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극 작업이 즐거운 연출가, 관객이 즐기는 연극을 지향하다 : 연출가 박성찬 [인터뷰]
|
[인터뷰이]: 박성찬 ; 인터뷰: 이은경 ; 정리: 김혜정 ; 사진: 이자경
|
p. 10-13
|
|
보기
|
|
"인물이 내쉬는 숨 그 하나하나까지 찾고 즈려밟아 전하고 싶어요" : 배우 이주영 [인터뷰]
|
[인터뷰이]: 이주영 ; 글·인터뷰: 윤성호 ; 사진: 박창현
|
p. 14-17
|
|
보기
|
|
제9회 대한민국신진연출가전 경연작 [좌담]
|
[좌담]: 이동인, 정현준, 최호영, 추태영, 박경식 ; 글·사회: 김정근 ; 사진: 이자경
|
p. 18-21
|
|
보기
|
|
2022 루마니아 바벨페스티벌 참가 : 대전 극단 새벽 <산책> [좌담]
|
사회: 장은수 ; [좌담]: 윤진영, 한선덕
|
p. 22-25
|
|
보기
|
|
연극제의 방향을 논하다 : 제40회 대한민국연극제 밀양 [좌담]
|
사회: 이선형 ; [좌담]: 고능석, 김경익, 김은민, 제상아, 최동석 ; 정리: 김혜정
|
p. 30-35
|
|
보기
|
|
서계동 복합문화공간 조성 사업, 무엇이 문제인가
|
글: 정중헌
|
p. 42-44
|
|
보기
|
|
연극인들의 입장? 바람!
|
글: 박정의
|
p. 44-45
|
|
보기
|
|
국립극단의 새로운 공간을 위하여 : 현상의 문제와 해외 사례를 중심으로
|
글: 허순자
|
p. 46-47
|
|
보기
|
|
팬데믹 이후의 소극장 SF연극 : 제7회 SF연극제 <내일의 주인공> <리메이크 85250> <안내방송>
|
글: 전지니
|
p. 48-51
|
|
보기
|
|
도청 지킴이를 기리는 연극의 모험 : 극단 하땅세·국립아시아문화전당재단 <시간을 칠하는 사람>
|
글: 백현미
|
p. 52-53
|
|
보기
|
|
복고적이지만 신선한 풍자희극의 미학 : 극단 홍시 <계란을 먹을 수 있는 자격>
|
글: 이은경
|
p. 54-55
|
|
보기
|
|
아이와 함께 파묻힌 것은? : 경기도극단 <파묻힌 아이>
|
글: 이성곤
|
p. 56-57
|
|
보기
|
|
부득이하다는 변명 : 인천시립극단 <다스 오케스터>
|
글: 윤진현
|
p. 58-59
|
|
보기
|
|
'웃픈' 장례식의 가족 풍경 : 해체된 가족 복원을 위한 죽음의 제의 : 공연제작센터 <물고기의 축제>
|
글: 이상우
|
p. 60-61
|
|
보기
|
|
추앙하라, 60년 무대 인생! : 극단 컬티즌 <질투>
|
글: 배선애
|
p. 62-63
|
|
보기
|
|
즐거운 성애와 위반의 희극성 : 극단 사다리움직임연구소 <한여름밤의 꿈>
|
글: 우수진
|
p. 64-65
|
|
보기
|
|
수작(秀作)이 될 뻔한 범작(凡作) : 두산아트센터 <웰킨(the Welkin)>
|
글: 김기란
|
p. 66-67
|
|
보기
|
|
뭔가 되어가는 중의 불안, 힘겨움 그리고 성장 : 국립극단 어린이청소년극연구소 <트랙터>
|
글: 김향
|
p. 68-69
|
|
보기
|
|
인공지능 : 공연장에서 내 행동 패턴이 조사된다 : 영국
|
글: 김준영
|
p. 70-71
|
|
보기
|
|
제13회 크라이오바 국제셰익스피어연극제 : 3년 만의 국제연극제 나들이 : 루마니아
|
글: 김윤철
|
p. 72-73
|
|
보기
|
|
제10회 루마니아 바벨페스티벌 견문록 : 대전 극단 새벽 <산책>으로 한국연극을 알리다
|
글: 장은숙
|
p. 74-75
|
|
보기
|
|
변화를 시도하는 부산연극제
|
글: 이정남
|
p. 76-77
|
|
보기
|
|
팬데믹을 뚫고 돌아온 친환경 공연예술제 : 2022 수원연극축제 '숲 속의 파티'
|
글: 김상옥
|
p. 84-85
|
|
보기
|
|
한국 연극사에 우뚝한 새로운 이정표 [서평]
|
글: 유민영
|
p. 88-89
|
|
보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