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의 미래역량 촉진을 위한 수업역량에 대한 과학교사의 인식을 알아보는 데 있다.
방법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업역량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분석하였고, 13명의 중등학교 과학교사들을 대상으로 이메일 및 심층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결과 미래 교육 환경에서 과학교사에게 필요한 수업역량은 학생의 미래역량 촉진을 위한 수업역량, 에듀테크 활용 역량, 개별 맞춤형 수업역량, 교육 환경 변화 대응 역량 등으로 나타났다. 첫째, 학생의 미래역량 중 과학적 사고, 과학적 탐구력, 의사소통과 협업능력을 함양하기 위해 과학교사는 자기주도적인 탐구 활동으로 주어진 문제를 함께 생각하고 논의하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확산적인 사고를 요구하는 발문을 하고, 학생들과 함께 탐구하고 사고하며 학생들이 지식을 찾아가는 과정을 격려하는 수업전략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증거자료를 기반으로 하는 논리적 글쓰기와 학생들이 자신의 의견을 자유롭게 말할 수 있도록 하며, 온라인 협업도구를 활용하였다. 반면 정보처리와 의사결정 능력과 초연결사회 대응 능력을 강조한 연구 참여자는 소수였다. 둘째, 연구참여자들의 과학수업관은 교수⋅학습 전략의 선택뿐만 아니라 평가 방식의 선택과 실행에도 영향을 주었다. 연구참여자들은 학생 주도의 탐구 활동이나 지식 위주의 학습 요구 모두를 충족해야 하는 현실적인 어려움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다양한 해결 노력을 진행하고 있었다. 셋째, 교사들이 사범대학 재학 동안 과제 연구를 경험해 보지 않아 〈과제 연구〉수업 지도에 어려움을 느꼈으며, 현행 사범대학 교육과정은 각 전공의 내용학에 치우쳐 있고, 교과교육학 및 교직 과목은 이론 중심으로 운영되므로 수업역량을 기르는 측면에서 볼 때 부족하다고 하였다. 따라서 교육환경, 수업역량, 학습자 특성 변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예비교사에게 교육실습기간을 대폭 늘려 수업 실연 기회를 충분히 주어야 한다고 하였다.
결론 연구참여자들의 과학수업관은 교수⋅학습 전략의 선택뿐만 아니라 평가 방식의 선택과 실행에도 영향을 주었다. 연구참여자들은 미래 교육환경은 예측 불가능하기에 변화를 받아들일 수 있는 열린 마인드의 중요성을 강조하였고, 변화하는 학습자/교육 현장을 이해하고 수업 관련 기술 등 수업역량을 함양하기 위해서 사범대 교육과정을 통해 미래 교육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자세나 가치관 함양을 위한 과목이 필요하다고 하였다.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남화, 김민성, 유숙정, 이창현, 금선영 (2021). 과학수업역량 강화를 위한 연수가이드. 과학창의재단. | 미소장 |
2 | 고은정, 정대홍 (2014). 과학교과에서의 핵심역량에 대한 세계의 동향에 준거하여 우리나라 현장 교사들의 인식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6), 535-547. | 미소장 |
3 | 고은정, 정대홍 (2019). 핵심역량 관련 국내 과학 교육 연구동향 분석. 현장과학교육, 13(4), 359-376. | 미소장 |
4 | 곽영순 (2012a). 학습자의 핵심역량 개발을 위한 과학과 수업방법 개선 방안.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5), 855-865. | 미소장 |
5 | 곽영순 (2012b). 학습자의 핵심역량 제고를 위한 과학교사교육 개선 방안. 한국지구과학교육학회지, 33(2), 162-169. | 미소장 |
6 | 곽영순 (2020). 교육환경 변화에 따른 중등 과학교사 임용시험의 1차 전공영역에 대한 개선 방안 탐색. 과학교육연구지, 44(1), 122-132. | 미소장 |
7 | 교육부 (2015). 과학과 교육과정(고시 제2015-74호). 교육부. | 미소장 |
8 | 교육부 (2021). 국민과 함께 미래 교원을 그리다 (2021.7.13. 보도자료). https://www.moe.go.kr/boardCnts/viewRenew.do?boardID=294&lev=0&statusYN=W&s=moe&m=020402&opType=N&boardSeq=85001에서 2022년 2월 7일 인출. | 미소장 |
9 | 김현경, 나지연 (2017).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적용에 대한 초⋅중학교 교사의 인식과 요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7(1), 103-112. | 미소장 |
10 | 박도영, 가은아, 민용성, 이양락, 이은경, 임찬빈,... 조보경 (2016). 역량중심 교육환경에 따른 교사 임용시험 체제의 개선 방향 (연구자료 CRM 2016-14-3).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미소장 |
11 | 박종원, 윤혜경, 권성기 (2019). 과학 역량 모델의 제안과 과학교육과정에의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9(2), 207-220. | 미소장 |
12 | 소경희 (2009). 역량기반 교육의 교육과정사적 기반 및 자유교육적 성격 탐색. 교육과정연구, 27(1), 1-20. | 미소장 |
13 | 손미현, 정대홍 (2018). 지식정보처리역량에 대한 과학교사의 인식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8(5), 693-703. | 미소장 |
14 | 송신철, 심규철 (2018). 고등학교 통합과학 교과서의 탐구활동에 나타난 과학과 핵심역량 분석. 생물교육, 46(2), 222-236. | 미소장 |
15 | 송진웅, 강석진, 곽영순, 김동건, 김수환, 나지연,... 김진희 (2019). 모든 한국인을 위한 과학적 소양 미래세대 과학교육표준. 교육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과학창의재단. | 미소장 |
16 | 신태선 (2018). 2015 개정 교육과정 과학 교과 핵심역량에 대한 교사 및 학생의 인식 분석.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7 | 안유민, 변태진 (2020). 통합과학 교과 역량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0(2), 97-111. | 미소장 |
18 | 양정은, 최애란 (2020). 중학교 과학교사의 과학 탐구 교수지향. 대한화학회지, 64(4), 210-224. | 미소장 |
19 | 양혜정, 동효관, 권용주, 오경환, 김용진 (2011). 중등생물교사 임용 제3차 시험에 대한 수험생의 인식 조사: 수업능력, 심층면접과 실험능력의 평가를 중심으로. 생물교육, 39(3), 401-412. | 미소장 |
20 | 양희선, 강성주 (2016). STEAM 교육 경력에 따른 융합형인재의 역량에 관한 인식.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22(1), 22-30. | 미소장 |
21 | 이경건, 김유정, 장원형, 이재영, 홍훈기 (2020). 2015 개정교육과정의 「과학탐구실험」이 고등학생의 과학 및 일반 핵심역량에 미치는 효과: 교수⋅학습 방법을 중심으로. 교육과정평가연구, 23(3), 23-50. | 미소장 |
22 | 이미나, 박성희 (2015). 영재교육 담당 교원의 핵심 역량인식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IPA) 분석. 영재교육연구, 25(6), 927-949. | 미소장 |
23 | 이봉우, 심규철, 신명경, 김종희, 최재혁, 박은미,... 김용진 (2013). 중등과학교사임용시험 문항에 나타난 과학교육학 이론의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4), 794-806. | 미소장 |
24 | 이상은 (2019). OECD Education 2030에 나타난 역량교육의 주요 특징 및 시사점: 2015 개정 교육과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비교교육연구, 29(4), 123-153. | 미소장 |
25 | 이영주, 김영민 (2017). 과학영재학교 구성원의 핵심역량에 대한 인식 및 교육요구도. 영재교육연구, 27(3), 349-366. | 미소장 |
26 | 이진숙, 김은주, 김대현 (2017). 2015 개정 과학과 공통 교육과정에서의 핵심역량-교과역량, 교과역량-성취기준의관계 분석. 통합교육과정연구, 11(2), 1-25. | 미소장 |
27 | 이현주, 하지훈, 곽영순 (2020).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핵심개념과 교과역량의 현장 적용에 대한 중학교과학교사 및 학생의 인식. 교육과학연구, 22(2), 1-23. | 미소장 |
28 | 임규연, 임지영, 진명화 (2021). 테크놀로지 기반 개별화 학습에 대한 체계적 문헌 분석: 2011-2020년 국내연구를 중심으로. 교육공학연구, 37(3), 525-559. | 미소장 |
29 | 임유나, 장소영 (2016).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과 교과의 관계성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10), 749-771. | 미소장 |
30 | 조은순 (2020). 포스트 코로나시대 비대면 수업을 위한 교육공학의 역할과 과제. 교육공학연구, 36(3), 693-713. | 미소장 |
31 | 최석민, 김병주, 김도기, 박수정, 정성수 (2015). 신규교사임용시험 제도개선 정책연구. 수탁연구. | 미소장 |
32 | 하민수, 박현주, 김용진, 오필석, 김미점, 민재식,... 손미현 (2018).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기초한 과학과핵심역량 조사 문항의 개발 및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8(4), 495-504. | 미소장 |
33 | 하지훈, 신영주 (2016). 핵심역량과 과학과 교과 역량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 분석. 초등과학교육, 35(4), 426-441. | 미소장 |
34 | 한혜정, 김기철, 이주연, 장경숙 (2018). 역량기반 교육과정에 대한 국내 선행연구의 이론적 논의 분석 및 쟁점탐색. 교육과정평가연구, 21(3), 1-24. | 미소장 |
35 | 홍선주, 안유민, 최영인 (2019). 미래 학교 교사의 수업역량모델링. 교육문화연구, 25(3), 365-388. | 미소장 |
36 | OECD (2005). The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Executive summary. | 미소장 |
37 | Rhee, S., Nam, I., & Im, S. (2018). A Relationship between scientific key cmpetencies and achievement standards in Physics under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of Korea. New Physics: Sae Mulli, 68, 1081-1095.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