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동적 드론과 RTK 수신기를 이용한 기압계 보정정보 생성 방법론 = Methodology of correcting barometer using moving drone and RTK receiver / 김수열 ; 윤정현 ; 박병운 1

요약 1

Abstract 1

I. 서론 2

II. 고도 추정론 및 보정방법 2

2-1. 일반적인 고도 추정 방법 및 좌표계 통합 2

2-2. 정적 기준국을 활용한 보정정보 적용 방법론 3

2-3. 동적 기준국을 활용한 보정정보 적용 방법론 4

2-4. 보정정보 적용 필요성 5

III. 실험 및 결과 분석 5

3-1. 기압계 특성 및 오차 원인 5

3-2. 보정정보 생성 5

3-3. 보정정보 스마트폰 적용 결과 7

IV. 결론 7

References 8

[저자소개] 9

초록보기

압력계는 고도 산출에 이용되어왔으며 기술의 발달로 큰 부피를 가지던 압력계는 현재 수 mm~cm정도의 크기로 축소되었다. 압력계를 이용한 고도 산출은 기준 압력과 압력계로 얻어진 압력간 관계를 이용하여 진행되며, 이를 위해 기압계의 사전 보정이 필수적이다. 또한 압력계는 생산과정 특성상 실제 압력과 일정 수준의 바이어스가 존재하며, 많은 스마트폰 제조사들은 이를 제조 과정에서 보정하는 것으로 추정되나 환경변수에 의한 오차는 그 특성상 사전에 보정하기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해당 연구에서는 정적 기준국을 이용한 압력계 보정정보 생성론을 확장하여 이동하는 드론에서 보정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적용함으로써 압력계를 이용한 고도 산출을 목표로 하였으며 실험을 통해 드론 보정정보의 생성 및 적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항공기 무장/장착물의 안전 분리 및 성능 검증을 위한 점검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est system for safety separation and performance verification of aircraft weapons/equipment 김효중, 김양원, 권병기 p. 47-53

보기
FAA 사례 기반 국내 항공안전정보 공유·활용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sharing and utilizing the domestic aviation safety information based on FAA case 박유림, 김준환, 최현선, 정민주 p. 54-62

보기
동적 드론과 RTK 수신기를 이용한 기압계 보정정보 생성 방법론 = Methodology of correcting barometer using moving drone and RTK receiver 김수열, 윤정현, 박병운 p. 63-71

보기
효율적인 경로 선택을 위한 Q-Learning 정책 및 보상 설계 = Q-learning policy and reward design for efficient path selection 용성중, 박효경, 유연휘, 문일영 p. 72-77

보기
다중 신호원에 대한 닫힌 형태 기반 3차원 위치 추정 = Closed-form based 3D localization for multiple signal sources 고요한, 부성춘, 이철수, 임재욱, 채주희 p. 78-84

보기
고출력 위협신호 모의장치 개발 및 추적레이다 연동 = Development of high power threat signal simulator and interfacing tracking radar 곽용길 p. 85-90

보기
실제 지형과 기지국 배치를 고려한 UTM 통신을 위한 LTE 통신망 3차원 커버리지 분석 = 3D coverage analysis of LTE network for UTM services considering actual terrain and base station layouts 장민석, 김대호, 김희욱, 정영호 p. 91-98

보기
항공기 장착 유도탄의 KW급 전력변환장치 설계와 정류방식에 따른 연구 = A study on the design and rectification method of a KW class power converter unit for an aircraft mounted guided missile 김형재, 정재원, 이동현, 김길훈, 문미연 p. 99-104

보기
무인 수중글라이더의 에너지 효율 개선을 위한 제어방법 개발 = Development of control method for improving energy efficiency of unmanned underwater gliders 나승규, 고성협, 지대형, 천승재, 정성훈, 최형식, 김준영 p. 105-112

보기
타이어 밴드 직물의 불량유형 분류를 위한 불량 픽셀 하이라이팅 = Highlighting defect pixels for tire band texture defect classification 소로, 고재필 p. 113-118

보기
저가형 측위장치에 RTS 보정정보의 실시간 LSTM 예측 기능 구현을 통한 PPP = Real-time LSTM prediction of RTS correction for PPP by a low-cost positioning device 김범수, 김민규, 김정래, 부성춘, 이철수 p. 119-124

보기

참고문헌 (1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KMA). Auto Weather Station(AWS) Data[Internet], Available: https://web.kma.go.kr/weather/observation/aws_table_popup.jsp 미소장
2 STMicroelectronics(ST). MEMS nano pressure sensor[Internet], Available:https://www.st.com/resource/en/datasheet/dm00140895.pdf 미소장
3 Er. Naser.F.AB.Elmajdub, Dr.A.K. Bharadwaj, “Important Pitot Static System in Aircraft Control System”, American Journal of Engineering Research (AJER), Vol. 3, No. 10, pp. 138-144, Jan.2014 미소장
4 Google Developers. Environment Sensors[Internet], Available:https://developer.android.com/guide/topics/sensors/sensors_environment 미소장
5 J. H. Yun, B. W. Park, L. C. Lim, Y. L. Lee, Y. B. Lee, and E. Y. Lee, "Integrated Positioning using GNSS and Barometer in Poor Satellite Observation Environments," in Proceeding of 2021 Korean Navigation Institute, pp. n-m, 2020 미소장
6 GNSS data Center. GNSS Stations[Internet], Available:https://gnssdata.or.kr/download/getDownloadView.do 미소장
7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NASA). Earth Atmosphere Model[Internet], Available:https://www.grc.nasa.gov/www/k-12/airplane/atmosmet.html 미소장
8 C. S. Lim, B. W. Park, "Performance Comparison of VRS and FKP Network RTK User According to Baseline Length, Journal of Advanced Navigation Technology, 24, 6, 540-548, Dec. 2020. 미소장
9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KMA). Vertical Reference[Internet], Available:http://map.ngii.go.kr/ms/mesrInfo/vertclStdrOpenLctre.do 미소장
10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de. Geoid height map[Internet], Available:http://map.ngii.go.kr/ms/mesrInfo/geoidIntro.do 미소장
11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KMA). Automatic Weather Station [Internet], Available:https://www.kma.go.kr/kma/biz/observation02.jsp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