvement, and media viewing intention 서효민, 차재혁 p. 45-57
장애인 생활체육 태권도의 프로보노 활동 지원 방안 = A study on strategies for supporting pro bono of taekwondo for the disabled 김민철, 유진호 p. 59-73

구기종목 선수의 시합 및 훈련 중 부상 발생과 부상 원인 조사 = A study of occurrence and cause of injury during match and training for ball sports players 이온, 박소영, 임정준 p. 75-87
필드하키 인조잔디구장 만족도 연구 : Field hockey artificial turf field satisfaction study : focused on FIH preferred supplier artificial turf stadiums installed in Korea / 국내 설치된 FIH Preferred Supplier 인조잔디구장을 중심으로 서일한, 김선희, 김범 p. 89-101
6일간의 비트루트 섭취가 안정시와 파워리프팅 경기 중 심혈관기능, 근손상 지표 및 1RM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beetroot intake for six days on cardiovascular function, fatigue, and 1RM at rest and during powerlifting 김수홍, 김경애, 이만균 p. 103-116
올림픽 종목으로서 브레이킹에 대한 비판적 고찰 = A critical review of breaking as an olympic sport 박한솔, 박성주 p. 117-128
지도역량에 대한 승마지도자의 인식 및 강화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awareness and improvement measures on instructional competency of equestrian instructor 이경진 p. 129-148
가상현실 스포츠실 보급 사업 활성화 방안 연구 = A study on revitalization of virtual reality sports room 문보라 p. 149-162

신국권의 제10회 LA올림픽 참가사 = History of Shin Kuk-Kwon's participation in the 10th Los Angeles Olympics 김병중, 조준호 p. 163-176
노인의 진지한 여가로서의 파크골프 참여의 의미 = The meaning of park-golf experience as serious leisure of older adults 이현진, 이록빛, 허진무 p. 177-192
스키 참여자의 여가제약과 여가제약협상 및 지속적 참여의도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constraint, leisure constraint negotiation and continuous participation intention of ski participants 김주원, 오경아, 오세이 p. 193-204
공부하는 학생선수 정책 이행과정에 대한 현실탐구 = Exploring the reality of policy implementation for studying student-athletes 최윤석, 박재우 p. 205-222
대학 축구부 프런트 경험에 대한 탐색적 연구 = Exploratory research on the experience of the college football team front desk 이규하, 박광범, 이준성 p. 223-241
무용심리상담 직무분석 기반 교육과정 개선방안 탐색 = Exploring the improvement of curriculum based on job analysis in dance psychology counseling 오유진 p. 243-255

스포츠센터 고객이 지각하는 서비스공정성이 고객침묵과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perceived service equity on customer silence and repurchase intention in the context of sports center 박준명, 한진욱, 이인엽 p. 257-273
국내 ADHD 아동·청소년 대상 신체활동 중재연구 동향 분석 = Research trends in physical activity intervention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DHD in Korea 김범철, 김설향 p. 275-295
운동하는 여성들에게 나타나는 코르셋현상과 의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henomenon and meaning of corsets in women who workout : focusing on SNS / SNS를 중심으로 권기남, 이정래 p. 297-308

참고문헌 (3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덕모, 강유원, 류주선(2018). 스트릿 댄스의 스포츠에 대한 귀속성 구명. 한국체육과학회지, 27 (3), 83-94. 미소장
2 강성민(2013). 스포츠 구성요소의 성격. 체육과학연구, 24 (3), 531-547. 미소장
3 강필주(2021.04.28). ‘올림픽-AG 채택’ 브레이킹 종목, 공인단체는 대한민국댄스스포츠연맹. OSEN. http://osen.mt.co.kr/article/G1111569539. 2021.12.27. 인출. 미소장
4 김교성(2021.08.12). [뉴스 Insight] 올림픽 부진과 퇴출, 프로야구 위기. 매일신문. https://news.imaeil.com/page/view/2021080622080117125. 2022.01.29. 인출. 미소장
5 김민수(2022.02.23) 국가대표 브레이킹 선수들, 과학적인 체육훈련 받는다. 뉴시스. https://newsis.com/view/?id=NISX20220223_0001769856&cID=10808&pID=10800. 2022.03.02. 인출. 미소장
6 김상우(2012). 스트리트 댄스 현대 대중 무용의 역사. 서울: 도서출판 좋은 땅. 미소장
7 김상윤(2022.01.11). 길거리 춤꾼? 난 브레이킹 국가대표! 조선일보. https://www.chosun.com/sports/sports_general/2022/01/11/2WPITNFA7NFY7JRJL2JL337PKU/?utm_source=naver&utm_medium=referral&utm_campaign=naver-news. 2022.02.15. 인출. 미소장
8 김현지(2020.12.08). “스쿼시가 아니라 브레이크댄스가 올림픽 정식종목?...경악스럽다”. 뉴스줌. https://news.zum.com/articles/64703612. 2021.12.24. 인출. 미소장
9 대한민국댄스스포츠연맹(2022). 관련 규정. http://www.kfd.or.kr/bbs/board.php?bo_table=rule. 2022.02.10. 인출. 미소장
10 문병순, 김형남(2021). 파리 올림픽 출전 브레이킹선수의 준비 방안. 한국무용교육학회지, 32 (4), 133-149. 미소장
11 박서연(2021.10.22). [POP초점]보아, ‘스우파’편파판정 논란에 악플 쇄도... 라치카와 친분 때문? 헤럴드POP. http://pop.heraldcorp.com/view.php?ud=202110222015218742195_1. 2022.02.15. 인출. 미소장
12 박성주(2020). 스포츠의 도덕적 한계와 전략적 반칙 옹호. 한국체육철학회지, 28 (2), 41-53. 미소장
13 박성주(2021). 스포츠윤리: 주제와 쟁점. 서울: 도서출판 북스힐. 미소장
14 박은지(2021). 한류로서 브레이킹 논의를 위한 출발점: 비보이 홍텐 사례를 중심으로. 미디어 경제와 문화, 19 (1), 87-141. 미소장
15 박한솔, 유환일, 임다연(2021). 브레이크댄스의 올림픽 스포츠 종목 편입에 관한 쟁점 탐색. 교육문화연구, 27 (2), 509-535. 미소장
16 박한솔, 임다연(2021). 브레이킹의 올림픽 스포츠종목 도입에 따른 윤리적 쟁점 고찰. 한국여성체육학회지, 35(3), 59-82. 미소장
17 안창용(2018). 스트릿 댄스 배틀 져지(Judge)의 판정경험과 가치에 관한 질적연구. 한국무용연구학회, 36(2), 171-198. 미소장
18 윤득헌(2006). 올림픽 헌장 2004년 9월 시행(영문판) 국제올림픽 위원회. 서울: 도서출판 무지개사. 미소장
19 윤현(2020.12.22.) 전 세계 춤꾼들, 올림픽 간다... ‘브레이킹’ 정식 종목 채택. 오마이뉴스. http://star.ohmynews.com/NWS_Web/OhmyStar/at_pg.aspx?CNTN_CD=A0002704564&CMPT_CD=P0010&utm_source=naver&utm_medium=newsearch&utm_campaign=naver_news. 2021.12.28. 인출. 미소장
20 이우재(2010). 힙합, 새로운 예술의 탄생. 서울: 돋을새김. 미소장
21 이우재(2019). 브레이크 댄스의 디오니소스적인 것의 관한 탐구. 한국체육철학회지, 27 (3), 73-83. 미소장
22 이주영, 박현옥(2017). 스트릿 댄스의 배틀문화적 특성. 한국무용교육학회지, 28 (2), 157-169. 미소장
23 장재훈(2021). 한국 브레이킹의 발전과정과 기록화 방안.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미소장
24 Coakley, J. (2001). Sport in Society: Issues and Controversies. New York, NY: McGraw Hill. 미소장
25 Feezell. R. (2010). A Pluralist Conception of Play. Journal of the Philosophy of Sport, 37 (2), 147-165. 미소장
26 Guttmann, A. (1978). From Ritual to Record: The Nature of Modern Sports. New York, NY: Columbia University Press. 미소장
27 Parry, J. (2006). Sport and Olympism: Universals and multiculturalism. Journal of the Philosophy of Sport, 33 (2), 188-204. 미소장
28 Parry, J. (2019). E-sports are not sports. Sport, Ethics and Philosophy, 13 (1), 3-18. 미소장
29 Ramsay, G. (2020.12.08). Breakdancing to make its Olympic debut at Paris 2024. CNN. https://edition.cnn.com/2020/12/07/sport/breakdancing-olympics-paris-2024-spt-intl/index.html. 2022.01.08. 인출. 미소장
30 Suits, B. (1988). Tricky triad: Games, play, and sport. Journal of the Philosophy of Sport, 15 (1), 1-9. 미소장
31 Suits, B. (2018). The elements of sport. In W. Morgan (Ed.), Ethics in Sport (3rd Ed.) (pp. 33-44). Champaign, IL: Human Kinetics.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