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나툼으로 향하는 수습위(修習位) : 유식의 관점에서 본 대행선의 2단계 = The stage of practice developing toward manifestation : the second stage of Daehaeng Seon practice seen from the perspective of consciousness-only / 안유숙 1

[목차] 1

한글요약 2

I. 들어가는 글 5

II. 유식 5위(位)에서의 수습위(修習位) 6

1. 자량과 가행으로 통달위에서 처음 진리를 보다 7

2. 자주자주 수습하여 귀경위에서 미래세가 다하도록 유정들을 교화한다 10

III. 번뇌장과 소지장의 정화 11

1. 번뇌장과 소지장의 특징 12

2. 번뇌장과 소지장의 정화와 대행선 14

IV. 나툼으로 향하는 수습(修習) : 대행선의 2단계 17

1. 유식5위와 3단계 주인공 관법 18

2. 대행선의 2단계 - 모두와 하나 되는 것 20

3. 화신(化身)과 응신(應身)으로 해석되는 주인공의 나툼 24

V. 나오는 글 29

참고문헌 32

Abstract 33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공과 여래장, 그리고 한마음 = Emptiness, Tathāgatagarbha and Hanmaum 차상엽 p. 13-40

보기
「공의 나툼」의 체재와 원리에 관한 고찰 = The consideration on the system and principle in 'Appearance of sūnyatā' 박기열 p. 41-82

보기
나툼으로 향하는 수습위(修習位) : The stage of practice developing toward manifestation : the second stage of Daehaeng Seon practice seen from the perspective of consciousness-only / 유식의 관점에서 본 대행선의 2단계 안유숙 p. 83-117

보기
대승불교에서 육식부정의 논변과 그 근거 : Some arguments for the negation of meat-eating in Mahāyāna texts : with special reference to Schmithausen's contribution / 슈미트하우젠의 논의를 중심으로 안성두 p. 121-166

보기
고려말 불교계의 불사와 흥법 운동 = Buddhist matters and the movement to reinvigorate Buddhism in late Goryeo 황인규 p. 167-203

보기
『능엄경언해』를 통해 본 조선 초기 『능엄경』 수용에 대한 관견 = A humble opinion on the Śūraṃgama Sūtra in early Joseon seen from its Korean translation titled Neungeomgyeong Eonhae 하정수 p. 205-242

보기
근·현대 불교계의 한국 선종사 인식과 논의 = The perception and discussion of the Seon school history of modern-contemporary Korea 김경집 p. 243-278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