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김관보, 채경진, 손호중. 2013. 「지방정부 신뢰와 정책순응: 경기도정을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16(4): 267-287. | 미소장 |
2 | 김세운, 정현, 정문기. 2020. 「지역축제만족도가 지역애착도와 지방정부의 신뢰에 미치는 영향-마산 국화 축제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보 32(2): 31-58. | 미소장 |
3 | 김순귀, 정동빈, 박영술. 2008. 『SPSS를 활용한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이해와 응용』. 서울: 한나래아카데미. | 미소장 |
4 | 김정렴. 2016. 「지방자치단체 운영 미디어의 이용이 지방정부에 대한 인식과 신뢰에 미치는 영향」. 융합사회와 공공정책 11(3): 36-67. | 미소장 |
5 | 김정숙, 황창호. 2021. 「행정이념에 대한 인식이 정부신뢰에 미치는 영향: 정책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행정논집 33(2): 283-307. | 미소장 |
6 | 김태형, 김한빛, 문명재. 2019. 「정부의 역량과 정부간 협력에 대한 인식이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신뢰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방행정학보 16(2): 1-36. | 미소장 |
7 | 김현구, 이승종, 최도림. 2009. 「정부신뢰의 지표체계 개발 및 적용: 외부신뢰와 내부신뢰의 비교분석」. 행정논총 47(3): 1-24. | 미소장 |
8 | 김현구, 이영섭, 구자문, 고유나. 2006. 「사회통계조사에 의한 대기환경 체감지수의 개발」. 한국대기환경학회지 22(4): 421-430. | 미소장 |
9 | 류태건, 차재권. 2020. 「지방정부 신뢰의 주요 정부요인: 대전광역시 사례연구」. 한국행정학보 54(1): 111-141. | 미소장 |
10 | 문승민, 최선미. 2018. 「전자정부의 만족도가 정부 신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부역량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52(4): 119-149. | 미소장 |
11 | 문유석. 2015. 「정부간 관계의 관점에서 본 중앙과 지방 간의 관계: 농정 분야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18(4): 393-416. | 미소장 |
12 | 박정호. 2014. 「지방정부의 정보제공이 신뢰와 서비스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18(1): 291-313. | 미소장 |
13 | 박희봉, 이영란. 2012. 「시민문화와 정부정책이 정부신뢰에 미치는 영향」. 한국행정논집 24(4): 913-936. | 미소장 |
14 | 박희봉, 이희창, 조연상. 2003. 「우리나라 정부신뢰 특성 및 영향 요인 분석」. 한국행정학보 37(3): 45-66. | 미소장 |
15 | 서형준, 명승환. 2015. 「사회자본과 정부신뢰의 관계 재조명」. 한국정책과학학회보 19(3): 1-31. | 미소장 |
16 | 손호중. 2016. 「지방정부 신뢰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자치연구 17:4: 135-154. | 미소장 |
17 | 윤건, 서정욱. 2016. 「사회통합이 정부신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연구」. 한국조직학회보 13(3): 21-44. | 미소장 |
18 | 이곤수, 송건섭. 2011. 「지역주민의 삶의 질 인식과 지방정부 신뢰」. 한국행정논집 23(2): 487-509 | 미소장 |
19 | 이석환, 김차희, 조주연. 2011. 「지방정부의 성과체감도가 거주의사에 미치는 영향분석」. GRI 연구논총 13(3): 137-157 | 미소장 |
20 | 이수기, 이윤성, 이창관. 2014. 「보행자 연령대별 보행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가로환경의 특성분석」. 국토계획 49(8): 91-105. | 미소장 |
21 | 이승종, 기영화, 김윤지, 김남숙. 2013. 「커뮤니티웰빙 지표에 대한 공무원과 전문가의 평가비교연구」. 한국행정학보 47(2): 313-337. | 미소장 |
22 | 이현국, 김윤호. 2014. 「정부서비스 성과와 정부신뢰: 서울시 정부서비스를 대상으로」. 한국행정학보 48(4): 1-22. | 미소장 |
23 | 인천광역시. 2021. 「2020 인천광역시 사회조사 보고서」. | 미소장 |
24 | 임동진. 2010. 「중앙정부 성과관리에서의 만족도 조사 활용실태 및 영향요인 분석: 만족도 담당 공무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19(4): 503-549. | 미소장 |
25 | 임재훈, 윤영채. 2018. 「정부정책 만족도가 정부신뢰에 미치는 영향: 관료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 27(1): 39-71. | 미소장 |
26 | 정광호, 이달곤, 하혜수. 2011. 「지방정부 신뢰요인의 탐색」. 한국행정학보 45(4): 181-202. | 미소장 |
27 | 정명은, 김미현, 장용석. 2014. 「서울시민의 행복과 사회자본 관계 분석: 행복한 시민, 따뜻한 지역공동체」. 서울도시연구 15(1): 163-186. | 미소장 |
28 | 정철우, 강소영. 2014. 「체감안전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연구 13(4): 261-288. | 미소장 |
29 | 정현, 전희정. 2017. 「서울시 마을공동체 사업 인식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도시행정학보 30(1): 141-161. | 미소장 |
30 | 차재권, 류태건. 2018a. 「중앙/지방정부 신뢰의 영향요인의 차이점-대구광역시 사례연구」. 대한정치학회보 26(1): 81-107. | 미소장 |
31 | 차재권, 류태건. 2018b. 「지방정부 신뢰요인의 특성」. 한국동북아논총 23(1): 167-184 | 미소장 |
32 | 최예나. 2016. 「사회적 자본이 지방정부 신뢰에 미치는 영향 연구: 주민들과 선출직 기관들간 소통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20(3): 69-88. | 미소장 |
33 | 최예나. 2018. 「공공가치가 정부 신뢰에 미치는 영향 연구」. 지방정부연구 22(2): 1-21. | 미소장 |
34 | 최지민, 김순은. 2014. 「개인 행복의 영향력을 고려한 정부성과와 정부신뢰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자치학회보 26(2): 29-57. | 미소장 |
35 | 최진욱. 2008. 「참여정부 정부혁신 체감도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학보 42(2): 97-117. | 미소장 |
36 | 현승숙, 이승종. 2007. 「주민접촉에 따른 지방정부 신뢰 분석」. 한국지방자치학회보 19(4): 93-112. | 미소장 |
37 | 황창호, 김영주, 문명재. 2015. 「행정가치에 대한 국민인식이 정부신뢰에 미치는 영향」. 한국행정학보 49(4): 123-150. | 미소장 |
38 | 황창호, 김태형, 문명재. 2015. 「정부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정책홍보, 정책수단, 정책산출에 대한 국민만족도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학술대회자료집: 545-561. | 미소장 |
39 | Bonaiuto, M., Fornara, F., Alves, S., Ferreira, I., Mao, Y., Moffat, E., Piccinin, G., and Rahimi, L. 2015. “Urban environment and well-being: cross-cultural studies on Perceived Residential Environment Quality Indicators(PREQIs).” Cognitive Processing 16(S1): 165-169. | 미소장 |
40 | Currie, R. F., and Thacker, C. 1986. “Quality of the urban environment as perceived by residents of slow and fast growth cities.” Social Indicators Research 18(1): 95-118. | 미소장 |
41 | Esaiasson, P., and Wlezien, C. 2017. “Advances in the study of democratic responsiveness: An introduction.” Comparative political studies 50(6): 699-710. (DOI: https://doi.org/10.1177/0010414016633226) | 미소장 |
42 | Fukuyama, F. 1995. Trust: The social virtues and the creation of prosperity. New York: Free press. | 미소장 |
43 | Gambetta, D. 1988. Trust: Making and breaking cooperative relations. Oxford: Blackwell. | 미소장 |
44 | Garner, W. R., Hake, H. W., and Eriksen, C. W. 1956. “Operationism and the concept of perception.” Psychological review 63(3): 149-159. (DOI: https://doi.org/10.1037/h0042992) | 미소장 |
45 | Grimmelikhuijsen, S., and Knies, E. 2017. “Validating a scale for citizen trust in government organizations.” International Review of Administrative Sciences 8 3(3): 5 83-601. ( DOI: h ttps://doi.org/10.1177/0020852315585950) | 미소장 |
46 | Kentmen Cin, C. 2013. “Blaming the government for environmental problems: a multilevel and cross-nation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rust in government and local and global environmental concerns.” Environment and Behavior 45(8): 9 71-992. (DOI: https://doi.org/10.1177/0013916512453840) | 미소장 |
47 | Konisky, D. M., Milyo, J., and Richardson, L. E. 2008. “Environmental policy attitudes: Issues, geographical scale, and political trust.” Social Science Quarterly 8 9(5): 1 066-1085. ( DOI: h ttps://doi.org/10.1111/j.1540-6237.2008.00574.x) | 미소장 |
48 | Mayer, R. C., Davis, J. H., and Schoorman, F. D. 1995. “An integrative model of organizational trus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0(3): 709-734. (DOI: https://doi.org/10.5465/amr.1995.9508080335) | 미소장 |
49 | McDonald, S. M. 2011. “Perception: A concept 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Knowledge 23(1): 2-9. (DOI: https://doi.org/10.1111/j.1744-618X.2011.01198.x) | 미소장 |
50 | Otara, A. 2011. “Perception: A guide for managers and leaders.” Journal of Management and Strategy 2 (3): 2 1-24. ( DOI: 1 0.5430/jms.v2n3p21) | 미소장 |
51 | Rousseau, D. M., Sitkin, S. B., Burt, R. S., and Camerer, C. 1998. “Not so different after all: A cross-discipline view of trus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3(3): 393-404. (DOI: https://doi.org/10.5465/amr.1998.926617) | 미소장 |
52 | Saltzstein, G. H. 1985. “Conceptualizing bureaucratic responsiveness.” Administration & Society 1 7(3): 2 83-306. ( DOI: h ttps://doi.org/10.1177/009539978501700303) | 미소장 |
53 | Saltzstein, G. H. 1992. “Bureaucratic responsiveness: Conceptual issues and current research.”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Research and Theory 2(1): 6 3-88. (DOI: h ttps://doi.org/10.1093/oxfordjournals.jpart.a037112) | 미소장 |
54 | Vigoda, E. 2002. “From responsiveness to collaboration: Governance, citizens, and the next generation of public administratio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62(5): 527-540. (DOI: https://doi.org/10.1111/1540-6210.00235) | 미소장 |
55 | Walker, R. M., and Hills, P. 2014. “Changing dimensions of trust in government: An exploration in environmental policy in Hong Kong.” Public Administration and Development 34(2): 123-136. (DOI: https://doi.org/10.1002/pad.1677) | 미소장 |
56 | “서울 쓰레기를 왜 인천에...문 닫겠다는 수도권 매립지 가보니.” 한국경제. 2020. 10.25. https://www.hankyung.com/life/article/2020102329567(검색일: 2021년 12월 16일) | 미소장 |
57 | “인천시민 일상적인 ‘환경소음’에 시달린다.” 인천투데이. 2019.3.5. http://www.incheon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113492(검색일: 2021년 12월 23일) | 미소장 |
58 | “적수에 유충까지…인천시, 환경부 수도시설 평가서 ‘꼴찌’” 인천일보. 2020.12.2. http://www.incheonilbo.com/news/ar ticleView.html?idxno=1069788(검색일: 2021년 10월 20일) | 미소장 |
59 | “‘탄소 불량국가’ 한국의 ‘내일 없는 경제’?” KBS. 2020.12.7.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065059(검색일: 2021년 12월 16일) | 미소장 |
60 | “한국이 1인당 플라스틱 배출량 세계 3위...연간 88kg.” 연합뉴스. 2021.12.2. https://www.yna.co.kr/view/AKR20211202070000009(검색일: 2021년 12월 16일) | 미소장 |
61 | “행정구역(시군구)별, 성별 인구수.” KOSIS. 2022.6.3.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B040A3&checkFlag=N(검색일: 2022년 6월 8일) | 미소장 |
62 | “GCF.” 인천광역시. 2022.5.4. https://www.incheon.go.kr/env/ENV010102(검색일: 2022년 6월 8일) | 미소장 |
63 | e-나라지표(https://www.index.go.kr) | 미소장 |
64 | 녹색기후기금(https://www.greenclimate.fund)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