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시대별 국립무용단 정기공연 작품분석 연구 = A study on the periodic performance of the national dance company of Korea 강리군, 손관중 p. 1-21

현대무용전공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self-leadership on adaptation to college life : mediating effect of college support / 학교지원의 매개효과 김규진 p. 23-43

12주간의 발레 운동프로그램이 여성노인의 CES-D, SFT 및 NK세포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12-weeks ballet exercise program on CES-D, SFT, and NK-cell activity in elderly women 김민교, 오덕자 p. 45-61

소매틱 움직임 원리로 본 벽사 정재만류 승무 교육적/치료적 가치 = Educational and therapeutic value of Byuksa Jeman Jung’s Seungmu viewed from somatic movement principles 김옥순 p. 63-81

대학 무용전공자의 테크놀로지 교육니즈에 대한 인식 유형 연구 : Typology of undergraduate dance students' perception towards technology education : a Q-methodological approach / Q방법론적 접근 신경아 p. 83-99

한국의 창작춤에서 보여지는 기(氣)의 운용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Ki(氣, energy) in creative dance in Korea : focusing on Hyun Ja Kim and Ki In Kim / 김현자와 김기인을 중심으로 신효영, 박시우, 이나정, 이도영 p. 101-115

무용에서 에로스의 예술적 충동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artistic impulse of eros in dance 윤혜성, 박미영 p. 117-136

무용학과 대학생의 열정과 수행간의 관계에서 정서와 그릿(Grit)의 매개효과 = The mediation effects of grit and emotion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ssion and performance among dance university students 이대원 p. 137-159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여자 대학생의 무용 관련 운동 트렌드 분석 = Analysis of female college students’ exercise trend related to dance utilizing text mining 임준희 p. 161-176

무용전공 대학생의 스트레스 평가와 수업참여간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과 내적 동기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regulation and intrinsic motivation between dance university students’ cognitive appraisals to stress and class engagement 전진아 p. 177-198

생애주기로 본 발레 안무가 육성 패러다임 연구 = A study on the life cycle paradigm of fostering ballet choreographers : 해외 사례를 중심으로 정옥희 p. 199-224

비언어적 무용극 창작을 위한 연출적 특성 : A study on special features of directing for non-verbal storytelling dance : based on Matthew Bourne’s <Nutcracker!> / 매튜 본의 <호두까기 인형!>을 중심으로 최원선 p. 225-250

무용전공인이 지각하는 교수지지, 자기관리, 무용열정의 관계 = The relationships among the professor support, self-management, dance passion and career maturity of college students in the dance major 최태선, 황규자 p. 251-268

발레 뤼스의 자본주의적 운영시스템에 관한 연구 : Study on the capitalist management system of the ballet russes : focusing on the connection with Paris, France, during the Belle-Époque period / 벨 에포크 시기 프랑스 파리와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한지영 p. 269-289

(A) praxis of holistic integrated dance education model : 홀리스틱 통합무용교육모델의 실천 : <무브-무비 프로젝트> / <Move-Movie Project> Young Moon, Hee Young Seo p. 291-303

참고문헌 (3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권대봉, 허선주, 김소이(2008). 사범대학 재학생을 위한 경력개발 프로그램 요구분석:대학을중심으로. 한국교육학연구, 14(1), 225-246. 미소장
2 김승일, 박세미(2011). 대학생들의 무용 멘토링이 무용열정과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학회지, 11(2), 13-23. 미소장
3 김석일(2009). 생활체육참여자의 목표성향에 따른 열정과 끈기.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20(4), 61-76. 미소장
4 김아름(2015). 무용전공대학생의 능력믿음, 동기, 자기관리 및 무용지속의 관계.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5 김은진(2013). 무용전공고등학생들의 무용열정 수준에 따른 성취목표지향성과 자기관리. 석사학위논문, 서경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6 김유경(2017). 무용전공학생들의 교수지지와 셀프리더십, 진로개발능력, 취업역량과의 관계. 박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7 김재승(2017) 무용전공 대학생의 자기관리와 무용열정, 무용일탈 및 진로의식,성숙도와의 관계. 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8 구대웅(2012). 수영참여자의 열정, 정서가 자기관리 및 운동지속수행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9 노정식, 홍혜전(2011). 무용전공 대학생의 자기관리가 완벽성향과 공연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회지, 24(1), 1-17. 미소장
10 노정식(2010). 무용수의 완벽주의 성형과 자기관리, 공연불안 및 공연몰입의 관계.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11 박진영(2003). 사회적 지원이 실업자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미치는 효과. 평생교육학연구, 9(1), 53-81. 미소장
12 박선희(2012). 무용지도자의 변혁적 리더십이 팔로워십 및 지도자 신뢰에 따라 무용만족에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13 박승순, 한미경(2014). 무용 전공자의 능력믿음과 무용열정의 관계. 한국체육교육학회지, 19(1), 129-139. 미소장
14 석임복(20017). 학습 몰입의 구조:척도・성격・조건・관여. 박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15 성경희, 박인실(2014). 무용지도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사용이 학생들의 무용 몰입 및무용성취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체육학회지, 28(1), 55-68. 미소장
16 서예지(2016). 미용전공 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사회적지지, 진로성숙도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박사학위논문, 서경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17 유진, 정꽃님(2008). 무용열정의 이원론적 모형 분석,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19(1), 163-175. 미소장
18 오인탁(2017). 4차 산업혁명과 교육의 과제. 기독교교육논총, 52, 417-445. 미소장
19 유지원, 강명희(2011). 대학생의 학습참여에 영향을 주는 사회적 요인, 심리적 욕구요인, 동기요인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교육학회, 29(4), 55-85. 미소장
20 윤정현(2014). 무용전공대학생의 자기관리가 무용능력성취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21 이대명(2020). 사격지도자의 자율성지지와 운동열정 및 운동지속수행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22 이혜진(2012). 무용전공자의 사회적 지지와 무용 활동 만족도 및 성과와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23 장미나(2004). 한・중 대학의 무용교육과정에 관한 비교 연구.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미소장
24 정선혜, 백민경(2012). 무용지도자의 리더십행동과 무용만족의 관계: 무용열정의 매개효과검증. 한국무용연구, 30(3), 133-152. 미소장
25 정은이, 박용한(2008). 대학생들의 교수신뢰와 학습동기 및 대학 생활적응과의 관계. 아시아교육연구, 9(1), 73-93. 미소장
26 정연옥(2005). 무용전공자의 무용 상해가 스트레스와 사회적지원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원광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27 조남근, 권정희, 정미예(2016). 대학생의 학업지속의향 관련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 청소년학연구, 23(12), 537-565. 미소장
28 조수빈(2014). 무용전공 대학생의 자기관리가 대학생활적응 및 무용성취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29 주영주, 함유경,정보경(2014). 사이버대학생의 모바일러닝 지속사용의도 영향 변인규명. 한국콘텐츠학회, 14(6), 477-490. 미소장
30 지은림, 백순근, 채선희, 설현수(2003). 교사-학생관계 척도 개발 및 타당화. 교육평가연구, 16(2), 25-42. 미소장
31 최규환(2013). 사회적 지지이론 및 직업가치패러다임을 적용한 관광 관련 대학생의 진로결정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관광레저연구, 25(2), 5-24. 미소장
32 채혜연(2015). 무용전공 여학생의 자기관리가 자신감 및 대처능력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33 황정동, 주재형, 임승현(2016). 지도자의 자율성 지지가 중·고교 핸드볼 선수의 지도자-운동선수 관계 및 열정과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25(1), 87-97. 미소장
34 Cobb, S.(1976). Social suport as mediator of life stres. Psychosomatic Medicine, 38. p. 300-314. 미소장
35 Felsman, D. E. & Blustein, D. L, (1999). The role of peer relatedness in late adolescent career developm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54(2), 279-295. 미소장
36 kuh, G, D. & Hu, S. (2001). The effects of student-faculty interraction in the 1990s. Review of Higher Education, 24(3), 309-332. 미소장
37 Vallerand, R. J. (2003). Les passions de l`ame : on obsessive and harmonious pass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5(4), 756-767.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