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일본의 寺島良安은 1712년에 序文을 집필하여 105권에 달하는 圖說百科大辭典인 『和漢三才圖會』를 간행하였다. 이 책은 간행 후 일본인들의 절찬을 받으며 널리 이용되었고, 뒤에는 원판의 크기를 줄인 縮刷版이 나왔을 정도로 이후 일본인들에게 지식의 원천이 되다시피 한 것으로 지금도 일본에서는 꽤 유명하다. 그런데 이 책의 내용에 3부분에 걸쳐 백제 王仁에 관해 서술하였으며, 특히 그중에는 王仁의 『千字文』 일본 전파 사실을 확실히 인정하는 대목도 분명하게 서술되어 있다.
기실 이러한 사실은 이미 한국의 韓致奫(1765-1814)이 百科事典인 『海東繹史』를 편찬하면서 개인 전기의 하나로 王仁에 관해서도 서술하며 寺島良安이 『和漢三才圖會』에 서술한 그 3부분의 핵심 내용을 추려서 제시하고 있음에서 진즉 확인하고 있었음이 증명된다. 다만 지금껏 한국에서는 寺島良安의 『和漢三才圖會』에 대해서 도외시하였고, 韓致奫의 『海東繹史』에 대해서도 면밀하게 분석한 적이 거의 없었기에, 이러한 역사적 사실이 제대로 인식된 바가 없었을 따름이다.
한편 중국 淸末의 외교관 黃遵憲은 1877년 일본에 부임하여 1882년까지 6년 동안 체재하면서 샅샅이 수집한 모든 일본 관련 자료를 토대로 삼고 또한 줄기찬 역사 유적 답사릍 통해 확인한 사실을 바탕으로 일본 역사에 관한 정리를 시도하였다. 그래서 그는 1879년에는 『日本雜事詩』를, 1890년에는 『日本國志』를 간행하였다. 이 2권의 책 속에서 그 역시 百濟 王仁의 『千字文』 일본 전파 사실을 확실하게 인정하였다. 더욱이 그는 百濟 王仁이 일본에 전파한 『千字文』이 鍾繇의 그것임을 확신에 차서 기술하고 있을 정도이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黃元九, 「韓致奫의 史學思想」, 『人文科學』 7, 1962; 『東亞細亞史硏究』, 一潮閣, 1976. | 미소장 |
2 | 李基白, 「實學의 발달」, 『韓國史新論』 改正版, 1976; 『韓國史新論』 新修版, 1990. | 미소장 |
3 | 李泰鎭, 「海東繹史의 學術史的 檢討」, 『震檀學報』 53・54, 1982. | 미소장 |
4 | 黃元九, 「海東繹史의 文化史的 檢討」, 『震檀學報』 53・54, 1982. | 미소장 |
5 | 韓永愚, 「海東繹史의 연구」, 『韓國學報』 38, 1985; 改題 「19세기 초 《海東繹史》의 歷史敍述」, 『朝鮮後期史學史硏究』, 一志社, 1989. | 미소장 |
6 | 盧鏞弼 「韓致奫 『海東繹史』의 百濟 王仁 『千字文』 日本 傳播 確認論 比較史的 分析」, 『古典硏究』 60, 韓國古典飜譯院, 2022. | 미소장 |
7 | 寺島良安(데라지마てらしま 료안りょうあん, 生沒年不詳), 『倭漢三才圖會(標題)/和漢三才圖會(內題)』 全81冊 105卷, 1712; 影印本, 국학자료원, 2002; 『和漢三才圖會』, 1901;東京:吉川弘文館, 1906; 影印本, 民俗苑, 2014. | 미소장 |
8 | 島田勇雄(시마다しまだ 이사오いさお, 1991-1990)・竹島淳夫・樋口元巳 譯注, 『和漢三才圖會』 全18卷, 東京:平凡社, 1981-1991. | 미소장 |
9 | 淸原貞雄, <史料編纂及び蒐輯事業>, 「德川時代」, 『日本史學史』, 東京:中文館, 1928. | 미소장 |
10 | 坂本太郞, <初期の儒學者の業績>, 「歷史の學問的硏究の芽ばえた時代」, 『日本の修史と史學』, 東京:至文堂, 1958; 『日本の修史と史學:歷史書の歷史』, 東京:講談社, 2020. | 미소장 |
11 | 坂本太郞, 박인호, 임상선 옮김, 『일본사학사』, 첨성대, 1991. | 미소장 |
12 | 保立道久, 「津田左右吉 『日本古典の硏究』」, 『日本史學』, 東京:人文書院, 2015. | 미소장 |
13 | 竹內理三・山田英雄・平野邦雄 共編, 『日本古代人名辭典』 1-7, 東京:吉川弘文館, 1977. | 미소장 |
14 | 三省堂編修所 編, 上田正昭・津田秀夫・永原慶二 等 監修, 『コンサイス日本人名事典』<改訂新版・机床版>, 東京・三省堂, 1994. | 미소장 |
15 | 黃遵憲, 『日本國志』, 羊城:富文齋, 1890; 『續修四庫全書』 745 史部 地理類, 上海:上海古籍出版社, 1996. | 미소장 |
16 | 黃遵憲, 李紹平 校點, 『日本國志』 (上・中・下), 長沙:岳麓書社, 2016. | 미소장 |
17 | 黃遵憲, 『日本雜事詩』 原本, 北京:同文館, 1879; 香港:循環報館, 1879; 上海:游藝圖書社, 1909. | 미소장 |
18 | 黃遵憲, 『日本雜事詩』 定本, 長沙:富文堂, 1898. | 미소장 |
19 | 黃遵憲, 鍾叔河 輯校, 『日本雜事詩廣注』, 長沙:湖南人民出版社, 1981. | 미소장 |
20 | 黃遵憲, 吳振淸 等編校整理, 『日本雜事詩』, 『黃遵憲集』(上), 天津:天津人民出版社, 2003. | 미소장 |
21 | 黃遵憲, 實藤惠秀・豊田穰 譯, 『日本雜事詩』, 東京:生活社, 1943; 東洋文庫 111, 東京:平凡社, 1968. | 미소장 |
22 | 鄭海麟, 張偉雄 編校, 『黃遵憲文集』, 京都:中文出版社, 1991. | 미소장 |
23 | 吳振淸 等編校整理, 『黃遵憲集』(上下), 天津:天津人民出版社, 2003. | 미소장 |
24 | 麥若鵬, 『黃遵憲傳』, 上海:古典文學出版社, 1957. | 미소장 |
25 | 楊天石, 『黃遵憲』, 上海:上海人民出版社, 1979. | 미소장 |
26 | 鄭海麟, 『黃遵憲傳』, 北京:中華書局, 2006. | 미소장 |
27 | 黃升任, 『黃遵憲評傳』, 南京:南京大學出版社, 2006. | 미소장 |
28 | 楊正光 主編, 『從徐福到黃遵憲』, 北京:時事出版社, 1985. | 미소장 |
29 | 盛邦和, 『黃遵憲史學硏究』, 南京:江蘇古籍出版社, 1987. | 미소장 |
30 | 鄭海麟, 『黃遵憲與近代中國』, 北京:三聯書店, 1988. | 미소장 |
31 | 張永芳, 『文學革命的先驅-黃遵憲新論』, 中國文聯出版社/中國社會科學出版社, 2004. | 미소장 |
32 | 左鵬軍, 『黃遵憲與嶺南近代文學叢論』, 廣州:中山大學出版社, 2007. | 미소장 |
33 | 中國史學會, 中國社會科學院近代史硏究所 編, 『黃遵憲研究新論:紀念黃遵憲逝去一百周年國際學術討論會論文集』, 北京:社會科學文獻出版社, 2007. | 미소장 |
34 | 盧鏞弼, 「淸末 黃遵憲의 『日本雜事詩』・『日本國志』 著述과 그 史學史的 意義」, 『韓國史學史學報』 39, 2019. | 미소장 |
35 | 趙麗明, 黃國營 編, 『漢字的應用與傳播』, 北京:華語敎學出版社, 2000. | 미소장 |
36 | 王 醒, 『中國古代傳播史』, 太原:山西人民出版社, 2004. | 미소장 |
37 | 朱仁夫, 魏維賢, 王立禮, 「儒學日本傳播」, 『儒學國際傳播』, 北京:中國社會科學出版社, 2004.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