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츠하이머병 신약 난관, BBB 셔틀이 해결할 것"
|
글: 배진건
|
p. 16-19
|
|
|
|
진주(珍珠)와 신약
|
글: 김선진
|
p. 20-21
|
|
|
|
RNA 치료제 기술. 2, RNA간섭 치료제
|
글: 이동기
|
p. 22-27
|
|
|
|
공생의 이유
|
글: 이승우
|
p. 28-31
|
|
|
|
암세포의 전략, '미토콘드리아를 빼내라'
|
글: 김순하
|
p. 32-33
|
|
|
|
진단 피라미드, 진단 방랑을 억제하기 위한 그물망
|
글: 조인수
|
p. 34-37
|
|
|
|
Back to basic : 임상시험계획서와 임상 인력
|
글: 윤나리
|
p. 38-43
|
|
|
|
급성장하는 RNA 치료제 시장
|
글: 이우상
|
p. 46-49
|
|
|
|
mRNA 기반 항암 백신 및 치료제 개발 동향
|
글: 남궁석
|
p. 50-53
|
|
|
|
항암제부터 대사질환까지… 가능성 무한대인 RNAi 치료제
|
글: 한태수
|
p. 54-57
|
|
|
|
RNA 전달을 위한 다양한 약물전달시스템
|
글: 민달희
|
p. 58-61
|
|
|
|
RNA 치료제를 둘러싼 특허 이슈
|
글: 김정현
|
p. 62-65
|
|
|
|
올릭스 "올해에만 임상 2개 추가할 것"
|
글·사진: 이우상
|
p. 66-67
|
|
|
|
올리패스, 극미량으로 효과 내는 PNA 기반 신약 임상 확대
|
글·사진: 이우상
|
p. 68-69
|
|
|
|
RNA 기반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후보물질 중 개발 속도가 가장 빠른 바이오오케스트라
|
글: 이우상
|
p. 70-71
|
|
|
|
국내 최초 RNA 항암 신약 임상 노리는 알지노믹스
|
글·사진: 이우상
|
p. 72-73
|
|
|
|
'디그레더볼'로 RNA 치료제 출사표 던지는 레모넥스
|
글: 이우상
|
p. 74-75
|
|
|
|
'코스닥 입성' 유전자가위 기대주 툴젠 [인터뷰]
|
[인터뷰이]: 김영호 ; [취재]: 서근희 ; 글: 한재영 ; 사진: 김병언
|
p. 82-87
|
|
|
|
티앤엘, "4월부터 마이크로니들 신제품 생산, 올 매출 더욱 늘어날 것"
|
글: 김예나 ; 사진: 서범세
|
p. 88-89
|
|
|
|
앱클론, "올해 CAR-T치료제 기술이전 가능할 것"
|
글: 이도희 ; 사진: 서범세
|
p. 90-91
|
|
|
|
노벨티노빌리티, "특화된 항체 발굴·링커 기술로 아시아의 '젠맙' 될 것"
|
글: 박인혁 ; 사진: 이승재
|
p. 92-93
|
|
|
|
뷰노, "심정지 미리 알려주는 국내 최초 AI 의료기기로 시장 선도"
|
글: 김정은
|
p. 94-95
|
|
|
|
"항암·면역·재생 3대 분야서 위험 감수 피하지 않겠다" : 박찬희 JW중외제약 최고기술책임자(CTO)
|
글: 한재영 ; 사진: 김병언
|
p. 96-97
|
|
|
|
'인산화 효소 저해' 정밀 표적치료제 개발하는 보로노이 [인터뷰]
|
[인터뷰이]: 김대권 ; [취재]: 문세영 ; 글: 한재영 ; 사진: 김병언
|
p. 98-101
|
|
|
|
'전자약 1호 상장사' 리메드, "불면증 치료하는 전자기장 베개 등 다양한 시도"
|
글: 김정은 ; 사진: 신경훈
|
p. 102-103
|
|
|
|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전쟁… 제3차 대전으로 비화되나
|
글: 한상춘
|
p. 106-109
|
|
|
|
엔케이맥스, 우수한 고형암 세포치료제 임상 결과로 가능성 입증
|
글: 강하나
|
p. 114-115
|
|
|
|
신제품까지 갖춘 리오프닝 수혜주, 클래시스
|
글: 원재희
|
p. 116-117
|
|
|
|
"세계 최대 의약품 시장 미국을 잡으려면 미국에서 임상을 해야 한다" : 구영권 스마일게이트인베스트먼트 대표의 투자철학
|
글: 이우상 ; 사진: 신경훈
|
p. 118-121
|
|
|
|
제약·바이오 업계 덮친 지정학적 위기
|
글: 이지현
|
p. 122-125
|
|
|
|
개화 앞둔 RSV 백신 시장
|
글: 한민수
|
p. 126-127
|
|
|
|
혁신 멈추지 않는 제약사, 노바티스
|
글: 장세훈
|
p. 128-129
|
|
|
|
당뇨 넘어 '대사질환 No.1' 꿈꾸는 노보노디스크
|
글: 김승민
|
p. 130-131
|
|
|
|
"주사제를 경구용으로 바꾸는 로봇 알약, '바이오시밀러 강자' 韓 기업에 기회 될 것" : 라니테라퓨틱스 [인터뷰]
|
[인터뷰이]: 탈랏 임란 ; 글: 이선아
|
p. 132-133
|
|
|
|
3D 유기화합물 생산이 가능해졌다, 의약품 단가 줄어들까
|
글: 최지원
|
p. 134-135
|
|
|
|
디지털 병리진단을 위한 초고분해능 이광자 현미경
|
글: 송동훈
|
p. 140-141
|
|
|
|
횡령·배임, 매출 적어도 바이오 기업 상장폐지 가능성
|
글: 노원
|
p. 144-145
|
|
|
|
글로벌 신약 개발이 목표인 당신에게
|
글: 권진숙
|
p. 146-147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