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汉韩多义副词“都”和“다”既有客观性用法,又有主观性用法。共时层面的各个意义和用法之间存在一个虚化链,它们分别处于虚化链中的不同位置,其区别可以理解为语法化程度的高低,它反映的也是语法化顺序。而前人对多义副词“都”和“다”的对比研究,主要是以量化意义为中心展开的。围绕主观性用法,从主观化或语法化角度进行对比的研究则较为少见。基于上述思考,本文打算在前人相关研究基础上,重新审视汉韩多义副词“都”和“다”的基本语义功能,重点梳理两者在共时层面的各个意义和用法并进行概括分类,揭示各意义和用法的语法化程度即语义关联顺序,寻找两者主观化机制的异同点。
중국어 ‘都’와 한국어 ‘다’는 객관적 용법도 있고 주관적 용법도 있다. 공시적인 측면에서의 의미와 용법 사이에는 하나의 허화 체인이 존재하며, 각 의미와 용법은 허화 체인의 서로 다른 위치에 있다. 그들의 차이는 문법화 정도의 높낮이로 이해될 수 있으며, 그것은 또한 문법화 순서를 반영한다. 기존의 논의에서는 주로 ‘都’와 ‘다’의 전칭양화적 의미를 중심으로 다루었으나 주관적인 용법에 주목하여 주관화 또는 문법화의 관점에서 대조하는 연구가 그다지 많지 않다. 이런 인식을 바탕으로 본고는 공시적인 측면에서 ‘都’와 ‘다’의 의미와 용법들을 분류하고 그들의 의미 연관 순서, 즉 문법화 순서를 밝히고, 양자의 주관화 메커니즘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고자 한다.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현대중국어 'NP就'구문의 정보구조 연구 | 김홍실 | p. 1-22 |
|
|
한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把자문' 교학 문법 설계를 위한 제언 | 임지영 | p. 23-50 |
|
|
중국에서의 개념적 전이(CT) 연구 동향 및 한국어교육에 대한 시사점 | 제효봉 | p. 51-77 |
|
|
汉韩多义副词“都”“다”的语义关联顺序对比研究 | 조나 | p. 79-97 |
|
|
도연명(陶淵明)의 팽택령(彭澤令) 사직(辭職)에 대한 소고(小考) | 김영 | p. 99-118 |
|
|
만명(晩明) 민가에 나타난 다가(茶歌) 연구 : 《괘지아(掛枝兒)》, 《산가(山歌)》, 《황앵아(黃鶯兒)》를 중심으로 | 서연주 | p. 119-142 |
|
|
대만 원주민에 대한 외성인 작가의 재현 방식 : 왕유화(王幼華)의 《토지와 영혼土地與靈魂》을 중심으로 | 신상현 | p. 143-168 |
|
|
《동주열국지》에 묘사된 귀곡자 인물형상 초탐 | 이현서 | p. 197-217 |
|
|
중국학전공 플립러닝 수업 사례 연구 : D대학 국제지역학부 중국학전공의 '중국경제론' 수업을 중심으로 | 조대원 | p. 219-252 |
|
|
"개혁개방"시기, 중국 교민정책의 전략적 운영에 관한 연구 : 관련 조직 및 법률 분석을 중심으로 | 최승현 | p. 253-272 |
|
|
荀子论述异质之物的思路 : 以礼、法关系之辨为例 | 金汝珍 | p. 273-286 |
|
|
콜라주 도시의 시각에서 본 홍콩의 공간화된 존재론 연구 | 유정원 | p. 305-324 |
|
|
왕사정의 紅橋修禊를 통한 문화 심리 연구 | 이동훈 | p. 169-196 |
|
|
王充의 형신사상 대한 연구 | 조원일 | p. 287-304 |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陈宝勤, 〈副词“都”的产生与发展〉, 《辽宁大学学报》第2号, 1998. | 미소장 |
2 | 陈宗明, 《汉语逻辑概论》, 北京: 人民出版社, 1993. | 미소장 |
3 | 丁声树, 《现代汉语语法讲话》, 北京:商务印书馆, 1961. | 미소장 |
4 | 郭锐、罗琼鹏, 〈复数名词短语的指称和“都”量化〉, 《汉语的形式与功能研究》(载程工、刘丹青主编), 北京:商务印书馆, 2009. | 미소장 |
5 | 高顺全, 《多义副词的语法化顺序和习得顺序研究》, 上海: 复旦大学出版社, 2012. | 미소장 |
6 | 蒋严, 〈语用推理与“都”的句法/语义特征〉, 《现代汉语》第1号, 1998. | 미소장 |
7 | 蒋静, 〈“都”总括全量手段的演变及其分类〉, 《汉语学习》第4号, 2003. | 미소장 |
8 | 蒋勇, 〈对比参照点的语用功能〉, 《社会科学战线》第5号, 2004. | 미소장 |
9 | 蒋静忠、潘海华, 〈“都”的语义分合及解释规则〉, 《中国语文》第1号, 2013. | 미소장 |
10 | 蒋严, 《现代汉语语法讲话》, 北京:商务印书馆, 2009. | 미소장 |
11 | 李宗江, 〈汉语总括副词的来源和演变〉, 《汉语史研究集刊》, 1998. | 미소장 |
12 | 吕叔湘, 《现代汉语八百词》, 北京: 商务印书馆, 1980. | 미소장 |
13 | 李元华, 〈副词“都”表强调的用法探究〉, 《语言文字学术研究》第2号, 2021. | 미소장 |
14 | 毛海燕, 〈汉韩语中全称量化词的对比-以“都”和 “모두/다” 的对比为中心-〉, 《中国语言文学论集》第41号, 2006. | 미소장 |
15 | 沈家煊, 〈“语法化”研究综观〉, 《外语教学与研究》第4号, 1994. | 미소장 |
16 | 沈家煊, 〈语言的“主观性”与“主观化”〉, 《外语教学与研究》第4号, 2001. | 미소장 |
17 | 沈家煊, 语用塬则、语用推理和语义演变〉,《外语教学与研究》第4号, 2004. | 미소장 |
18 | 王敏, 〈总括副词“都”的语源及其语法化〉, 《阴山学刊》第5号, 2018. | 미소장 |
19 | 王红, 〈副词“都”的语法意义试析〉, 《汉语学习》第6号, 1999. | 미소장 |
20 | 王红, 〈语气副词“都”的语义、语用分析〉, 《暨南大学华文学院学报》第1号, 2001. | 미소장 |
21 | 武振玉, 〈副词 “都”的产生和发展〉, 《社会科学战线》第5号, 2001. | 미소장 |
22 | 王力, 《古代汉语》, 北京: 中华书局, 1979. | 미소장 |
23 | 徐以中、杨亦鸣, 〈副词“都”主观性、客观性及语用歧义〉, 《语言研究》第3号, 2005. | 미소장 |
24 | 徐烈炯, 〈上海话“侪”与普通话“都”的异同〉, 《方言》第2号, 2007. | 미소장 |
25 | 肖双荣, 〈“都”的全称量项义与隐含差比义〉, 《湖南人文科技学院学报》第6号, 2005. | 미소장 |
26 | 邢雪明、戴慧琳, 〈汉语副词“都”的全称量化研究〉, 《湖中国语文齐齐哈尔大学学报》第1号, 2021. | 미소장 |
27 | 袁毓林, 《汉语句子的焦点结构和语义解释》, 北京: 商务印书馆, 2021. | 미소장 |
28 | 张谊生, 〈范围副词“都”的选择限制〉, 《中国语文》第5号, 2003. | 미소장 |
29 | 张谊生, 〈副词“都”的语法化与主观化-兼论“都”的表达功用和内部分-〉,《语法化与语法研究》第1号, 2005. | 미소장 |
30 | 张亚军, 〈真实文本中副词“都”的语义识别策略与话语理解〉, 《扬州大学学报》第2号, 2007. | 미소장 |
31 | 구일민, 〈양화사 ‘다’의 의미와 과정법 기제로서의 화용론적 해석 가능성〉, 《한국어 의미학》23, 2007. | 미소장 |
32 | 김현주, 정연주, 〈양화사 ‘다’의 형성과 의미 확장〉,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16, 2011. | 미소장 |
33 | 신미경, 유위, 〈현대중국어 범위부사의 오류 분석과 교육 연구-HSK에나타난 한국인 학습자의 오류를 중심으로-〉, 《중어중문학》63, 2016. | 미소장 |
34 | 장경현, 정연주, 〈부사 '다'의 의미와 기능〉, 《언어사실과 관점》45辑, 2018. | 미소장 |
35 | 유위, 신미경, 〈중한 전칭양화사 대조 연구〉, 《중국학연구》74, 2015. | 미소장 |
36 | 최재희, 〈한국어 전칭양화사 구문의 구조와 의미해석〉, 《한글》267号, 2005. | 미소장 |
37 | 엄정호, 〈한전칭 양화 부사의 의미〉, 《배달말》21, 1996. | 미소장 |
38 | 임규홍․이미희․조은정, 〈중국어 `都`와 한국어 `다`의 비교 분석〉, 《담화와 인지》23(4), 2016. | 미소장 |
39 | Huang,shi-zhe(黄师哲), 〈Dou as an existential quantifier〉, In Jose Camacho, Lina Choueiri(eds) NACCL-6V.I.85-99, GSIL at USC. (Paper presented at Six North America Conference on Chinese Linguistics, USC, Los Angeles,1994), 1995. | 미소장 |
40 | Lee,Thomas,Hun-tak(李行德), 〈Studies on quantification in Chines e〉,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1986.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0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