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인간중심주의(human-centeredness)에서 이해하는 정책인의 특성에 관한 소고 | 이해영 | p. 97-119 |
|
|
직업훈련의 장기적 성과관리에 관한 연구 : Performance management on vocational training : development of policy goal and performance indicators of Korean dual system / 일학습병행의 정책목표 및 장기성과지표 개발 사례 | 안선민, 오민지 | p. 121-150, 259-260 | ||
정책태도와 정부신뢰 : Policy attitudes and trust in government : focusing on the public attitudes towards the policy on employment support system for veterans / 국가유공자 등 취업지원제도에 관한 국민의 정책태도를 중심으로 | 박미경, 이홍재, 차용진 | p. 151-173, 260 | ||
디지털 경제 확산에 따른 정부의 역할 재정립 : Government as a convener in a digital economy ecosystem : governing the commons with the platform industry / 플랫폼산업과 Governing the Commons의 가능성 | 황성수, 박선주 | p. 175-198, 261 | ||
양성평등채용목표제의 효과성 분석 = An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the gender equality empolyment system : 국가직 공무원 채용을 중심으로 | 홍희정, 홍성현 | p. 199-223, 261 | ||
동일 조직 내 공무원과 비공무원 간의 직무태도 비교분석 : 지속적 몰입을 중심으로 | 이은중, 김근세 | p. 225-257 |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형미·이유나. (2018). 국가안보 PR 활동이 정책지지에 미치는 영향: 정책리터러시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홍보학연구」, 22(6): 24-52. | 미소장 |
2 | 금현섭·백승주. (2010). 정치적 이념, 정부신뢰 그리고 정책지지. 「행정논총」, 48(4): 201-228. | 미소장 |
3 | 김동욱·서정욱. (2021). 정책 기대감과 정책효능감이 정부신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지역 청년 정책을 중심으로. 「행정논총」, 59(3): 283-309. | 미소장 |
4 | 김상돈. (2020). 사회경제적 지위가 일자리복지 정책지지와 정부신뢰에 미치는 영향. 「공공사회연구」, 10(1): 5-32. | 미소장 |
5 | 김정숙·황창호. (2021). 행정이념에 대한 인식이 정부신뢰에 미치는 영향: 정책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행정논집」, 33(2): 283-307. | 미소장 |
6 | 김주경·조광래·이홍재. (2015). 지역주민의 환경정책 참여 요인 연구: 계획된 행동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지방행정학보」, 12(2): 241-258. | 미소장 |
7 | 박미경·차용진·이홍재. (2020). 정책태도와 인지된 비용이 정책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보훈대상자 취업지원제도에 관한 국민 인식을 중심으로. 「현대사회와 행정」, 30(4): 29-55. | 미소장 |
8 | 박순애. (2006). 정부에 대한 이해와 정부 신뢰의 관계: 우리나라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40(2): 73-97. | 미소장 |
9 | 박정훈. (2008). 정부신뢰와 정책수용: 전자주민카드 정책을 중심으로. 「행정논총」 46(1): 93-122. | 미소장 |
10 | 박정훈·신정희. (2010). 정부신뢰, 정책효능성, 정책지지간의 연관성 실증연구: 주거지역내 CCTV 설치 정책을 중심으로. 「행정논총」, 48(3): 1-24. | 미소장 |
11 | 박종민·배정현. (2011). 정부신뢰의 원인: 정책결과, 과정 및 산출. 「정부학연구」, 17(2): 117-142. | 미소장 |
12 | 박현신. (2021). 정부신뢰와 이념 그리고 정책태도 간 관계: 정부지출 확대에 대한 지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60(2): 549-574. | 미소장 |
13 | 박희봉·신중호·황윤원. (2013). 정부신뢰의 요인: 정부정책인가? 정치태도인가?. 「한국정책학회보」, 22(1): 465-492. | 미소장 |
14 | 서라벌·성욱준. (2020). 기대불일치 이론을 적용한 청탁금지법 효과 연구: 정책기대, 정책만족, 정부신뢰의 경로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54(3): 281-309. | 미소장 |
15 | 서정욱. (2018). 국민인식을 기반으로 한 정부신뢰의 특성 및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논집」, 30(3): 531-552. | 미소장 |
16 | 오은비·이경아·이연택. (2016). 해외안전여행정책에 대한 정책PR, 공중관계성, 정책리터러시, 정책지지의 관계구조 분석. 「관광연구논총」, 28(3): 33-54. | 미소장 |
17 | 윤병섭·이홍재. (2011). 전자정부 사용자 만족도 영향요인과 정부신뢰: 국가보훈처 홈페이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37(2): 97-117. | 미소장 |
18 | 이동기. (2021). 공간정보정책에 있어 정책 리터러시가 정부신뢰와 정책지지에 미치는 영향요인. 「한국자치행정학보」, 35(1): 35-56. | 미소장 |
19 | 이수범·김남이. (2013). 정책 이해도 및 관여도가 공중의 정책태도, 정보탐새과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제주도 디지털 전환 시범사업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보」, 15(3): 220-254. | 미소장 |
20 | 이연택·김형준. (2014). 관광경찰제도에 대한 정책PR, 정책이해, 정책지지 간의 관계구조 분석. 「관광경영연구」, 18(2): 189-212. | 미소장 |
21 | 이영안·박미경·이홍재. (2019). 지역주민의 정책리터러시 결정요인: 아동친화정책을 중심으로. 「국정관리연구」, 14(1): 23-52. | 미소장 |
22 | 이영안·이홍재. (2018). 아동친화정책 PR효과 요인의 구조적 관계 연구. 「국정관리연구」, 13(1):189-210. | 미소장 |
23 | 이재완. (2019). 우리 국민들의 대외원조에 대한 태도 결정요인: 정책 인지도와 정책효능감을중심으로.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30(3): 131-152. | 미소장 |
24 | 이홍재·차용진. (2016). 보훈 관련 정부기념행사 참여요인에 관한 연구. 「정책분석평가학회보」, 26(1): 85-107. | 미소장 |
25 | 임도빈·정현정·강은영. (2012). 정책이해도가 정책성과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애 관한 연구:정부경쟁력의 관점에서. 「한국거버넌스학회보」, 19(2): 1-29. | 미소장 |
26 | 정광호. (2008). 정책 리터러시 함수 분석: 시민할동변인을 중심으로. 「행정논총」, 46(4): 73-104. | 미소장 |
27 | 통계청. (2022). 보훈대상자 지원현황. | 미소장 |
28 | 황성수·윤광재. (2018). 정책이해도, 정책선호, 정부신뢰 측정에 관한 탐색적 연구: 정책이해도가 높아지면 정부신뢰도 높아지는가?. 「한국공공관리학보」, 32(3): 209-226. | 미소장 |
29 | 황아란·서복경. (2015). 정책과정이 정부신뢰에 미치는 영향: 2014년 유권자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행정논집」, 27(4): 1193-1214. | 미소장 |
30 | 황창호·김태형·문명재. (2017). 정책홍보·정책수단·정책산출 그리고 정부역량이 정부신뢰에 미치는 영향: 국민인식조사를 중심으로. 「정부학연구」, 23(1): 223-254. | 미소장 |
31 | Ajzen, I. (1991).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50(2): 179-211. | 미소장 |
32 | Anderson, C. J. & Tverdova, Y. V. (2003), Corruption, Political Allegiance, and Attitudes Toward Government in Contemporary Democracies.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47(1):91-109. | 미소장 |
33 | Barclay, D., Thompson, R. & Higgins, C. (1995). The Partial Least Squares(pls) Approach to Causal Modeling: Personal Computer Adoption and Use as an Illustration. Technology Studies. 2(2): 285-309. | 미소장 |
34 | Bartels, L. (2005). Homer Gets a Tax Cut: Inequality and Public Policy in the American Mind. Perspectives on Politics. 3(1): 15-31. | 미소장 |
35 | Chanley, V. A., Rudolph, T. J. & Rahn, W. M. (2001). Public Trust In Government in the Reagan Years and Beyond. What Is It About Government That Americans Dislike. 59-78. | 미소장 |
36 | Citrin, J. & Green, D. (1986). Presidential Leadership and the Resurgence of Trust in Government. British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16(4): 431-453. | 미소장 |
37 | Davis, F. D. (1989).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terly. 13(3): 319-340. | 미소장 |
38 | Deurenberg, M. Foo L. L., Low, Y. Y., Chan, S. P. Vijaya, K., & Lee, M. (2005). The Singaporean Response to the SARS Outbreak: Knowledge Sufficiency Versus Public Trust.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20(4): 320-326. | 미소장 |
39 | Eriksen, K. & Fallan, L. (1996). Tax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s Taxation: A Report on a Quasi-Experiment. Journal of Economic Psychology. 17: 387-402. | 미소장 |
40 | Fornell, C., & Larcker, D. (1981).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8(1): 116-142. | 미소장 |
41 | Gershtenson, J., Ladewig, J., & Plane, D. L. (2006). Parties, Institutional Control, and Trust in Government. Social Science Quarterly. 87(4): 882-902. | 미소장 |
42 | Hair, J. F., Anderson, R. E., Tatham, R. E., & Black, W. C. (1998). Multivariate Data Analysis with Readings.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 미소장 |
43 | Hetherington, M. J. (1998). The Political Relevance of Political Trust. The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92(4): 791-808. | 미소장 |
44 | Hetherington, M. J. (2005). Why Trust Matters: Declining Political Trust and the Demise of American Liberalism. Princeton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45 | Hetherington, M. J. & S. Globetti (2002). Political Trust and Racial Policy Preferences.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46(2): 253-275. | 미소장 |
46 | Kasse, M. (1999). Interpersonal Trust, Political Trust and Non-institutionalised Political Participation in Western Europe. West European Politics. 22: 1-21. | 미소장 |
47 | Newton, K. (2001). Trust, Social Capital, Civil Society, and Democracy. International Political Science Review. 22(2): 201-214. | 미소장 |
48 | Rahn, W. M., & Rudolph, T. J. (2005). A Tale of Political Trust in American Cities. Public Opinion Quarterly. 69(4): 530-560.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4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