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COVID-19 시대에서 2020학년도 대학교 신입생의 리더십이 대학적응력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leadership on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among the pandemic freshmen of 2020 in COVID-19 : anxiety, helplessness and risk taking propensity as mediators / 불안, 무기력과 위험감수능력의 매개효과 남순현 p. 1-24
공정성에 대한 인식이 투표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 of perception in fairness on voting participation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age / 연령에 따른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조창덕, 이규민 p. 25-48
여성 북한이탈주민의 직업생활을 통해 바라본 남한 사회적응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A qualitative case-study on the social adaptation concerning the North Korean refugee women's occupational life in South Korea 김명희, 최수찬, 남보영, 신지수 p. 49-76

공공봉사동기가 조직구성원 태도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on employee attitudes : comparison between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s / 공공조직과 민간조직의 차이를 중심으로 김경리, 조윤직 p. 77-102
무엇이 사회복지학과 대학생들을 '그들답게' 하는가? : What makes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be like one?' : a study based on Pierre Bourdieu's concept of Habitus / Pierre Bourdieu의 아비투스 개념 기반의 탐구 김서현 p. 103-140
후기청소년 논바이너리 트랜스젠더의 삶에 대한 현상학 연구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life of late youth non-binary transgender : exploring ego resilience / 자아탄력성의 탐색 황연재, 남보영 p. 141-171

지방정부의 문화예술 정책 : Cultural policy of local governments : focusing on introduction and diffusion of artist welfare promotion ordinances / 예술인 복지 증진 조례의 도입과 확산을 중심으로 정다해, 박나라 p. 173-200
사회적기업 재정지원사업 참여에 따른 사회적기업의 경제적⋅사회적 성과 =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governmental financial support for social enterprise 조상미, 박윤세, 간기현, 조정화, 정희수 p. 201-224
도서가격정책이 서점 성과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book pricing policy on bookstores performance : focused on the revised fixed book price system in Korea / 한국 도서정가제 개정 사례를 중심으로 이용관 p. 225-242
중국과 서울시의 도시간 교류 관계 변화에 따른 중국 언론매체의 보도 태도 분석 연구 : Study on the contents and tone of the Chinese media coverage regarding Seoul City : focusing on the analysis of the articles reported from 2013 to 2018 / 2013~2018년 기간에 보도된 기사 분석을 중심으로 한나리, 남윤재 p. 243-267
이용자는 개인 유튜브 채널을 언론으로 인식하는가? : How do users perceive YouTube as a press? : an exploratory study of the factors affecting users' perceptions of YouTube journalism / 가짜뉴스 확산 경로인식, 미디어 신뢰도, 뉴스 소비 행태 유형별 비교를 중심으로 이도연, 김동윤, 김헌 p. 269-288

참고문헌 (11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기창, 박성희. 2020. “대학생의 자아탄력성과 그릿(Grit)과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대학생활적응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제27권 제10호, pp. 239-268. 미소장
2 강진호, 박아름, 한승태. 2020. “코로나 19로 인한 대학생들의 라이프스타일 변화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제14권 제5호, pp. 289-297. 미소장
3 강혜원, 김영희. 2004. “학업스트레스 및 성적과 학습된 무기력의 관계.” 「상담학연구」, 제5권 제4호, pp. 883-897. 미소장
4 고예정, 박시현, 김신향. 2012.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및 셀프리더십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 21」, 제12권 제2호, pp. 27-38. 미소장
5 국가통계포털 e-나라지표. 2019. “학령아동 변동 추계.” 국가통계포털 e-나라지표 홈페이지.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519 미소장
6 권석만. 2018. 「젊은이를 위한 인간관계의 심리학」. 서울: 학지사. 미소장
7 기민희, 김미숙. 2014. “어머니의 과보호와 아동의 자아탄력성 및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 초등학교 4, 5, 6학년 아동을 중심으로.” 「학교사회복지」, 제29호, pp. 585-612. 미소장
8 김민선, 위고운, 김세희, 송가람, 박희진, 백정연, 한승희. 2021. “대학생들을 위한 학습된 무기력 완환 온라인 자기관리 프로그램 개발과 참여 경험애 대한 연구: 개념도 연구방법의 활용.” 「상담학연구: 사례와 실제」, 제6권 제1호, pp. 85-112. 미소장
9 김수연. 2016. “대학적응력 검사도구 척도 개발과 양호도 검증.”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제16권 제6호, pp. 295-303. 미소장
10 김수임, 강민철, 신선임. 2016. “조직팀장의 경험수용이 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리더십 유연성의 매개효과와 배려 리더십의 조절효과.” 「상담학연구」, 제17권 제5호, pp. 513-529. 미소장
11 김아롱, 김정민, 송근아. 2017. “대학생의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가 우울과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자기불일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인지행동치료」, 제17권 제4호, pp. 575-595. 미소장
12 김영욱, 이하나, 김혜인, 문현지. 2018. “미세먼지 대응 행동 촉진을 위한 메시지 구성 전략 탐색: 심리적 거리감의 조절효과 및 불안 감정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제92권, pp. 7-44. 미소장
13 김예성, 배정현. 2007. “청소년 E-멘토링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또띠(tortee) E-멘토링 프로그램 참여자들의 변화를 대상으로.” 「한국청소년연구」, 제18권 제2호, pp. 133-158. 미소장
14 김원진. 2021. “제약회사 영업관리자의 리더십 스타일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윤리적 성실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5 김은영, 김병석. 2020. “대학생의 짐된 느낌, 좌절된 소속감과 자살생각 간의 관계에서 무망감의 매개효과와 자기자비, 성별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32권 제1호, pp. 287-313. 미소장
16 김은주, 김민규. 2014. “대학신입생의 자율성과 유능성 및 대학생활 만족도 간의 시간에 따른 변화와 상호 연관성에 대한 잠재성장모형의 검증.” 「청소년학연구」, 제21권 제5호, pp. 29-56. 미소장
17 김정은. 2014. “장애대학생의 장애정체감과 학업적 자기 효능감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통합교육연구」, 제9권 제1호, pp. 79-102. 미소장
18 김종현. 2012. “학습된 무기력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인과관계: 직무 스트레스의 매개효과와 변혁적 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제16권 제2호, pp. 139-160. 미소장
19 김종회, 오주석, 이순철. 2006. “운전행동결정요인이 위반행동과 사고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제19권 제3호, pp. 349-369. 미소장
20 김종훈, 신제구. 2018. “이슈리더십이 조직 구성원의 그릿(grit)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 및 학습된 무기력의 직렬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리더십연구」, 제9권 제4호, pp. 35-66. 미소장
21 김지연, 박영신. 2014. “긍정 및 긍정 및 부정정서가 대학생들의 위험감수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제1호, pp. 331-331. 미소장
22 김진영. 2013. “대학 신입생의 셀프리더십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연구.” 「직업교육연구」, 제32권 제6호, pp. 43-56. 미소장
23 김향규. 2012. “리더십에서의 리더의 신뢰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상담심리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보」, 제26권 제4호, pp. 119-138. 미소장
24 김혜래. 2013. “청소년 후기 발달적 특성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율성, 사회적 유대감, 진로효능감을 중심으로.” 「학교사회복지」, 제24권, pp. 85-105. 미소장
25 남순현. 2021. “중국인인가? 유학생인가? 중국유학생의 민족정체성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문화적응전략과 문화적응스트레스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33권 제2호, pp. 745-770. 미소장
26 남지현. 2014. “대학생의 5요인 성격특성 및 초기부적응 도식과 대인관계유능성의 관계.”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7 뉴시스. 2021. “‘등록금 반환 소송 14개월째’ 집단행동 나선 코로나 학번.”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1091613340004403?did=NA (검색일: 2021. 9. 16). 미소장
28 문은식, 배정희. 2010. “학습사 및 사회적, 동기적 변인과 학습된 무기력의 관계: 남고생과 여고생의 비교.” 「교육심리연구」, 제24권 제1호, pp. 183-205. 미소장
29 박미정, 함영림, 오두남. 2012. “전문대학 신입생의 의사결정역량, 대학생활적응, 대학생활만족도 정도 및 상관성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4호, pp. 327-337. 미소장
30 박소희. 2016. “변혁적 리더십이 적응수행에 미치는 영향: 학습조직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HRD연구」, 제18권 제4호, pp. 1-23. 미소장
31 박승혜, 이승연. 2019. “성별에 따른 대학생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성향, 사회불안,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제32권 제1호, pp. 105-126. 미소장
32 박유진. 2009. 「현대사회의 조직과 리더십」. 서울: 양서각. 미소장
33 박은희, 최은실. 2015. “성인애착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능력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제28권 제1호, pp. 57-79. 미소장
34 박종희, 박성희. 2019. “전문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대학생활적응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9권 제20호, pp. 105-130. 미소장
35 배양자, 박순희. 2019.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셀프리더십, 학습몰입, 진로적응성 간의 관계에 관한 융합연구.” 「융합정보논문지」, 제9권 제6호, pp. 104-111. 미소장
36 백기복. 2001. 「이슈 리더십」. 서울: 창민사. 미소장
37 신기명. 1990. “학습된 무기력 진단척도의 개발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38 심미영, 고숙희, 탁진국. 2019. “대학생 리더십역량 향상을 위한 코칭 프로그램의 효과.” 「청소년학연구」, 제26권 제8호, pp. 183-208. 미소장
39 심현. 2017.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멘토의 피드백이 자기조절학습능력, 자기주도학습,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열린교육연구」, 제25권 제1호, pp. 169-189. 미소장
40 안병주, 차민석. 2012.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가 조직시민행동(OCB)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지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p. 171-192. 미소장
41 오윤정, 이은선, 박명숙, 이은미. 2021.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 사회적지지, 셀프리더십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효과.”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제23권 제2호, pp. 787-797. 미소장
42 우종필. 2012.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서울: 한나래 아카데미. 미소장
43 유성진, 신민섭, 김중술. 2003. “위협에 대한 재평가와 걱정증상, 상태불안 및 인지평가차원의 관계.”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제22권 제2호, pp. 303-319. 미소장
44 윤혜경, 정남운. 2017. “부모애착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요인별 성별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22권 제3호, pp. 629-643. 미소장
45 윤호연. 2014. “경찰관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46 이경아, 손희원. 2021.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과 핵심역량에 대한 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제12권 제5호, pp. 239-254. 미소장
47 이동주, Kim, M. 2020. “코로나19 상황에서의 대학 온라인 원격교육 실태와 개선 방안.” 「멀티미디어언어교육」, 제23권 제3호, pp. 359-377. 미소장
48 이무상, 유형근, 조용선. 2008. “학교상담: 현실요법을 적용한 중학생의 리더십생활기술 증진 학급단위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상담학연구」, 제9권 제2호, pp. 771-788. 미소장
49 이미연, 유나현. 2020. “대학생의 성인애착이 정서 및 성격 관련 진로결정어려움에 미치는 영향: 탈중심화와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32권 제4호, pp. 1815-1836. 미소장
50 이양수. 2007. “참여정부 지역발전정책 패러다임의 평가: 지역혁신체제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연구」, 제9권 제1호, pp. 1-17. 미소장
51 이연수, 임경수, 2021. “코로나19 대응 온라인 멘토링 프로그램을 활용한 대학 신입생 적응 프로그램 사례연구.” 「교양교육연구」, 제15권 제4호, pp. 217-231. 미소장
52 이영경. 2008. “리더십 스타일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53 이영선. 1997. “초등학교 아동의 학습된 무기력과 성패귀인 및 학교생활 적응 간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54 이정아. 2009. “집단미술치료가 독거노인의 무망감우울증에 미치는 효과.” 조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55 이정희, 윤명희, 함수민, 강창완, 김민희, 고미나, 김보성, 강정임, 이진현, 박은영. 2019. “대학생들의 대학 생활 적응을 돕기 위한 DEU-GRIT 척도의 규준 개발 연구: D 대학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30권 제3호, pp. 139-157. 미소장
56 임문주, 유금란. 2020. “대학생의 부정적 및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자기은폐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정서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32권 제1호, pp. 365-389. 미소장
57 전미경, 오재우. 2019. “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자기결정성, 대인관계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위기관리이론과 실천」, 제15권 제3호, pp. 71-81. 미소장
58 전상권. 1999. “초등학교 학생의 학습무기력과 성패귀인이 학교생활 적응과 갖는 관계.”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59 전애은, 이유나. 2021. “코로나-10 상황에서의 학습된 무기력에 대한 Q방법론적 인식 유형: 항공관광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관광연구저널」, 제35권 제9호, pp. 85-98. 미소장
60 정선영, 김진영. 2012.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과 사회적 문제해결기술과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 교육연구」, 제12권 제3호, pp. 457-477. 미소장
61 정윤선. 2017. “고등학생의 학습된 무기력과 학교적응과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경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62 정은미. 2006. “코칭기법을 활용한 아동 서번트 리더십 증진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아동복지연구」, 제4권 제3호, pp. 83-97. 미소장
63 정은실, 박애선. 2005.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청소년 리더십생활기술에 미치는 영향: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7권 제4호, pp. 907-927. 미소장
64 정은이, 박용한. 2009. “대학 적응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방법연구」, 제21권 제2호, pp. 69-92. 미소장
65 정태희. 2005. “셀프리더십교육이 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자존감 증진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 제32권 제1호, pp. 223-248. 미소장
66 정현욱. 1996. “대학생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관한 연구: 사회 심리적 요소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연구」, 제25권, pp. 83-101. 미소장
67 정회욱, 박병기, 최성욱, 강일국. 2003. 「지도력 진단 도구 개발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미소장
68 조현재. 2017. “대학생의 셀프리더십, 대학생활적응,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구조적 관계 연구.” 「진로교육연구」, 제30권 제2호, pp. 63-80. 미소장
69 조혜영, 양계민. 2010. “국내 대기업의 청소년 사이버멘토링 적용 사례 연구: 장점과 한계를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제12권 제3호, pp. 47-77. 미소장
70 최석봉. 2019. “지원적 리더십, 위험감수행동, 그리고 창의적 성과: 심리적 안정성의 조절된 매개 효과.” 「경영교육연구」, 제34권 제6호, pp. 295-314. 미소장
71 최인선, 주은지. 2016. “대학생활적응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셀프리더십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제23권 제6호, pp. 145-173. 미소장
72 최인숙. 2012. “성별에 따른 초기 청소년의 우울에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제19권 제1호, pp. 135-160. 미소장
73 최은희, 조붕환. 2008. “리더십 향상 집단지도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리더십 생활기술 및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상담평가연구」, 제1권 제1호, pp. 103-121. 미소장
74 최현실. 2021. “코로나-19로 인한 대학신입생의 비대면 수업 경험에 대한 연구.” 「교양교육연구」, 제15권 제1호, pp. 273-286. 미소장
75 한덕웅, 전겸구, 탁진국, 이창호, 이건효. 1992. “대학생들의 생활 부적응에 관한 연구: 불안, 우울 및 신체형 장애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92연차대회 학술발표대회 자료집」, pp. 447-462. 미소장
76 한송희. 2017. “대학 신입생의 정서경험유형에 따른 정서조절전략과 대학생활적응의 차이.”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77 호병환. 2016. “대학 및 사회의 창업지원과 대학생의 창업의지 간의 관계: 자기효능감과 위험감수성의 매개효과와 멘토링의 조절효과.”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78 홍성연. 2016. “대학 신입생 적응 지원을 위한 교육요구 분석.” 「교육종합연구」, 제14권 제1호, pp. 271-295. 미소장
79 홍세희. 2000.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19권 제1호, pp. 161-177. 미소장
80 홍송이, 임성택. 2018. “대학신입생의 첫 학기 전환 유형과 통시적 변화 분석.” 「교육학연구」, 제56권 제1호, pp. 47-84. 미소장
81 홍정현, 권현정, 윤성인, 이수정. 2017. “가정폭력 피해여성들의 가정 복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학습된 무기력과 사회적지지, 가정폭력의 위험성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22권 제1호, pp. 1-22. 미소장
82 황순희. 2013. “대학생의 리더십, 의사소통 불안, 의사소통 성향의 관계 연구: 성, 전공, 학년 변인을 중심으로.” 「국어교육학연구」, 제48권, pp. 345-380. 미소장
83 황요환, 김창수. 2021. “코로나 19로 인한 온라인 강의 인식조사: 대학생의 만족도와 불안도를 중심으로.” 「언어학」, 제29권 제1호, pp. 71-91. 미소장
84 황은희, 강지숙. 2012. “초기 청소년의 성별에 따른 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적응.” 「스트레스硏究」, 제20권 제3호, pp. 149-157. 미소장
85 Acbuckle, J. L. 1996. “Full information estimation in the presence of incomplete data.” In G. A. Marcoulides and R. E. Schmacker (Eds.), Advanc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ssues and techniques (pp. 243-278). Mahwah, NJ: Lawrence Erlbaum. 미소장
86 Al-Qaisy, M. 2010. “Adjustment of college freshmen: the importance of gender and the place of resid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logical Studies, Vol. 2, No. 1, pp. 142-150. 미소장
87 Baron, R. M. and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51, No. 6, pp. 1173-1182.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미소장
88 Bashir, A., Bashir, S., Rana, K., Lambert, P. and Vernallis, A. 2021. “Post-COVID-19 adaptations; the shifts towards online learning, hybrid course delivery and the implications for biosciences courses in the higher education setting.” Frontiers in Education, Vol. 6, pp. 1-13. https://doi.org/10.3389/feduc.2021.711619 미소장
89 Bono, J. E. and Judge, T. A. 2003. “Core self-evaluations: A review of the trait and its role in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European Journal of Personality, Vol. 17, No. Suppl 1, pp. S5-S18. https://doi.org/10.1002/per.481 미소장
90 Butler, G. and Mathews, A. 1983. “Cognitive processes in anxiety”. Advances in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Vol. 5, No. 1, pp. 51-62. 미소장
91 Carmeli, A., Cohen-Meitar, R. and Elizur, D. 2007. “The role of job challenge and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in enhancing creative behavior among employees in the workplace.” The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Vol. 41, No. 2, pp. 75-90. 미소장
92 Cohen, J. 2002. Caring classrooms/ intelligent school: the social emotional education of young children. New York: Teacher College Press. 미소장
93 Coleman, M. C. and Webber, J. 저. 박영애, 이효신 역. 2004. 「정서 및 행동장애 - 이론과 실제」. 서울: 시그마프레스. 미소장
94 DeCarlo, L. T. 1997. “On the meaning and use of kurtosis.” Psychological Methods,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Vol. 2, pp. 292-307. http://dx.doi.org/10.1037/1082-989X.2.3.292 미소장
95 Ferguson, M. A., Valenti, J. M. and Melwani, G. 1991. “Communicating with risk takers: A public relations perspective.” Public Relations Research Annual, Vol. 3, No. 1-4, pp. 95-224. 미소장
96 Gardner, J. W. 1990. “Leadership and the future.” The Futurist, Vol. 24, No. 3, pp. 8-12. 미소장
97 Goleman, D. 2001. “An EI-Based Theory of Performance.” In C. Cherniss and D. Goleman (Eds.), The emotionally intelligent workplace (pp. 27-45). San Francisco, CA: Jossey-Bass. 미소장
98 Hansen, J. C. 1987. “Edward Kellog Strong Jr.: First author of the Strong Interest Inventory.” Journal of Counseling & Development, Vol. 66, No. 3, pp. 119-125. 미소장
99 Hughes, R. W. 2014. “Auditory distraction: A duplex-mechanism account.” PsyCH Journal, Vol. 3, No. 1, pp. 30-41. 미소장
100 Kline, R. B. 2005.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Guilford Press. 미소장
101 MacLeod, A. K., Tata, P., Kentish, J., Carroll, F. and Hunter, E. 1997. “Anxiety, depression, and explanationbased pessimism for future positive and negative events.” Clinical Psychology and Psychotherapy, Vol. 4, pp. 15-24. 미소장
102 Ross, C. and Mirowsky, J. 2001. “Neighborhood disadvantage, disorder, and health.”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Vol. 42, pp. 258-276. 미소장
103 Russell, D. W., Kahn, J. H., Spoth, R. and Altmaier, E. M. 1998. “Analyzing data from experimental studies: A latent variabl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 45, No. 1, pp. 18-29. https://doi.org/10.1037/0022-0167.45.1.18 미소장
104 Shellman, A. and Ewert, A. 2010. “A multi-method approach to understanding empowerment processes and outcomes of adventure education program experiences.” Journal of Experiential Education, Vol. 32, No. 3, pp. 275-279. 미소장
105 Shrout, P. E. and Bolger, N. 2002.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Vol. 7, No. 4, pp. 422-445. 미소장
106 Slovic, P., Finucane, M. L., Peters, E. and MacGregor, D. G. 2007. “The affect heuristic.”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Vol. 177, No. 3, pp. 1333-1352. 미소장
107 Sohrab, S. G., Waller, M. J. and Kaplan, S. 2015. “Exploring the hidden profile paradigm: A literature review and analysis.” Small Group Research, Vol. 46, No. 5, pp. 489-535. 미소장
108 Stake, J. E. 1984. “Educational and career confidence and motivation among female and male undergraduate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Vol. 21, No. 3, pp. 565-578. 미소장
109 Tead, O. 1935. The Art of Leadership. New York: McGraw Hill. 미소장
110 Terpstra, T. 2011. “Emotions, trust and perceived risk: Affective and cognitive routes to flood preparedness behavior.” Risk Analysis, Vol. 31, No. 10, pp. 1658-1675.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